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최은주(경기대학교) pp.5-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사립대학교 도서관장의 경영관을 조사해 보고, 도서관장의 전문성과 도서관경영에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의 103개 회원관의 현직 도서관장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도서관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사항 및 직무수행 전반에 대한 견해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도서관장의 전문성과 도서관경영방식 및 견해와의 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을 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대학도서관장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대학도서관에의 전문직 도서관장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ivate university libray directors’ managerial roles and their views on university library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by sending questionnaires to 103 library directors of member libraries of Korean Private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Overall managerial viewpoints of library directors were analyzed, and hypothesis were tested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professionalism and their managerial style.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library directors’ role and responsibility were emphasized, and the necessity of entrusting library dire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were suggested.

박온자(서울여자대학교) pp.27-56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의 미디어전문가는 교육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학습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학습자료와 교수매체를 조사, 평가, 선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정보전문가로서, 또 학습 상담자로서 주어진 역할을 완수할 수 있다. 사회변화와 정보기술 발달로 학교도서관 소장자료의 형태와 소장범위가 크게 달라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논문을 통해 제시된 유형별 교수매체 선정기준을 지침으로 삼아 미디어전문가는 다양하고도 엄청난 양의 정보매체 중에서 학습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교수매체를 조직적으로 평가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학습용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하이퍼미디어에 대한 평가기준과 디지털 참고서비스의 질적기준은 교육정보화를 추진하고있는 국내 교육계의 요구에 맞추어 유용하고도 적절한 교수공학 매체를 선정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offer the users assistance in using information resources and instructional media by assessing, evaluating and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s for the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in school. The format of the information media and the scope of the media center collection have constantly been changed by information technology. Media specialist has to know the selection criteria to be capable of providing any media format in the technological society, particularly of providing instruction software(courseware), multimedia, hypermedia and digital reference service to maintain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s one of the user oriented educational information centers. This paper present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instruction media by media format as one of the useful guidelines to the media specialist.

이제환(부산대학교) pp.57-87
초록보기
초록

우리 사회에서 사서직은 과연 전문직인가? 이 글의 논제이다. 이 글은 직업사회학에서 이야기하는 전문직 이론에 기초하여 전문직의 제반 요건을 이해하는 작업에서부터 시작한다. 이어, 우리 사회구성원의 시각과 사서 자신들의 육성을 통해 사서직에 대한 대중적 인식을 점검한다. 나아가, 우리 사서직의 현단계를 전문직 이론에서 제시하는 요건에 비추어 보면서, 우리의 사서직이 안고 있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사서직이 전문직의 대열에 합류하려면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on the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hip in Korea. The discussion begins with exploring the conditions which are required for an occupation to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discussion is borrowed from ‘Theory of Profession’ in Sociology. In turn, systematically verified are both public image and librarians’ self-confession on librarianship. The weakness and shortcomings of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are also investigated. Finally suggested are both strategies and methods for the librarianship in Korea to be professionalized.

승현우(서울여자대학교) ; 박미영(서울여자대학교) pp.89-10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웹 문서로부터 연관된 지식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전문 검색엔진을 개발하기 위하여 텍스트에서 추출된 전문 용어를 효율적으로 클러스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일반적인 용어들간의 무의미한 연관 규칙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문 용어로 구성된 지식베이스 테이블을 이용하여 의미 있는 용어들간의 연관 규칙을 생성한다. 연관 규칙은 하나의 논문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들의 집합을 트랜잭션 단위로 구성하여 Aprior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된다. 하나의 용어로부터 생성된 연관 규칙 집합은 해당 전문 용어와 관련된 클러스터로 구성된다.

Abstract

In this paper, an effective method for clustering terminologies extracted from text is proposed, in order to develope a search engine to extract relevant information from large web documents. To prevent frequency of the meaningless association rules among general terminologies, only useful association rules among terminologies are produced using database tables which consist of domain-specific terminologies. Such association rules are produced by applying the Apriori algorithm after forming transaction units from groups of association rules in a document. A group of association rules produced from a terminology forms in a cluster.

노지현(부산대학교) pp.107-13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도서관이 생산해 내고 있는 목록의 가치를 ‘유용성’의 관점에서 논의하는데 있다. 특히, 도서관 이용자의 관점에서 도서관목록이 그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목록이용자들의 견해를 중시하면서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측정해 낼 수 있는 체계적인 기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준에 근거하여 현단계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직접 측정하였다. 유용성에 대한 측정 결과는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유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utility of library catalogs from library users’ point of view. Emphasis was on verifying how useful library catalogs are as a tool in order to satisfy the information need of library users. To the end, this study developed the criteria and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utility of library catalogs from users’ viewpoint. On the basis of it, the utility of library catalogs was measured systematically. Sample catalog records for the utility verification were selected from 6 most representativ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 result of verification was presented and described with the typical examples, and the key factors that caused the low utility of library catalogs were also identified and discussed.

조윤희(중앙대학교) pp.135-152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으로 디지털콘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해졌다. 분산 네트워크 환경하인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콘텐츠의 식별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의 조직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메타데이터 포맷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포괄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포맷으로 Dublin Core, Semantic Header, MARC, IAFA Templates, TEI Header를 선정하여 문헌고찰을 통하여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Abstract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digital contents have increased in a geometric progression and the types also became much varied.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identify and search digital contents on the Internet, which is basically a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 it is essential to organize and manage metadata. In this study, we have comparatively analyzed the data elements of the meta data formats currently approached from different aspects in diverse fields, so 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ecuring interoperability of the meta data formats. We selected Dublin Core, Semantic Header, MARC, IAFA Templates, and TEI Header as the general metadata formats of digital contents used widely in all areas, and we carried out comparisons and analyses based on the literature.

박한우(영남대학교) pp.153-168
초록보기
초록

학문공동체에서 월드와이드웹이 대중화되면서 하이퍼링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웹이 (특히 하이퍼링크가) 어떻게 학술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한다. 본 연구는 아시아 10개국간 공저자 네트워크와 학술 웹사이트간 하이퍼링크 연결구조를 사회 네트워크 이론과 방법론의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국가간 공저자 네트워크와 학술 하이퍼링크 네트워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웹에 나타난 온라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관계와 오프라인 공간의 네트워크가 상호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Abstract

A hyperlink on academic World Wide Web has started to be recognized as a form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individual researchers and research groups and expanding their collaboration relations by making possible easy and direct online contact among people or groups anywhere in the world. This paper describes the structure of academic hyperlinks embedded in universities’ Web sites hosted at the 10 Asian countries and furth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hyperlink network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pattern among those countries based on their frequency of co-authoring article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number of inter-hyperlinks among universities’ Web sit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co-authored articles across the 10 countries.

김휘출(한양대학교) pp.169-186
초록보기
초록

국내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용률은 매우 저조하다. 저조한 원인에는 주제전문사서의 부족, 홍보부족 기타 관리자의 인식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각 도서관별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는 방법을 제기 하였다.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제전문사서 양성, 이용자들이 인지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관리기관 설립 등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이 우선적으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Mos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provide digital reference service(DRS), but the use of DRS is very low. The low usage of DRS seems to result from the lack of subject librarians, of staff, of public relations, and of managers’ enthusiastic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DRS. It is difficult to solve these problems because of the poor circumstances in universities.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CDRS) i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Not only CDRS costs little but also can provide reference services in many different subject areas. Though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user-friendly system interface, system programs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re necessary to implement CDRS,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s the most important work to be done in the university library situation in Korea.

방효순(이화여자대학교) pp.187-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법에 규정된 자료관의 업무분석을 통해 한국 자료관의 특징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료관의 업무는 기본적인 기록물관리 영역, 일반 간행물 및 도서관리 영역, 기타 각종 관리영역의 업무가 포함된다. 업무영역 분석 결과, 한국의 자료관은 기록물의 계통별 관리, 통합된 기록물관리시스템의 지향, 생산단계로부터의 조정·감독기능의 강화, 증거성 및 안정성 보호의 중시, 기록물의 분산보존, 기록물 이용촉진 등에 기여하였다. 자료관의 발전 방향으로 자료관 업무 내용·절차·방법의 상세화, 전문요원 배치의 보장, 이상적인 자료관 모델의 수립, 문헌정보학계와의 협력 강화, 지역정보센터로의 발전모색, 융통성 있는 자료관 설치, 공공기관의 법규이행에 대한 의지 고양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characteristics of Jaryokwan in Korea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for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process for Record Center(Jaryokwan) regulated in the Law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the Law). According to the Law, Jaryokwan is supposed to cover the areas of the management of semi-current records, government publications, books, and other records. The analysis of the Law shows that Korean Jaryokwan has the characteristics of divisional management of the semi-current records of governments, pursuing the integrated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s, tightening the control function from the current-records stage, emphasizing the protection of evidences and security, contribution to the decentralizing storage of archives and simplifying the access to semi-current records for promoting it’s usag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Jaryokwan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e imminent needs of the development of ideal model for Korean Jaryokwan, the legal enforcement of posting an Archivist, the more detailed regulation, procedures and methods of work, the close collaboration wit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pursuit of developing as a regional information center,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establishing Jaryokwan.

오동근(계명대학교) ; 김인식(계명대학교) pp.207-2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부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검토하고, 대구광역시의 8개공공도서관(분관제외)을 중심으로 물질적 기부와 시간적 기부(자원봉사)로 나누어 그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의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부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manual)들이 문서화되어야 하며, 다양한 기부방법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기부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 개인과 단체에 대한 관리, 모집, 교육 및 훈련, 보상의 기준설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도서관장과 직원들의 기부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theoretical aspects in general of the philanthropy including donations, gifts, fundraising, and volunteer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ublic library situations in Korea. It analyzes the general situations of the philanthropy in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sugges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The libraries and librarians should develop systematic manuals for the programs and specifies them in a written form and try to apply various methods to motivate donors and volunteer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김종성(계명대학교) pp.229-252
초록보기
초록

정보활용능력 교육은 학교도서관 운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통해 교수 학습 과정에 통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도서관의 존립 근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원리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선진 학교도서관 운영에 적용되는 정보활용능력 교육 체제와 내용에 대하여 경험적 관찰과 자료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분석한다. 미국 학교도서관의 현장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원리와 내용이 어떤 기준과 교과과정에 근거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국가적 기준과 여러 주의 교과과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조사하고 분석한 각 주별 교과과정의 내용과 체제는 우리 학교도서관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일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of school library in the USA. The writ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analyzes national standards and some state curricula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inally, through presenting a couple of lessons which were orga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drawing out some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school library education in Korea.

유소영(건국대학교) pp.253-2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규모와 정도를 조감하고 연구의 주제, 연구방향, 등을 조사, 분석하여 연구문헌 이용자들에게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해방 이후 생산된 전래동화연구문헌 총 263건을 SA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래동화연구는 1960년대 말부터 생산, 1990년대 중반이후 활성화되어 연구테마도 다양해졌다. 연구문헌은 전래동화자체를 분석하는 연구와 전래동화를 다른 용도에 이용하려는 연구로 대별되었다. 분석연구는 문학작품의 구성요소로서의 사건, 인물, 테마 등의 분석, 심리분석, 가치관분석, 국외 전래동화와의 비교분석 등이 주종을 이루고 이용을 위한 연구는 언어교육자료로의 이용, 삽화, 애니메이션, 전통문양, 복식, 테마공원 등 시각화를 위한 연구, 등이다. 그 외에 설화의 동화화연구,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조사연구도 상당수 발견되었다.

Abstract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folktale studies in Korea by Soyoung Yoo This study is aimed primarily at taking a view of the scope and depth of folktale studies in Korea and analysing their subjects study and directions. By doing so,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can be of help to users of those studies. The researcher collected all the studies in this field since 1945 and analysed them through SAS program. Thus, the researcher found the studies on Korean folktales started in late 1960’s and flourished and diversified in the middle of the 1990s. The researcher divided the collected materials into two categories, i.e., the study materials which focused on folktales themselves and studies for the exploration of applications of folktales for other purposes. Former analytical study on folktale study themselves is shown to be composed of events, characters, themes and psychological as well as value analysis. there are some comparative studies with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Latter studies show that the studies are mostly for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Furthermore, they are for illustration, animation, traditional design, costumes studies and theme parks. There are some other studies.

곽동철(청주대학교) pp.269-2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사명 및 이상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의 사명과 이상 수립을 다루고 있는 기획, 전략적 경영, 조직문화 등에서 기술된 관련용어들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도서관의 사명과 이상 수립의 중요성과 절차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셋째, 국내·외 도서관의 사명과 이상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도서관이 사명과 이상을 수립하는데 기반으로 삼을 수 있는 기본적인 그 역할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다섯째, 우리나라 도서관들이 사명과 이상 중심의 바람직한 경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formulate missions and visions in librari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nceptions and characters of terms related to planning, strategic management, organizing culture dealt with missions and visions of an organization are surveyed. Second, the importance of formulating missions and visions in libraries are explained. Third, missions and visions of librar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re surveyed and analyzed. Fourth, several basic functions of library formed the foundation on formulating missions and visions in libraries are discussed. Fifth,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esirable direction and expectation of management centering around missions and visions of libraries in Korea.

전명숙(덕성여자대학교) pp.291-301
초록보기
초록

미래의 이상적인 도서관·정보센터건축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새로 건축된 도서관·정보센터를 방문하여 건축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디지털도서관 시대의 도서관·정보센터는 다양한 이용자의 정보와 자료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이며, 친환경적이고, 예술적이며 컴퓨터가 많고, 인간공학적 비품을 배치하고, 건물을 능률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인공 지능적이며, 이용자들이 네트워킹을 하는 곳이다. 또한 직원들이 편안하게 일할 수 있는 공간이며, 새로운 자료와 보존된 귀중한 자료를 홍보할수 있는 다목적기능의 건축물이 된다.

Abstract

The ideal design of the new libraries in 21st century is explored by bench marking many libraries in developed countries. The library buildings are designed to be intelligent, multi-functional, and environmentally compatible, displaying various library treasures and promoting library materials. Thus the libraries become the community centers and tourist attractions.

한복희(충남대학교) pp.303-318
초록보기
초록

독서부진 즉 읽기를 통한 학습 부진의 요인은 신체적요인,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고학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징, 그들이 갖고 있는 스트레스, 독서지도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도는 높으나 읽기부진으로 정독하지 못하고 자아중심적인 초등고학년 아동을 위한 독서치료 사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 for the ‘low-reading achiever’ on reading abil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in improving reading attitude, and self-concept in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 In this study it is illustrated how to form questions and leads a discussion for a bibliotherapy session and suggested reading list and annotated bibliography.

이성숙(충남대학교) pp.319-342
초록보기
초록

목록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되는데, 하나는 집서 중의 특정 문헌을 식별하여 검색하는 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저자의 모든 저작과 특정 저작과 관련된 자료를 목록 상에서 한자리에 집중하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목록의 기능을 재검토하고, 목록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참조 개념 모형(conceptual model)으로서 IFLA에서 제안한 서지레코드의 기능요건(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FRBR) 모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Abstract

Catalog serves a dual purposes. One is finding function(or identifying function) that is identified and located specific items and the other is collocating function which is displayed specific author’s all works and all related editions.This study is re-examined the functions of catalog. For catalog’s effective serving this study is provided and overviewed the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 models as reference conceptual model for functions of catalog.

노정란(성균관대학교) pp.343-364
초록보기
초록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의 중요성은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론 연구나 정부의 기업 경영혁신 시행 지침으로 지식경영을 주요한 도구로 하고 있는 데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지식경영은 결국 지식의 순환과정, 즉 지식의 생성, 축적, 공유, 활용, 학습과정을 원활하게 촉진시켜서 기업내의 지적자산의 질과 양을 향상시켜 기업내의 많은 의사결정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정의되는데, 이러한 정의는 곧 전문도서관의 운영이론 및 철학과도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이 이미 기업 내에 설치하고 있는 전문도서관을 활용하여 지식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이론적 연구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 향후 전문도서관 기반의 지식경영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전문도서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참고 정보봉사를 통하여 지식경영의 주요 요소인 지적자원과 인적 자원이 융합하며, 기업 문화가 활성화되는 사례를 소개한다. 본 연구는 향후 지식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서 새로운 방식에 의한 지식경영 추진을 위한 의미있는 벤치마킹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KM) can be easily recognized in many diverse aspects of the theory studies and in KM’s efforts to help implement the government’s policy to innovate corporation management. The core of KM is to improve the circulation of knowledge by generation, accumulation, sharing, utilization and acquisition by learning.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circulation would result in high quality and quantity of intellectual assets in corporations and make decision-making more efficient. This, too, is the operational philosophy of the special librari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KM by presenting KM methodology and by explaining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s, based on the existing special libraries. I cite an example of a case wherein merging intellectual assets and human resources activated the company culture. The reference service system, which is the core of the special library, was used in this merging.

최원태(건국대학교) pp.365-385
초록보기
초록

전자도서와 관련된 분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관련된 행사, 문헌, 기사 등과 관련된 최신 정보를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전자도서는 PC 혹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열람하므로 스크린의 질에 다소 제한적인 요소를 갖고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은 점진적으로 저렴하게 되고 질은 높아지므로 전자도서의 미래는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전자도서 관련 행사, 기술 등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기반으로 전자도서를 분류하여 관련 추세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에서 전자도서를 도입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여러 환경과 이슈를 파악하여 전자도서의 도입과 운영시 고려하여야 하는 요소를 구분하여 그 해결책과 미래의 추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Because the electronic book field tends to be marked by rapid changes, keeping current with the events and the literature can be difficult. The electronic book means for reading on PCs or hand-held devices were also limited by the quality of the screen. The electronic book will survive and reading devices become much cheaper and much better in quality. This paper, based on recent electronic book technologies, addresses some of the issues that are central to the acceptance and integration of electronic book into academic library. It also addresses the current electronic book environment, notes the increasing issues, details the management factors in academic library, and examines potential future electronic book direction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