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의학 분야 Web DB의 품질평가 -PubMed와 Embase를 대상으로-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Medical Web DBs : PubMed and Embas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4, v.38 no.2, pp.161-187
김상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의학 분야 Web DB의 품질평가를 위해 무료 PubMed와 상용 Embase DB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품질평가 기준을 추출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발견적실무적 비교 평가를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PubMed는 최신성, 저널 형태의 논문 비중, 초록 보유 자료와 영어자료의 비중, 전자저널 원문 링크 출판사 수, 자관 소장여부를 표시하는 LinkOut과 구입비용에서 우수하였다. 반면 Embase는 포괄성, 제약과 화학 분야, 수록정보의 다양한 형태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상용 DB 도입의 타당성 검토와 이용자 교육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는 이러한 두 DB의 품질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데이터베이스, 비교 평가, 정보시스템, 품질 비교, 품질평가, DB Evaluation, DB Quality, Emba se, Medline, PubMed, Quality Evaluation, Web DB

Abstract

This study concerns DB quality of the Web databases which has been produced in medical science.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Embase and PubMed, 10 evaluating criteria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The evaluation result showed that PubMed has superiority to the currentness, accuracy, completness, consistency, ease of use, customer support, searchability, cost, and network & H/W on DB, but Embase has only superiority to the coverage. It is needed for purchasing, user training, and library service based on the above evaluation result.

keywords
데이터베이스, 비교 평가, 정보시스템, 품질 비교, 품질평가, DB Evaluation, DB Quality, Emba se, Medline, PubMed, Quality Evaluation, Web DB

참고문헌

1.

(2003) 국내외 의학관련 웹사이트의 KoreaMed와 PubMed 인지도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

(2000) CD-ROM MEDLINE과 PubMed의 검색 효용성에 대한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3.

(2002) PubMed 이용법,

4.

(2002) 문헌정보학 실무자와 실무중심의 연구활동,

5.

(2002) 과학기술분야 웹 정보원 평가 및 비교연구,

6.

(2002) 과학기술분야 해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평가 연구,

7.

(2003) 데이터베이스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해외사례 조사연구,

8.

(2002) 과학기술전문정보서비스 품질평가 및 이용자 정보요구 분석 ,

9.

(2002) 색인초록 및 전문서비스의 최근 동향과 선택,

10.

(1999) 정보검색시스템에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에 관한 분석적 고찰,

11.

(2000)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 항목,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2.

(1996) DB 선정 및 품질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13.

(1998) 의약정보관련 서지사항 데이터베이스의 비교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14.

(1999) 데이터베이스 정보 품질평가의 메타분석,

15.

(2000) Web-DB 정보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존 측정지표 분석 I,

16.

(1997) 국내 제작 데이터베이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7.

(2002) 통합정보검색시스템 인터페이스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18.

(1995)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9.

(2003)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

20.

(1998) ASKERIC 데이터베이스의 품질에 관한 연구,

21.

(2002) 국가대표전자도서관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한국, 일본, 미국의회도서관을 중심으로,

22.

(1997) Embase, Medline, Sci- Search에서 검색된 한국의학논문의 중복정도와 특성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3.

(1996) 데이터베이스 품질에 관한 비평적 평가,

24.

(1999) CD-ROM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5.

(2002)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26.

(2002) 전자도서관 웹사이트의 품질향상을 위한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27.

(2001) 과학기술분야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평가 연구,

28.

(1996) 이용자의 관점에서 본 KRI- STAL System과 DB의 품질,

29.

(1997) 과학기술분야 서지 DB의 품질관리 및 평가방안: KORDIC의 KRI- STAL DB를 중심으로,

30.

(2002) 공동목록 DB의 품질평가와 품질관리: KERIS의 종합목록 DB를 중심으로,

31.

(2004) 디지털도서관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32.

(1998) Embase, Medline, SciSearch에서 검색된 한국의학논문의 중복정도 연구,

33.

(2003) DB 품질평가 모형과 DB 품질 향상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품질평가 모형의 적용,

34.

(2000)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를 위한 모형 개발: 텍스트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중심으로,

35.

(2002) 해외학술DB 선정 및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6.

(2001) 정보검색시스템과 연계된 상호대차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의학도서관을 중심으로,

37.

(1996) 데이터베이스 표준화연구보고서,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38.

(2003) 데이터베이스 이용실태 및 정보수요조사 보고서,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39.

(2001)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 기준 연구,

40.

(2003) Identifying diagnostic accuracy studies in EMBASE,

41.

(1998) The benefits of searching EMBASE versus MED- LINE for pharmaceutical informa- tion,

42.

(2001) Usage patterns of a web-based library catalog,

43.

(2004) EMBASE-MEDLINE fact sheets, Elsevier

44.

(1993) EMBASE or MED- LINE? The impact of the BIDS EMBASE service on academic medical libraries and their users,

45.

(1999) An evaluation of EMBASE within the NHS: findings of the Database Access Project working partner- ship to extend the knowledge base of healthcare,

46.

(1996) The efficiency of searches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a comparison of handsearching, EMBASE and PsycLIT,

47.

(1992) The comprehensiveness of Medline and Embase computer searches Sear- ches for controlled clinical trals of homeopathy ascorbic acid for common cold and ginkgo biloba for cerebral insufficiency and intermittent claudication,

48.

(1999) Searching the right database: a comparison of four databases for psychiatry journals,

49.

(2001) The case for multiple database searching in podiatric medicine,

50.

(2000) Searching for rehabilitation articles on MEDLINE and EMBASE: An example with cross-over design,

51.

(1992) The effect of a multiple literature database search a numerical evaluation in the domain of Japanese life science,

52.

(2003) Should meta-analysts search Embase in addition to Medline?,

53.

(2000) Identifying clinical trials in the medical literature with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alone is not enough,

54.

(1999) Identify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comparing the efficiency of Embase, Medline and PsycINFO bibliographic databases,

55.

(1998) Medline and Embase complement each other in literature searches,

56.

(1990) Coverage and overlaps in bibliographic databases relevant to forensic medicine a comparative analysis of MEDLINE,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