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포맷 연구(II)-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tadata Formats for Integration of Cultural Contents : Focus on case to Library, Museum and Art Museum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4, v.38 no.3, pp.201-219
조윤희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 문유산기관에서 문콘텐츠 정보의 조직에 사용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은 Dublin Core나Object ID와 같이 단순한 포맷에서 CDWA나 MARC와 같이 복잡하고 풍부한 포맷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맷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각 문유산기관의 특성에 따라 요소간의 명칭, 표현, 의미가 상이하게 사용됨으로써 문콘텐츠 정보시스템간 연동이나 협력망 구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문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문유산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의 메타데이터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각 포맷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이한 메타데이터 포맷의 상운용성 보를 위하여 포맷별요소의 상참조표를 작성하고 최소 수준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시하였다.

keywords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메타데이터, 문콘텐츠, 문유산기관, 데이터 요소, Library, Museum, Art Museum, Metadata, Cultural Contents,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 Data Elements

Abstract

The Library, Museum and Art Museum are gradually expanding acce ss to cultural contents for general public throughltural contents characteristics most the objects of culturalcontents seldom contain the words used for organization and sea rch for information. In addition, it’s hard to share or interconnect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systems because the names, expres sions and meanings are different between metadata elementsroper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etadata is vital. Inthis study, the researcher have comparatively analyzed the data elements of each format based on National Library of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 y Art , the metadata formats approached from various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integration of cultural content sby securing interoperability of different metadata formats.

keywords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메타데이터, 문콘텐츠, 문유산기관, 데이터 요소, Library, Museum, Art Museum, Metadata, Cultural Contents,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 Data Elements

참고문헌

1.

강은수, (2003) 박물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인터넷상의 소장품정보 네트워크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

김경선, (2001) 인터넷시대의 미술관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3.

김은영 , (1999)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정보표준화 연구, 한국레이저영상㈜

4.

박미화, (2002)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분류체계 재정립,

5.

박인원 , (1996) 博物館遺物管理電算化를 위한 遺物分類標準化, 국립중앙박물관

6.

박인원, (2002) 博物館遺物管理電算化를 위한 遺物分類標準化, 국립중앙박물관

7.

이윤경, (1995) 국립현대미술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8.

이재선 , (2002) KORMARC의 현재와 미래, 한국도서관협회

9.

조윤희, (2001) XML/KORMARC 통합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0.

(2003)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포맷 연구,

11.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통계, 한국도서관협회

12.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1) 국립중앙박물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3.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2a) 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4.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2b) 문화산업 종합정보망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5.

Gill, Tony , (2002) The Value of Digital Cultural Content,

16.

ISO , (1981documentation1981) ISO 2709 : 1981 Documentation : Format for bibliographic information interchange on magnetic tape, ISO

17.

ISO, (1996) ISO 2709 : 1996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format for information exchange, ISO

18.

McKercher, Bob, (1995.12) A survey of the use of MARC format in national libraries,

19.

Visual Resources Association Data Standards Committee, (2002) VRA Core Categories, Version 3.0,

20.

Visual Resources Association , (2002) Information on the VRA Core,

21.

Weibel, Stuart, (1997) The 4th Dublin core Metadata Workshop Report,

22.

Zang, Marcia Lei , (1999) Metadata element for object description and representation : a case report from a dizitized historical fashion project,

23.

Stephenson, Christie, (1999) Recent development in cultural heritage image database : directions for user-centered design,

24.

Basser, Howard, (1995) Introduction to image : issues in constructing an image database,

25.

Busch, Joseph A , (1995) SGML for culture heritage information,

26.

Trant, J , (1995) Framing the picture : standards for imaging systems,

27.

Gilliland-Swetland, Anne J , (1998) Defining metadata,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