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xiety Scal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6, v.40 no.3, pp.99-120
박현영 (협성대학교)
남태우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도서관불안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를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도서관 이용 후기 보고서 분석, 3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한 재측정법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의 재학생수와 도서관 규모를 고려하여 4개 대학을 대상으로, 2005년 9월 3일부터 2006년 3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성을 검증하고, Cronbach's α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K-LAS를 이용하여 도서관의 규모, 이용자의 성별과 학업 연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빈도 등 일반적인 변인들과 도서관불안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6요소 40문항으로 구성된 K-LAS가 개발되었다. 6요소로는 물리적환경적 요소, 도서관 이용 및 지식 요소, 과제 및 연구 요소, 디지털 정보 요소, 도서관 직원에 관한 요소, 심리적정서적 요소 등으로 설정되었다. 도서관불안과 변인과의 사후검증에서는 도서관 직원에 관한 요소를 제외한 5개 요소는 각 2개 이상의 변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keywords
도서관불안, 정보탐색과정, 이용자 연구,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 Library Anxiety, K-LAS

Abstract

This study is conformed to having library anxiety of our domestic university library users, and, to developing the Korean Library Anxiety Scales(K-LAS). The research methods is literature research, library use postscript report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to be 4 universit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student number and library scale.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September 3, 2005 to March 23, 2006.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in the liberal arts courses which all the students could take.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are the content validity test by expert group, reliability test and validity test of SPSS Program.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library variables and library anxiety was tested by using K-LA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veloped the K-LAS, which was composed of 6 factors and 40 items. 6 factors were set up as physicalenvironmental factor, library use and knowledge factor, task and research factor, digital information factor, and the factor on library staff, and psychologicalemotional factor. According to the post-test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library anxiety and variables, 5 factors except the factor on library staff were correlated with more than 2 variables respectively.

keywords
도서관불안, 정보탐색과정, 이용자 연구,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 Library Anxiety, K-LAS

참고문헌

1.

(2004)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 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2.

(2006)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3.

(199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The Graduate School of Wayne State University,

4.

(2002) Di- mensions of library anxie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Implications for library services,

5.

(1989[cited2005) A Summary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6.

(2004) Library Anxiety: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The Scarecrow Press Inc

7.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8.

(1953) A Personality scale of manifest anxie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9.

(2002) Library Anxiety: the information search pro- cess and doctoral use of the library, The Graduate of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