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희윤(대구대학교) pp.5-2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hanges, complexity and ill effects of the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to analyze its previous research and improvement issues, and to suggest reform plans and subsequent action. To do so, the author has proposed a unification model for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the library status in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he library management pla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author has suggested various subsequent actions for the unification of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that is, the transfer of property, relief of the financial burden, removal of the disadvantages caused by the status change, adjustment of the library director's position, improving the personnel system of librarianship, and amendments to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정기애(중앙대학교) ; 김유승(중앙대학교) pp.31-58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031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지식정보 환경에서 기록은 업무처리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조직의 경영활동에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실제, 경영은 업무 성과물의 집합체로 표현되며, 조직의 컴플라이언스, 지식경영,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기록관리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영 및 기록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록관리와 경영활동 간의 실제적 상관성을 밝히는 학술적 논의는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발전을 위해, 양자간의 상관성에 대한 규명과 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인식 아래, 현 공공기관 경영평가모델의 토대가 된 말콤 볼드리지 모델과 기록관리표준을 중심으로 기록관리와 경영품질 및 성과 간의 밀접한 상관성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경영평가모델 평가지표 속의 기록관리 요소와 기록관리표준에서의 경영품질 요소를 추출․비교분석하며, 이를 통해 상호 공통된 요소와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요소들을 기록관리 측면에서 고찰한다.

Abstract

In the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records have an even closer relationship with business processes and become a core element of organizations' managerial activities. In practice, management is represented as congregation of business outcomes.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terms of organizations' compliance, knowledge-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academic discussion on a between records management and managerial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e study has the notion that this should be defined and acknowledged for public institutions' effective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Malcolm Baldrige Model and ISO 15489, the study discusses a close between records management and management quality. The records management elements of the Malcolm Baldrige model and the managerial quality elements of ISO 15489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both common and neglected elements were explored in terms of records management.

이정연(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pp.59-84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059
초록보기
초록

인적, 물적 자본에 이어 사회 전체적 맥락에서 공공성을 지닌 부가가치의 창출에 기여하는 사회적 자본이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 자본은 관계적 자본과 사회 정책 실현의 효율성과 정당성을 높이는 사회 전체적 용량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국가적인 연구개발 연구인력정보시스템의 네트워크가 사회적 자본으로서 구축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가 R&D 과제관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정보유통기관에서 연구인력정보시스템의 구축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연구인력정보시스템 측면에서의 합의와 국가적 차원의 이해당사자 간의 사회적 신뢰 구축과 합의 방안에 대하여 탐색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e context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social capital has been considered significantly in conjunction with human and physical capital. Social capital contains the social capacity which is beneficial to the efficiency and associated capital of social polic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ategic plans in order to establish researcher information systems in term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researcher resources at the national level.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firstly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r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was examined. The analysis of researcher information systems includes information systems in the national R&D management institutes, the national distribution institutes, and the government funded research centers. Secondly, strategic plans for researcher information systems as social capital were discussed.

조재인(인천대학교) pp.85-10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085
초록보기
초록

정보환경의 변화와 전통적 도서관 목록의 불일치에 대한 문제가 대두면서 영미를 중심으로 한 도서관계에서는 국제목록원칙을 재천명하였고, 올해 말 최종 발표를 앞두고 RDA의 검토가 진행 중이다. JSC는 RDA에 FRBR 개념을 담아내면서도 수 십년간 고수된 MARC을 존속시킬 수 있는 해법을 찾기 위해 다양한 수준의 구현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 새로운 서지의 개념 모델인 FRBR과 최근 재천명된 국제목록원칙규범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전개된 RDA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RDA 구현을 위한 3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현행 MARC을 변용해 구현할 근접한 서지 제어 체계의 변화 내용과 FRBR 엔티티를 기반으로 시멘틱 웹 구조를 사용하게 될 미래의 목록 작성 작업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 주요 서지 기관의 대응 현황을 살펴보고 RDA/FRBR과 KCR의 관계, KORMARC의 변용 및 존속 여부, 전거 통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우리나라 서지 제어 체계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Disagreements between the technical environment and the conventional library catalog have caused a re-clarification of International Cataloguing Principles (ICP). Review is under way to finalize the publication of RDA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in late 2009 by the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The impending RDA is based on FRB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which re-explains the bibliographic universe focused on entities,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s, but tries to maintain MARC as an encoding format for RDA. In this study, firstly FRBR, ICP and RDA were analyzed. Secondly, we propose 3 scenarios of RDA implementation: the future cataloging system based on the FRBR Entity, using a semantic web structure, and the scenario using the existing MARC format with some small changes. Finally, by examining response patterns of overseas bibliographic institutions, we present a set of urgent issues for future directions of bibliographic contro in Korea which includes, but not limited to, relationship between RDA/FRBR and KCR (Korean Cataloging Rules), continuation of KORMARC and authority control.

이무진(광운대학교) ; 남태우(중앙대학교) pp.107-14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1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갈등수준 지표를 선정하여 갈등수준을 측정하고,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요인을 밝혀 대학도서관의 갈등해소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립대학교 24개 도서관 및 국공립대학교 12개 도서관 등 총 36개 대학도서관에 재직 중인 739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515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512부를 조사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12.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6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rable means to resolve conflicts in university libraries by measuring conflict levels and by revealing the causes of the conflicts with reference to the conflict level indices which were selected by university library staff. In order to attain the research objectives, a total of 36 university libraries (24 private universities and 12 public universities) were selec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39 library staff members and 515 answer sheets were collected. Among them, 512 sets of answers were taken as data for this research. Six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안영희(백석대학교 학술정보관) ; 박옥화(충남대학교) pp.147-16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1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이러닝 콘텐츠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한 아카이빙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닝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 국․내외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용 기반 메타데이터 표준을 검토하였다. KOCW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육용 메타데이터인 KEM3.0에서는 아카이빙 관련 메타데이터 요소를 수용하고 있지 않아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범주를 확장하고 요소를 추가하였다. 확장된 KEM3.0+ 요소로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적용해 본 결과, 이러닝 콘텐츠를 아카이빙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our purpose was to develop the metadata elements for archiving e-learning content being generated by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e-learning content providing services both domestically and overseas and then compared each standard for metadata for e-learning content built for educational purposes. We found that KEM (Korea Education Metadata) 3.0, a server being provided by KOCW (Korea Open CourseWare), does not currently accommodate the metadata elements for archiving. In this study, we extended and added the scope of metadata elements for archiving based on KEM 3.0. We also tried to build up metadata for archiving the e-learning content provided based on KEM 3.0+. As a result of this study, a basis for archiving elLearning content is expected to be founded.

김광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심강섭(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곽승진(충남대학교) pp.163-18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163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사용자가 검색에 사용한 질의어를 기반으로 개인의 성향정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검색을 하기 위해서 입력한 질의어를 문서분류기를 이용하여 범주를 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레코드에 미리 부여된 DDC 분류코드를 분류정보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질의어를 기반으로 개인의 특징을 분석한다. 분석된 개인의 성향정보를 검색 결과에 반영하고 개인의 의도에 맞는 문서를 재순위화시키는 개인화 검색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인의 성향정보를 이용하여 단어의 중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운영 중인 과학기술학회마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개인화와 단어중의성해소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과 사용자 평가를 통해서 개인화 검색 및 단어중의성 해소 성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describe a developmental system for establishing personal information tendency based on user queries. For each query, the system classified it based on the category information using a kNN classifier. As category information, we used DDC field which is already assigned to each record in the database. The system accumulates category information for all user queries and the user's personalized feature for the target database. We then developed a personalized retrieval system reflecting the personalized feature to produce search result. Our system re-ranks the result documents by adding more weights to the documents for which categories match with the user's personalized feature. By using user's tendency information, the ambiguity problem of the word could be solv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experiments for personalized search and word sense disambiguation (WSD) on a collection of Korean journal articles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na. Our experimental result and user's evaluation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ersonalized search system and WSD is proved to be useful for actual field services.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181-19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181
초록보기
초록

국내외 검색 포털들은 검색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책, 전문정보 서비스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검색 포털들의 책, 전문정보 서비스를 분석, 평가하고, 국내 주요 포털들과 대학도서관과의 연계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책 서비스, 전문정보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되고, 이용자가 우수한 책, 전문정보 서비스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차별화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erform an evaluation of the book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major search portal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rch portals and academic libr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portals’ book 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Users can refer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hoosing services from search port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als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tiation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박옥남(성균관대학교) ; 오삼균(성균관대학교) ; 김세영(성균관대학교) pp.197-21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1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분야 분류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패싯 기반의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류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국내외 도메인 전문가와 분류전문가가 협력을 통해 분류시스템을 향상시켜 그 결과 13개의 메인 패싯과 다양한 하위 용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분류시스템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자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이용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이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개념에 대한 문화적 격차를 해소시키는 데 사용되기를 바란다.

Abstract

The study acknowledges the need for classification system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study constructs a face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this domain based on systematic methods. The study utilized iterative collaboration between domain experts and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rs. The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s of 13 main facets and terms. The classification system has values to manage information resourc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t is also beneficial for reducing cultural gap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providing an information gateway for users.

윤명희(파주시 중앙도서관) ; 김기영(연세대학교) pp.221-24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2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08년 전국 공공도서관 평가사업에서 제시되었던 평가지표에 대해 현장사서들이 인식하는 실제 업무에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자치단체 대, 중, 소그룹 및 교육청 대그룹에 속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항목별 유용성에서는 계획부문이나 계량화된 측정이 용이한 항목에서 유용성이 높았고, 인적자원이나 시설과 같은 항목에서는 유용성이 낮았으며, 도서관 그룹별, 혹은 사서의 특성에 따른 유용성 차이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향후 공공도서관 평가 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measures of the 2008 Korean Public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as perceived by librarians in practice using a survey. The survey was answered by librarians in large, medium, and small-sized libraries managed by local autonomous bodies and in large-sized libraries that belong to local education authoritie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whereas the usefulness of items was higher in planning area and those items that can be easily counted, and usefulness of items in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was lower. There are no significant results in differences by library size and by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ian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이지연(연세대학교) pp.247-267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24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장서관리의 세부운영지침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장서관리 지침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지침은 세부적으로 일부 이용자와 관련하여 명시하기 쉬운 업무를 위주로 성문화된 지침을 가진 곳이 많았으나 포괄적으로 장서관리를 다루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지침이 마련된 곳은 없었다. 특히 작은도서관, 병원, 교도소, 병영도서관 등 전문 인력과 재원이 부족한 작은 규모의 도서관에서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업무에 어려움을 겪거나 실무에 바로 참고할만한 지침을 갖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ollection management process and its requirements for public libraries. The surve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tailed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and to grasp its requirements varying across different types of public libraries.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were librarians who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which achieved excellence in the 2008 nationwide library management assessme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most public libraries do not have organized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covering the whole collection management area. In addition, small libraries such as those in hospitals, armies, and prisons have difficulties in managing collections since they do not have proper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이진경(연세대학교) ; 김희정(국제백신연구소(IVI)) pp.269-29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269
초록보기
초록

TV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유용한 기술 메타데이터(descriptive metadata)인 PB 코어와 MBC TV 프로그램 기록물 업무 담당자와의 인터뷰 내용들을 기반으로 하여 실무적 특성을 반영한 TV프로그램 정보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였다. 핵심이 되는 정보를 추출하고 정확한 스키마를 구성하기 위하여 TV프로그램 정보를 시각화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적 내용(Intellectual Content), 지적 자산(Intellectual Property), 물리적 내용(Instantiation), 확장 내용(Extensions) 등의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메타데이터 세부 요소들을 선정하였다.

Abstract

The metadata elements of TV programs were designed based on PBCore (Public Broadcasting Metadata Dictionary), which is useful descriptive metadata for TV programs, and on interview results with TV program records managers. TV program information was visualized to extract core information and build a proper schema. Through this analysis, detailed metadata elements were designed in four representative areas: intellectual content, intellectual property, instantiation and extensions.

김종애(경기대학교) pp.297-31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2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지식 커뮤니티에서의 지식기여에 대한 태도와 지식기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요인의 통합모형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지식 커뮤니티에서의 지식기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동기요인으로는 즐거움, 지식 자기역능감, 책임감을, 외재적 동기요인으로는 기대 상호이익, 이미지, 주관적 규범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지식기여에 대한 태도와 나아가 지식기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재적 동기요인 중 즐거움과 지식 자기역능감이 지식기여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책임감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요인 중 기대 상호이익은 지식기여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미지와 주관적 규범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ribute knowledge to online communities. It examined enjoyment,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mitment as the intrinsic motivational factors, and anticipated reciprocity, image, and subjective norm as the extrinsic motivational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intrinsic motivational factors, enjoyment and knowledge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attitudes towards knowledge contribution to online communities, but commitment was not. Of the extrinsic motivational factors, anticipated reciproc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knowledge contribution to online communities, but image and subjective norm were not.

배창섭(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김현희(명지대학교) pp.313-333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13
초록보기
초록

국내 대학 도서관의 정보 서비스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해당 학문을 전공한 주제전문사서제도가 정착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현행 사서 교육 제도, 인적 및 물적 자원의 부족 등으로 이를 실현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주제전문사서의 핵심 역할 중 하나로 평가되는 대학 도서관의 SDI 서비스에 프로파일러 개념을 적용한 SDI 프로파일러 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도서관에 적용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제안된 SDI 프로파일러 체계는 사서 역할을 단순 대응 방식이 아닌 이용자에게 직접 다가가는 적극적인 접근 방식으로 전환시키고, 사서들이 해당 조직의 핵심 구성원의 정보 활용 패턴을 분석한 후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참고 서비스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Offering subject-oriented services by subject experts is an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the quality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implement due to the Korean librarian education system and a shortage of human resources. Thus, as an alternative, we proposed an SDI (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profiler system using the concept of a profiler which is used in crime psychology as a specialist who studies a person's behavior for clues to psychology to aid in capturing them, under the assumption that conducting SDI services is one of the subject experts' key roles. And we also mentioned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how to apply it to the reference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The proposed SDI profiler system can change the roles of university librarians from passive to active. Furthermore, it also allows librarians to provide their clients with customized SDI services, thus improving reference services.

조윤희(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pp.335-354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35
초록보기
초록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아주 치명적 불이익이 된다.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홈페이지 접근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화면 읽기 프로그램과 같이 보조 기기를 사용하는 전맹이나 시각적으로 장애를 가진 이용자들이다. 본 연구는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567개 일반 공공도서관 중 지역별 도서관수의 10%범주 내에서 62개를 평가 대상도서관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는 웹 접근성의 국가 표준 지침이 거의 준수되고 있지 않았고, 시각장애인에 의한 평가에도 접근성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웹 콘텐츠 접근에 이중적 불이익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을 인식, 운용, 이해의 용이성과 기술적 진보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n increasing importance of information, being unable to access this information becomes a huge disadvantag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ers who are using assistant equipment such as screen readers are the very class that is having trouble accessing the web content that public libraries provide. In this research 10% of each region's libraries were picked as a research sample. Most of the web content that the public libraries provided did not meet the Internet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as a Korean standard. Also evaluation into web accessibility by the visually impaired was also low. This research suggests some solutions for libraries to reduce the disadvantages that are put upon visually impaired people from various views such as perceivable, operable, understandable, and robust.

설문원(부산대학교) pp.355-377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55
초록보기
초록

공공기록관리 혁신의 일환으로 표준화 정책이 수립된 이후 지난 4년간 기록관리 전 영역에 걸쳐 55개의 표준화 과제가 추진되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 추진된 기록관리 표준화 정책과 추진내용을 평가하여 중장기 표준화 전략 재구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평가는 표준화 관련 정책 문서와 중앙행정기관 기록관리 실무자들과의 면담을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표준화 대상 선정의 적절성, 표준의 질적 수준, 표준화 절차, 표준화 정책 등 4개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Abstract

In 2005,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set up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Plan in the process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and released 55 standards and guidelines based on this plan.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ndardization for records management so far with a critical view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rebuilding standardization strategies. For evaluation, it analyses records management standardization policies and the status of standard development through NAK's standardization policy documents and interviews records managers i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via e-mail. The categories of evaluation are the selection for the standardization areas, the quality of standard content, the standardization procedures, and the policies for sustainable standardization. It evaluates qualitatively with criteria set up in each category and then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cords management standardization.

김정현(전남대학교) ; 문지현(전남대학교) pp.379-397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7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DDC의 주된 성공요인중의 하나인 DDC 간략판에 대한 변천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DC 완전판과 간략판에 대한 전체적인 관련성을 바탕으로 두 판간의 발행년도 및 물리적인 특성을 포함한 비교표를 제시하였으며, 초판부터 최근판인 제14판에 이르기까지 판별 전개내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DDC 간략판에서 사용되고 있는 4개 보조표의 도입 시기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of the abridged D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one of the main factors for DDC's success. For the study, a comparison table including the publication years and the physical features has been presented based on the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ull edited DDC and the abridged DDC. In addition, the contents and features have been analyzed from the first to the latest (14th) edition. Lastly, the time of introduction of four supplementary tables used in the abridged DDC and its development have been investigated.

한승희(서울여자대학교) pp.399-416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태그 공간에서 정보의 효율적 탐색을 위해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연관 태그 클러스터의 생성을 위해 다양한 유사계수와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한 후 그 결과를 평가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관 태그의 클러스터링에 가장 적합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elicious에서 임의의 태그 10개를 대상으로 각각 300개의 문서에서 추출한 연관 태그를 대상으로 태그쌍 간의 연관성을 측정한 후 계층적 기법과 비계층적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된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클러스터 적합도를 측정한 결과, 일반적으로 용어 클러스터링에서 널리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워드 기법이 코사인 유사계수와 결합했을 때 거의 모든 실험 대상에 대해 유사한 경향을 보이면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태그 클러스터는 정보관리 측면에서 유사한 합목적성을 갖는 태그끼리 군집을 이루면서 용어의 중의성을 해소함으로써 태그 공간에서의 이용자의 정보 탐색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In this study, clustering methods with related tags were discussed for improving search and exploration in the tag space.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10 Delicious tags and the strongly-related tags extracted by each 300 documents, and hierarchical and non-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tag co-occurrences. To evaluate the experimental results, cluster relevance was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Ward's method with cosine coefficient, which shows good performance to term clustering, was best performed with consistent clustering tendency.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cluster membership among related tags is based on users' tagging purposes or interest and can disambiguate word sense. Therefore, tag clusters w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search and exploration in the tag space.

김규환(중앙대학교) ; 장보성(중앙대학교) ; 이현정(중앙대학교) pp.417-43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4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논문제목의 구문 및 의미구조를 기반으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의 연구영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08년까지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전문 학술지 3종으로부터 핵심 연구논문 344개를 선정하였다. 해당 연구논문의 제목을 대상으로 구문 및 의미 구조를 분석하여 논문제목에 포함된 키워드들의 역할개념으로 ‘연구도메인’, ‘연구대상’, ‘연구초점’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3개의 역할개념별로 키워드들을 배정하여 군집화 하였다. 군집화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에서 어떤 연구대상이 핵심 연구대상이며 핵심 연구대상은 어느 연구도메인에서 어떤 연구초점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al Science in Korea was analyzed based on the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analysis of article titl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344 articles from three major representative journal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al Science, published from 1999 to 2008. The results of the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analysis of article titles show that the three role concepts of keywords are ‘research domain’,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focus’. Keywords in article titles were clustered into the core subject areas after they were assigned three concepts. Based on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al Science in Korea was proposed.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