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서와 다문화인 이용자의 서울시 공공도서관 다문화 서비스에 관한 인식 연구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Users on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1, v.45 no.1, pp.103-124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103
김영미 (한성대학교)
조인숙 (한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21세기 사회는 이민율의 증가 등으로 점점 빠르게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미 2007년에 외국인 100만 명을 넘어 다문화 국가로 진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 다문화인들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사서와 다문화인 도서관이용자가 가지고 있는 인식이 어떤 것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두 그룹간의 인식을 비교하고 그에 따라 적정한 모델을 구현하는 것이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를 보면 두 그룹 간에는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그러한 차이를 좁혀가는 것이 다문화인들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서비스 모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다문화인 이용자와 담당사서의 인식비교,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e Comparison of Importance Awareness Between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Users,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e Comparison of Importance Awareness Between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Users

Abstract

The 21st century society is becoming globalized rapidly due to mass immigration and South Korea has become a multicultural nation since 2007 with over one million foreigners living here. Due to these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there was a need to provide multicultural programs and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develop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we need to look into what librarians and users of public libraries know of the existing services. We assumed that comparing the two groups, librarians and users, and establishing a fit model w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v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wer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By providing services that help fill in the gap, public libraries could be closer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lp them become integrated into Korean society. We have presented a multicultural service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keywords
공공도서관,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다문화인 이용자와 담당사서의 인식비교,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e Comparison of Importance Awareness Between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Users,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The Comparison of Importance Awareness Between Librarians and Multicultural Users

참고문헌

1.

김현미, 김영옥, 김민정, 이민주. 2008. 생활세계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및 적용방안: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I) . 서울: 한국여성정책 연구원

2.

박미정.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독서 지도 교육 방안 연구 .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3.

박찬영. 2008. 다문화적 상호이해를 위한 인문교육 방안 . 인문정책연구총서, 5: 1-174

4.

서미정. 2009. 공공도서관의 어린이를 위한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신경희. 2007. 농촌의 결혼이민자가정 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연구: 경기도 가평군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정책학과, 사회복지전공

6.

이삼식, 최효진, 박성재. 2009. 다문화가족의 증가가 인구의 양적, 질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연구보고서, 2009-34-1.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이수상. 2009.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디지털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논총 , 14(3): 191-21

8.

임여주. 2009. 미국 공공도서관의 이민자 대상 서비스: 과거와 현재. 情報管理學會誌 , 26(2):7-25.

9.

조동신. 2009. 다문화 도서관의 현황에 대한 연구: 서울과 경기도 일대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16: 187-194

10.

조용완. 2007. 이주민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의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8(2):245-269.

11.

한윤옥. 2008.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도서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12.

Acevedo, Oriana and Bresnahan, Kathleen. 2003. “Providing and Promoting PublicLibrary Services to a Culturally Diverse New South Wales.” [online]. [cited 2010.3.30].<http://www.sitegenerator.bibliotheek.nl/iflautrecht/img/docs/Oriana%20Acevedo.DOC>.

13.

Adkins, Denice Christine. 2000. The effect of Hispanic population proportion on Arizonapublic library services to the Spanish-speaking. Ph.D. diss., The University of Arizona

14.

Caldwell, Naomi Rachel. 2002. A comparison of selection tool sources for developing collections of books about American Indians: General and specialized tools. Ph.D. diss., University of Pittsburgh.

15.

Cooper, Debra. 2008. "Sustaining language diversity: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plis, 21(1):28-32. 

16.

Gill, Philip G. 2001. The public library service: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München: K.G. Saur

17.

Glass, Elizabeth and Sheffield, Debi. 2008. “Best practices in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Library Settlement Program(LSP) at Toronto Public Library.” WLIC: 74th. IFLA General Conference and Council, 10-14 August 2008, Québec, Canada. [online]. [cited 2009.3.30]. <http://archive.ifla.org/IV/ifla74/papers/118-Glass_Sheffield-en.pdf>.

18.

IFLA. 2006. Multicultura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0.1.26]. <http://archive.ifla.org/VII/s32/pub/MulticulturalLibraryManifesto.pdf>.

19.

IFLA/UNESCO. 2009. Multicultural communities;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3rd ed. rev. [online]. [cited 2010.5.31]. <http://www.ifla.org/files/library-services-to-multicultural-populations/publications/multicu ltural-communities-en.pdf>.

20.

Khader, Majed Jalal A. 1992. Model of library services proposed for public libraries serving the Arab-American communities. Ph.D. diss., Texas Woman's University

21.

New York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0.6.9]. <http://www.nypl.org/>.

22.

Picco, M. A. Paola. 2008. “Multicultural Libraries' services and social integration: The case of public libraries in Montreal Canada.” Public Library Quarterly, 27(1): 41-56

23.

Rodrigues, A. 2006. “Serving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in South African Public Libraries.”Libri, 56(4): 213-226

24.

Shoham, Snunith and Rabinovich, Rachell. 2008. "Public library services to new immigrants in Israel: The case of immigrant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and Ethiopia."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40(1): 21-42

25.

State Library of Queensland. [online]. [cited. 2010.6.3]. <http://www.slq.qld.gov.au/>.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