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방안 연구

A Research for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English Reading Programs at Public Children's Librar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1, v.45 no.1, pp.395-415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395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타당성, 문제점 및 효과성을 평가하고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사례로 서울시 소재 공공어린이도서관인 ‘S 어린이도서관’의 학부모 및 프로그램 참가 아동을 대상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및 프로그램 관찰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keywords
Public Children's Library, Reading Program, English Reading Program,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Case Study, Survey Research, Public Children's Library, Reading Program, English Reading Program,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Case Study, Survey Research, 공공어린이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영어독서프로그램, 어린이서비스, 사례조사, 설문조사

Abstract

This research intend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suitability of English reading programs at public children's libraries and provide their effective administration strategies.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operational practices of public children's library programs. Further, it conducted the survey for parents at ‘S Children's Library’ in Seoul on their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of the English reading programs. In addition, the study performed the surve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as well as the observations of their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mprove administration strategies for English reading programs.

keywords
Public Children's Library, Reading Program, English Reading Program,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Case Study, Survey Research, Public Children's Library, Reading Program, English Reading Program,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Case Study, Survey Research, 공공어린이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영어독서프로그램, 어린이서비스, 사례조사, 설문조사

참고문헌

1.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http://www.libsta.go.kr>.

2.

송정숙, 한승록. 2007. 초등학생의 독서활동과 창의성 및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 교육연구 , 21:72-101.

3.

신의진. 2002. 조기교육과 발달 병리적 문제.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 29-42.

4.

우남희, 서아람. 2010. 그림책과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방법의 비교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7(2): 23-47.

5.

우남희, 서유현, 강영은. 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정책연구과제,2002-16.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이귀옥, 우남희. 2008. 유아의 영어수준이 모국어 수준 및 영어경험과 상관이 있는가? 이중언어학 ,38: 305-340.

7.

이명조. 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조기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 107-126.

8.

전예화. 2003. 영어교육 어릴수록 효과적인가? 유아교육연구 , 20(2): 136-166.

9.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0(3): 53-71.

10.

한유미, 조복희. 1999. 유아의 모국어 능력, 외국어 경험 정도와 상위언어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 20(3): 199-216.

11.

한윤옥. 2008.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2.

함정현, 김종남. 2010. 농촌지역 영어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방안. 농촌지도와개발 , 17(2): 261-277

13.

홍현진 외. 2009. 어린이도서관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을 위한 도서관 실태조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3(2): 53-90.

14.

황혜신. 2004. 조기 영어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497-506.

15.

Campbell, R. & Sais, E. 1995. “Accelerated metalinguistic(phonological) awareness inbilingual children.”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3: 61-68.

16.

Chomsky, N. 1972. Language and mind. New York: Harcourt Brace & Jovanovich.

17.

Danley, Elizabeth. 2003. “The public children's librarian as educator.” Public Libraries, 42(2):98-101.

18.

Elley, W. 2000. “The potential of book floods for raising literacy levels.” International Reviewof Education, 46(3): 233-255.

19.

Krashen, Stephen D. 1995. “School libraries, public libraries, and the NAEP reading scores.”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23: 235-238.

20.

Krashen, Stephen D. 2004. The Power of Reading: Insights from the Research. 2nd ed.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21.

Stewart, Mark R. 2004. “Phonological awareness and bilingual preschoolers: Should we teachit and, if so,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2(1): 31-37.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