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사서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on Educational Graphic Novel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4, pp.341-360
https://doi.org/10.4275/KSLIS.2012.46.4.341
임여주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학습만화 열풍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위한 첫 걸음으로 어린이들의 독서 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들은 대체로 학습만화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부 “학습적인” 학습만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학습만화가 또래에 비해 읽기능력이 뒤쳐지는 어린이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인터뷰에 응한 교사 모두가 학습만화에 대한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강력히 느끼고 있었다.

keywords
Children, Educational Graphic Novels, Comics, Teacher, School Librarian, Reading, 어린이, 학습만화, 만화, 교사, 사서교사, 독서, Children, Educational Graphic Novels, Comics, Teacher, School Librarian, Reading

Abstract

This study is part of a larger project that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children’s use of educational graphic novels (EGNs), a publication format that has been popular among young readers in Korea since 2000.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uncovered tension and gaps between these adult professionals and children’s enjoyment of the format. Interviewees’ views on EGNs ranged from limited tolerance to a potential candidate for high-interest / low-vocabulary reading. Al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urged for guidelines and criteria for selecting and evaluating EGNs for children.

keywords
Children, Educational Graphic Novels, Comics, Teacher, School Librarian, Reading, 어린이, 학습만화, 만화, 교사, 사서교사, 독서, Children, Educational Graphic Novels, Comics, Teacher, School Librarian, Reading

참고문헌

1.

강현주, 정현선. 2009. 학습만화 『초등과학 학습만화 WHY? 시리즈』와 『살아남기 시리즈』의 스토리텔링 방식과 독자 인식에 관한 연구. 『독서연구』, 21: 163-200.

2.

김승민. 1989. 『학습만화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3.

노은혁. 2006. 『학습만화의 표현형식과 유용성 연구: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4.

라경례. 2007. 2007년 7월 19일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에서 연구자와의 인터뷰.

5.

백진환, 한윤옥. 2011. 학습만화독서지도 및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213-229.

6.

이승남. 2005. 학습만화 정의. 『한국만화 가이드북: 학습만화』. 부천: 부천만화정보센터.

7.

이종문. 2012.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43(2): 227-246.

8.

이지현. 2003.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서관의 도서선택에 관한 사례 연구. 『독서문화연구』, 3: 83-115.

9.

임영례. 2009. 『학습만화를 통한 독서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임종업. 2005. 학습만화 애들에게 사줄 만합니까. 『한겨레』, 6월 30일.

11.

조미아. 2009.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93-516.

12.

최영임, 한복희. 2009. 학습만화를 활용한 효율적인 독서지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51-270.

13.

표정훈. 2009. 학습만화 열풍의 명암. 『출판문화』, 46(4): 26-29.

14.

홍재철. 2005. 편집자와의 이야기. 『한국만화 가이드북: 학습만화』. 부천: 부천만화정보센터.

15.

황해연. 2006. 『학습만화의 교육적 역할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을 위한 역사 학습 만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6.

Harrell, M. C., & Bradley, M. A. 2009. Data Collection Methods: Semi-Structurd Interviews and Focus Groups.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17.

Henn, M., Weinstein, M., & Foard, N. 2006. A Short Introduction to Social Research. London: Sage Publications.

18.

Krashen, S. D. 2004. The Power of Reading: Insights from the Research. Westport, Connecticut: Libraries Unlimited.

19.

Livesey, C., & Lawson, T. 2005. AS Sociology for AQA. London: Hodder Education.

20.

Mason, J. 2004. “Semistructured Interview.” In Lewis-Beck, M. S., Bryman, A., & Liao, T. F. The Sage Encyclopedia of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21.

Rosenblatt, L. M. 1978.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The Transactional Theory of the Literary Work.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2.

Rosenblatt, L. M. 1986. “The aesthetic transaction.”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20(4):122-128.

23.

Rosenblatt, L. M. 2005. Making Meaning with Texts: Selected Essays. Portsmouth, NH: Heineman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