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Work Stress Measurement Tool for Academic Librarian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3, v.47 no.3, pp.181-205
https://doi.org/10.4275/KSLIS.2013.47.3.181
이종윤 ((주)보인테크)
조현양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업무수행 과정에서 받고 있는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실증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국내․외 대표적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분석하여 종합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 심층면접법을 도입하여 대학도서관 사서가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스트레스 요인을 추적하였다. 또한 두 척도를 종합한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동료관계 갈등요인’, ‘상하관계 갈등요인’, ‘업무보상․평가요인’, ‘감정노동 요인’, ‘물리적 환경요인’, ‘고용안정성’, ‘심리적 직무요구요인’, ‘의사결정 및 책임요인’, ‘업무복잡성 요인’, ‘업무경계 갈등요인’, 그리고 ‘신체적 직무요구요인’ 등 11개 요인, 46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서를 위한 직무스트레스 척도가 개발되었다.

keywords
직무스트레스, 사서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척도, 대학도서관 사서, Work Stress, Librarian Work Stress, Work Stress Measurement, Academic Librarian, Work Stress, Librarian Work Stress, Work Stress Measurement, Academic Librari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job-stress scale for librarians who work in university libraries. The study was first conducted by analyzing existing representative job-stress scales that are us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particular job stress that academic librarians have, the in-depth interview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selected, and 15 librarians who work at a 4-year system university librar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o analyze the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tract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extract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For the rotation method, a varimax rotation was applied. A tertiary measurement tool with a total of 46 questions for 11 factors was developed after removing measurement questions that were reje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tertiary measurement tool, 11 factors were extracted. Those 11 factors include ‘peer relation conflict factor(factor 1)’, ‘superior-subordinate relation conflict factor (factor 2)’, ‘work compensation evaluation factor(factor 3)’, ‘emotional labor factor(factor 4)’,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factor 5)’, ‘employment stability(factor 6)’, ‘job demand factor(psychological) (factor 7)’, ‘decision-making and responsibility factor(factor 8)’, ‘work complexity factor(factor 9)’, ‘work boundary conflict factor(factor 10)’, and ‘job demand factor(physical)(factor 11)’.

keywords
직무스트레스, 사서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척도, 대학도서관 사서, Work Stress, Librarian Work Stress, Work Stress Measurement, Academic Librarian, Work Stress, Librarian Work Stress, Work Stress Measurement, Academic Librarian

참고문헌

1.

강동묵 외. 2005.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서울: 고려의학.

2.

김항석, 한광현. 1991.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산업개발연구.., 10: 83-104.

3.

류인석. 1997.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4년제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2): 7-33.

4.

박근완, 박광태. 2012.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환경, 직무스트레스, 피로도가 직업 만족에 미치는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13(5): 59-79.

5.

박소영. 2013.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6.

배점모. 2013.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7.

송승섭. 2000. 대학도서관의 정보기술 도입이 사서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17(3): 125-146.

8.

선종욱, 오병섭, 황덕수, 김종윤. 2010. ..직무스트레스 개론... 파주: 한국학술정보.

9.

오옥경. 1985. ..직무와 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0.

유길호. 1998.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만족도와 인지양식의 관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2): 77-96.

11.

이종목, 박한기. 1988. 직무 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4(1): 241-262.

12.

이종목. 2008. ..직무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전략...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13.

이형렬. 2012.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대처 전략의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14.

임덕순. 1985. ..사서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분석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5.

전효진. 나영아. 2012. 호텔 종사원의 역할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6(6): 509-524.

16.

조현태. 2012. ..소방방재청과 병원 근무 응급구조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17.

홍승만. 2000.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 영향요인의 전략적 활용방안... 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대학원.

18.

하미나 외. 2003.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1차년도)...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 2012. ..2012 대학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

20.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1. ..직업성 스트레스 조사표 개발 - NIOSH 조사표의한국어판 개발... 서울: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1.

허선. 2013. ..감염관리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대학원.

22.

Beehr, T. A., & Gupta, N. 1978. “A Note on the Structure of Employee Withdrawal.”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1: 73-79.

23.

Boines, G. J., & Horoschak, S. 1953. “Tension state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use of dimethylane in management.” Industrial medicine & surgery, 22(5): 228-230.

24.

Bunge, C.A. 1990. “Stress in the library,” in Albritton, R.L. and Shaughnessy, T.W. (Eds), Developing Leadership Skills: A Source Book for Librarians. Libraries Unlimited, Englewood, CO.

25.

European Commission. 2002. Guidance on work-related stress: Spice of life or Kiss of death? Executive summary. Luz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6.

Cicei, C. C. 2012.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omanian public organization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33: 1077-1081.

27.

Davidson, M. J., & Cooper, C. L. 1983. Stress and the Women Manager. Palgrave Macmillan.

28.

Farler, L., & Broady-Preston, J. 2012. “Workplace stress in libraries: A case study." Aslib Proceedings: New Information Perspectives, 64(3): 225-240.

29.

Hellriegel, D., Slocum, J. W., & Woodman, R. W. 1986. Organizational behavior. West publishing company.

30.

Karasek, R., Brisson, Q., & Amick, B. 1998.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 Instrument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Assessments of Psychosocial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3(4): 322-355.

31.

McCarty, W. P., Zhao, J. S., & Garland, B. E. 2007.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between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Are there any gender differences?”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30(4): 672-691.

3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1999. Stress at work. DHHS (NIOSH) Publication No. 99-101. Cincinnati: NIOSH.

33.

Nawe, J. 1995. “Work-related stress among the library and information workforce." Library Review, 44(6): 30-37.

34.

Quick, J. C., & Quick, J. D. 1984. Organizational stress and preventive management. McGraw-Hill.

35.

Roth, S. F., Heo, G., Varnhagen, C., & Major, P. W.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orthodontics.”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26(1): 106-109.

36.

Schuler, R. S. 1984.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A model and overview.” Handbook of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35-67.

37.

챓nol-Durak, E., Durak, M., & Gen悟z, T. 2006. 밆evelopment of work stress scale for correctional officers.?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6(1): 160-162, 165-166.

38.

Smith, J. A. 1956. “Occupational stress and emotional illnes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61(11): 1038-1040.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