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in Social Media Age: Focusing on Redefinition, Contents and Media of Information Literac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3, v.47 no.3, pp.385-406
https://doi.org/10.4275/KSLIS.2013.47.3.385
오의경 (상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보리터러시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리터러시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재정의를 위하여, 오늘날의 정보환경을 표현하는 정보리터러시 2.0, 사회적 맥락, 메타리터러시, 트랜스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조사, 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사회적 관계’, ‘미디어 융합과 다양성 인식’, ‘정보에 대한 평가적 안목’ 등을 추출하였다. 교육의 방법(미디어)을 결정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의 편재성을 조사하였고, 조사결과 소셜미디어는 편재성이 높은 미디어로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활용되는 것이 적절함을 밝혔다. 후속연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정보리터러시, 정보리터러시 2.0, 사회적 맥락, 사회적 관계, 메타리터러시, 트랜스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리터러시, 소셜미디어, 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 편재성, 미디어 융합, 평가적 안목,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2.0, Social Context, Social Relationship, Metaliteracy, Trans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Literacy, Social Media, Social Network, Facebook, Ubiquity, Media Convergence, Evaluative Insight,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2.0, Social Context, Social Relationship, Metaliteracy, Trans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Literacy, Social Media, Social Network, Facebook, Ubiquity, Media Convergence, Evaluative Insight

Abstract

This study redefines information literacy (IL) and recommends its contents and media (platforms). Redefinition of IL was based on concepts such as ‘Information Literacy 2.0’, ‘Social Context’, ‘Metaliteracy’, ‘Trans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and related researches. ‘Social Relationship’, ‘Media Convergence’, ‘Critical and Evaluative Insight on Information’ was extracted by major contents of new IL. To determine program methods, mass media’s ‘ubiquity’ was applied to the study. Some social statistics reports proved that ubiquity of social media is quite high. Finally, proposed empirical study of IL using social media by follow-up study.

keywords
정보리터러시, 정보리터러시 2.0, 사회적 맥락, 사회적 관계, 메타리터러시, 트랜스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리터러시, 소셜미디어, 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 편재성, 미디어 융합, 평가적 안목,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2.0, Social Context, Social Relationship, Metaliteracy, Trans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Literacy, Social Media, Social Network, Facebook, Ubiquity, Media Convergence, Evaluative Insight,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2.0, Social Context, Social Relationship, Metaliteracy, Trans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Literacy, Social Media, Social Network, Facebook, Ubiquity, Media Convergence, Evaluative Insight

참고문헌

1.

권정은. 2011. 미래 사회의 新학습모델, 소셜 러닝의 부상. ..IT & Future Strategy.., 4호. 서울:한국정보화진흥원.

2.

김성은, 이명희. 2006.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77-200.

3.

김영래. 2010. 소셜미디어와 기독교 교육-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참여적 신앙교육의 모색. ..신학과세계.., 69: 411-437.

4.

김윤선. 2012.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쓰기 교육’을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6(3): 249-279.

5.

김태훈, 한복희. 2010.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253-266.

6.

김효숙. 2012.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학습과학연구.., 6(2): 20-38.

7.

박일우. 2012. 교양교육에서 인터넷 집단지성의 활용을 위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2012년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69-89.

8.

신선. 2013.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현황. ..KISDI STAT Report.., (13-04): 11-15.

9.

윤석민. 2012. 2012년의 언론과 미디어 동향 회고. ..관훈저널.., 127: 177-181.

10.

오택섭, 강현두, 최정호. 2003. ..미디어와 정보사회... 서울: 나남출판.

11.

이동후. 2009. 융합 미디어 환경, 트랜스리터러시, 그리고 디지털 주체의 양가성. ..한국방송학회세미나 및 보고서 Beyond Convergence: 디지털 컨버젼스의 미래.., 15-32.

12.

이수상. 2012. 도서관 페이스북 페이지의 운영 실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347-372.

13.

이수상. 2007. 우리나라 대학생의 정보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87-103.

14.

이용재, 이수상, 조용완, 장임숙. 2009.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113-137.

15.

이혜영, 남태우. 2008.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척도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503-532.

16.

이현실. 2004.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303-322.

17.

장덕현, 최고운. 2008.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37-60.

18.

장혜란, 오의경. 2005. 대학생의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4): 207-231.

19.

정부부처 SNS 지도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2013.6.30]. <http://app.pr.go.kr/sns/html/snsmap.aspx>.

20.

정영미. 2009. 정보활용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265-280.

21.

정재영. 2008. 대학도서관의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95-217.

22.

조용완, 이수상. 2008.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리터러시 현황 분석 -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0): 75-99.

23.

..아주경제.., 2013. 가입자 1억, 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 탄생 배경은? 7월 21일. [cited 2013.7.22]. <http://www.ajunews.com/kor/view.jsp?newsId=20130721000111>.

24.

한국방송학회 방송과 수용자연구회. 2012. ..소셜미디어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5.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Chicago: ALA.

26.

Association of College Research Libraries.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cited 2013.4.1]. <http://www.ala.org/acrl/standards/informationliteracycompetency#ilhed>.

27.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stitute for Information Literacy. 2004.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Principles, Sandards and Practice. [cited 2013.4.1]. <http://www.library.unisa.edu.au/learn/infolit/Infolit-2nd-edition.pdf>.

28.

Council of Australian University Librarians. 2001.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 [cited 2013.4.1]. <http://www.caul.edu.au/caul-programs/information-literacy/publications>->InfolitStandar ds2001.doc.>.

29.

Doyle, C. S. 1992. Development of a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Outcome Measures within Nation Education Goals of 1990. Doctoral Dissertation, Northern Arizona University.

30.

Harris, B.R. 2008. “Communities as Necessity in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Challenging the Standard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4(3): 248-255.

31.

Jenkins, Henry 저. 2008. ..컨버전스 컬처: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의 충돌... 정희원, 김동신 역.서울: 비즈앤비즈.

32.

Lloyd, A. 2006. “Information Literacy Landscapes: an Emerging Picture.” Journal of Documentation, 62(5): 570-583.

33.

Mackey, Thomas P., & Jacobson, Trudi E. 2011. “Reframing Information Literacy as Meataliterac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2(1): 62-78.

34.

McClure, C. R. 1994. “Network Literacy: A Role for Librari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 13(2): 115-125.

35.

Norgaard, R. 2004.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in the Classroom.”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3(3): 220-226.

36.

Noelle-Neumann, Elizabeth. 1974. “The Spiral of Silence: a Theory of Public Opinion.” Journal of Communication, 24: 43-51.

37.

Shapiro, Jeremy, & Hughes, S. K. 1996. “Information Literacy as a New Liberal Art: Enlightenment Proposals for a New Curriculum.” Educom Review, 31(2): 31-35. [cited 2013.7.1]. <http://www.ogs.edu/resources/docs/library/infolit.pdf>.

38.

Spiranec, Sonja, & Zorica, Mihaela Banek. 2010. “Information Literacy 2.0: hype or discourse refinement?” Journal of Documentation, 66(1): 140-151.

39.

Sudin, O. 2008. “Negotiations on Information Seeking Expertise: a Study of Web-based Tutorials for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Documentation, 64(1): 24-44.

40.

Thomas, S. et al. 2007. “Transliteracy: Crossing Divides.” First Monday, 12(12-3). [cited 2013.7.13]. <http://firstmonday.org/ojs/index.php/fm/article/view/2060/1908>.

41.

The Society of College, National and University Libraries. 2011. The SCONUL Seven Pillars of Information Literacy-Core Model for Higher Education. [cited 2013.4.1]. <http://www.sconul.ac.uk/sites/default/files/documents/coremodel.pdf>.

42.

Tuominen, K. 2007. “Information Literacy 2.0.” Signum, 40(5): 6-12.

43.

Tuominen, K., Savolainen, R., & Talja, S. 2005. “Information Literacy as a Sociotechnical Practice.” The Library Quarterly, 75(3): 329-345.

44.

Socialbakers.com [cited 2013.4.15, 2013.7.14]. <http://www.socialbakers.com>.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