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전후 인식변화연구

A Study on Percep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an LIS Student-Librarian Mentoring Program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1, pp.117-147
https://doi.org/10.4275/KSLIS.2014.48.1.117
노영희 (건국대학교)
최원태 (건국대학교)
홍수지 (국립세종도서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과가 입증되고 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멘티를 모집하고 멘티가 원하는 멘토를 선정한 후 약 3개월간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프로그램 전후 설문을 통해 인식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핵심적인 연구결과만을 제시하면, 첫째,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티들의 현장실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진로 및 비전 설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 기간은 6개월 정도, 멘토링 시간은 회당 2-3시간이 적당하다고 하였고 멘토 및 멘티에 대한 정보가 멘토링 전에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멘토링의 재참여 의지는 두 집단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경제적 지원, 장소지원, 기획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keywords
예비사서 멘토링, 멘토링 프로그램, 멘토, 멘티, LIS Student-Librarian Mentoring, Mentoring Program, Mentor, Mentee

Abstract

Mentoring programs have proven highly successful in many industries, and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uch programs in other field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o design and operate an LIS student-librarian mentoring program. To accomplish this, mentees were selected from the LIS students at K University, and mentors were selected by mentees from a pool of LIS workers. The mentoring program was then operated for three months, and all participant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librarian mentoring program allowed mentee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field, and help them to set career paths and goals. Second, participants insisted that six months is a more appropriate mentoring period, 2-3 hours per meeting is proper as a mentoring time, and considered that the information for mentors and mentees must be provided to each other before mentoring. Third, the intention to rejoin a mentoring program in the future was very high in both groups, but they insisted that the financial support, locational support, and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mentoring program must be considered.

keywords
예비사서 멘토링, 멘토링 프로그램, 멘토, 멘티, LIS Student-Librarian Mentoring, Mentoring Program, Mentor, Mentee

참고문헌

1.

김순규, 이재경. 2007. 빈곤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 14(5): 75-98.

2.

노영희, 안인자, 오세훈. 2013. 사서직 고용현황 및 인력개발에 대한 현장사서 요구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지 , 30(4): 61-91.

3.

박경민. 2008.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연구. 사회복지실천 , 7(1): 159-183.

4.

박현선. 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5.

방진희. 2004. 저소득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심리, 사회 적응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연구. 사회복지실천 , 4: 113-142.

6.

성경주. 2009.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활동의 실태현황, 기대효과 및 활성화 방안 .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청소년지도학 전공.

7.

성문주, 유지영. 2013.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연구: 멘토지원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 24(2): 5-33.

8.

오미선, 권일남. 2012. 멘토의 공감능력이 멘토링관계와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 19(7): 119-136.

9.

유성경, 이소래. 1999. 비행예방을 위한 청소년멘토링프로그램 .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0.

이길영, 황명식. 2004. 대학생 멘토링이 중학생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 , 59(2): 237-268.

11.

이철찬. 2008. 대학도서관 사서의 멘토링에 관한 연구: p대학교 도서관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9(2): 187-198.

12.

전광석. 2010.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멘토의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 23: 206-236.

13.

조혜진. 2009. 보육시설에서 초임교사를 멘토링하는 경력교사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중요요소. 아동교육연구 , 29(5): 21-43.

14.

최경일. 2008.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과 교사 간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 10(1): 47-67.

15.

최선희, 김희수, 양혜원, 이근영, 최지현. 2010a. 저소득 아동․청소년 대상 멘토링에 대한 성과 인식연구: 멘티, 멘토, 멘티부모의 다각적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 17(9): 253-276.

16.

최선희, 김희수, 양혜원, 이근영, 최지현. 2010b. 저소득 아동․청소년 대상 멘토링의 과정 및 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멘티, 멘토, 멘티부모, 실무자 면접 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 12(3):79-118.

17.

최이원. 2003. 중학생 멘토링 경험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대학원 청소년지도학과.

18.

Bullington, J. S. and Boylston, S. D. 2001. “Strengthening the profession: assuring our future.”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62(4): 430-432.

19.

Cannister, Mark. W. 1999. “Mentoring and spiritual well-being of late adolescence.” Adolescence, 34: 769-780.

20.

Dennis, Gregory. 1993. “Mentoring.” Education Consumer Guides. [online] [cited 2013. 7. 5.]<http://www.ed.gov/pubs/OR/ConsumerGuides/mentor.html>

21.

Frecknall, P. and Luks, A. 1992. “An evaluation of parental assessment of the Big Brothers/Big Sisters Program in New York City.” Adolescence, 27(107): 715-719.

22.

Jekielek, S., M., K. A. and Hair, E. C. 2002. Mentoring programs and youth development. Washington D.C.: Edna McConnell Clark Foundation.

23.

Martin, S. M. and Sifers, S. K. 2012. “An evaluation of factors leading to mentor satisfaction with the mentoring relationship.”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5): 940-945.

24.

Pryce, Julia. 2012. “Mentor Attunement: An approach to successful school-based Mentoring Relationship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9(4): 285-305.

25.

Ritchie, A. and Genoni, P. 1998. “How to set up a facilitated Group Mentoring Program.”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Fifth Biennial Conference: Pathways to Knowledge, Adelaide: 569-573.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