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고찰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ibrarianship Employment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1, pp.27-52
https://doi.org/10.4275/KSLIS.2014.48.1.027
안인자 (동원대학교)
노영희 (건국대학교)
이종문 (경성대학교)
오세훈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 졸업생의 희망직업은 사서직 취업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사서직 취업의 향상을 위해 도서관 확충 등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그 효과는 한계가 있고 신규 도서관에 사서를 채용하더라도 정규직보다는 비정규 계약직으로 채용하는 등의 직업환경 또한 밝지 않다. 본 연구는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 통계데이터, 학생 및 사서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정책개선 대상은 사서양성의 측면에서 사서자격제도, 사서양성체계의 개선방안을 살피고, 사서고용의 측면에서 도서관법, 도서관 협의체 서비스의 개선방안으로 4개의 정책적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15개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그 중 도서관법 개선(안)으로는 비정규직 지원체계, 사서직 명칭 및 도서관 명칭 관련 사항, 사서배치기준의 현실화 및 강제화, 모든 관종의 도서관평가 의무화 등을, 관련 협의회 활동사항으로는 사서수상제도 확대, 사서직 취업정보시스템 구축, 사서직 외부홍보자료 구축 및 배포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Librarian, Librarianship, Employment Ratio, Library Law, Librarian Certificate, Educational System, Temporary Job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사서, 사서직, 취업률, 도서관법, 사서자격제도, 교육과정, 비정규직사서, 문헌정보학과

Abstract

The employment prospects of graduat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academic has largely concentrated in the field of librarianship as well as the curriculum of the academic itself. Since there are limitations in increasing the number of libraries and the available posts in the librarianship, the full-time jobs in the field are also limited. Even for the available posts in the field of librarianship, the majority is in contract based posts which does not guarantee a good work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s of librarians. The main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and available statistical data, and a questionnaire targeting students and librarians. The target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4 factors, including, as supply side, improvements in the qualification of librarian certificate, in training for librarians, and as demand side, laws on library employment, and improvement of library services for co-operatives. There are 15 detailed strategies to support the 4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strategies in library related laws, the following elements will be considered; supporting system for temporary jobs, the title of librarian post and the library itself, and librarian placement criteria in terms of its realization and mandatory, and obligations in library evaluation. The Council discussions propose the expansion of librarian award system, provision of information systems for librarian jobs, and developments in promotional materials and their deployment for librarians.

keywords
Librarian, Librarianship, Employment Ratio, Library Law, Librarian Certificate, Educational System, Temporary Job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사서, 사서직, 취업률, 도서관법, 사서자격제도, 교육과정, 비정규직사서, 문헌정보학과

참고문헌

1.

곽동철, 심경, 윤정옥. 2009. 사서자격제도 개선 방안 도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3(2): 193-213.

2.

권두섭. 2012. 교육 공무직원의 채용 및 처우에 관한 법률안. 대한민국국회 연구/동향보고서 학교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2012.7.30.

3.

국립중앙도서관. 2008. 주제전문사서 인력수급 전망 및 제도화 방안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1. 전문사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헌정보학 전공과목 정비방안 연구 .

5.

국립중앙도서관. 2012. 문헌정보학 전공과목의 교과내용 표준모형 개발연구 .

6.

노영희, 안인자, 황금숙. 2008. 국내ㆍ외 전문사서 수요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2):189-208.

7.

이종문. 2009.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선호 직업 및 준비성 실태 분석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40(2): 473-490.

8.

이종문. 2012.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ꡔ한국비블리아학회지ꡕ, 23(4): 125-139.

9.

이종문. 2013. 사서직의 직업지표 현황 및 전망 인식 분석 연구. ꡔ한국비블리아학회지ꡕ, 24(3):99-120.

1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cited 2013. 6. 12.] <http://cesi.kedi.re.kr/index.jsp>

11.

한국도서관협회. 2012. 사서자격 및 사서직제 개선 특별위원회 최종보고서 .

12.

Lux, Claudia. 2003. “The German Library System: Structure and New Developments.” IFLA Journal, 28(2): 113-128. <http://www.ifla.org/IV/ifla69/article-lux.pdf> pp.118-119.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