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Political Issue and Problem of School Library Education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1, pp.299-328
https://doi.org/10.4275/KSLIS.2014.48.1.299
박주현 (광주 신가초등학교)
이명규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교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학교도서관이 교육성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교육과 관련된 법과 주요 정책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교육의 행태와 성과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인적자원의 전문성 향상, 교육과정 개선, 장학 및 지원체계 정비, 관련법 개정을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Education, School Library Policy, Teacher Librarian,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교육, 학교도서관 정책, 사서교사, 학교도서관진흥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esent issues and problems in producing educational performance of school library and to manage school library education ordinarily. For this purpose, after searching the principle and main policies related to school library education, we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es concerned with behaviors and outcomes of school library education. As the result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curriculum improvement, modification of promotion and supporting system, and the amendment related to principles are established as political goals before suggesting progress direction and better method.

keywords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Education, School Library Policy, Teacher Librarian,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교육, 학교도서관 정책, 사서교사, 학교도서관진흥법

참고문헌

1.

강대중, 염시창. 2013. PISA 2009 읽기성취도 데이터를 활용한 학교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 17(2): 323-345.

2.

곽철완. 2009. 학교도서관 진흥 사업 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분석.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3. 2013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 중등 독서활성화 방안 .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 중 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 [online] [cited 2014. 1. 2.]<http://www.moe.go.kr>

7.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계획 .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8.

교육부. 2013. 2013 교원양성기관 현황 . [online] [cited 2014. 1. 2.] <http://www.moe. go.kr>

9.

교육인적자원부. 2002.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0.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3. 9. 1.] <http://www.law.go.kr>.

11.

김대석. 2011. 학교 교육과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PISA 2009 한국의 읽기영역에서 교과 및교과외 활동과 성취도 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 29(4): 161-185.

12.

김성준. 2012.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3(2): 203-225.

13.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2(3): 271-292.

14.

김용하 외. 2011. OECD 국가의 복지지표 비교 연구 .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대검찰청. 통계자료 범죄분석. [online] [cited 2013. 10. 5.] <www.spo.go.kr>

1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7.

송기호. 2011. 시 도교육청 수준의 독서 및 도서관 통합 장학 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5(3): 49-68.

18.

신우성. 2009. 미국처럼 쓰고, 일본처럼 읽어라 . 서울: 어문학사.

19.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3.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조사결과보고서 . 서울: 한국방정환재단. [online] [cited 2013. 10. 2.] <www.korsofa.org>

20.

옥현진, 김경희. 2011. PISA 2009 읽기 영역 결과 분석 연구. 국어교육 , 134: 383-407.

21.

이병기. 201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3(3): 196-216.

22.

이병기. 2009.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0(3): 203-223.

23.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 이용과 학업 능력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4.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 서울모임. 2012. 북미 학교도서관을 가다 . 서울: 우리교육.

25.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2. 2012 청소년 통계 . [online] [cited 2013. 9. 27.]<http://kostat.go.kr>

26.

통계청. 2011. 사회조사보고서 . [online] [cited 2013. 9. 29.] <http://kostat.go.kr>

27.

한국교육개발원. 2012. 2012 한국의 교육지표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011년 국민독서실태조사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2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30.

한국중고생 책상 앞에는 오래 앉아 있지만…. 2008. 동아일보 . 10월 31일. 제15면. http://news.donga.com/3/all/20081031/8651245/1, 한국중고생 책상 앞에는 오래 앉아 있지만… 학습 효율성 OECD 30국중 24위. [online] [cited 2013. 9. 27.] <news.donga.com>

31.

한국출판연구소. 2010. 2010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32.

한국출판연구소. 2009. 2011년 국민독서실태조사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33.

한국출판연구소. 2008. 국민독서실태조사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34.

한국학교도서관연구회. 2013. 사서교사 업무 관련 정책 제안서 . [online] [cited 2013. 10. 6.]<http://cafe.daum.net/kslrs>

35.

Lance, K. C., Hamilton-Pennell, C., Rodney, M. J., Petersen, L. and Sitter, C. 1999. Information Empowered: The School Librarian as an Ag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Alaska Schools. Alaska State Library. [online] [cited 2013. 11. 7.]<http://www.library.state.ak.us/pdf/anc/infoemxs.pdf>

36.

Lance, K. C., Rodney, M. J. and Hamilton-Pennell, C. 2000. Measuring up to Standards:The Impact of School Library Programs & Information Literacy in Pennsylvania Schools. Greensburg, PA: Pennsylvania Citizens for Better Libraries. 재인용: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 이용과 학업 능력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7.

NCES(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4. School Library Media Centers:Selected Results From the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02 (ELS:2002) . [online][cited 2014. 1. 2.] <http://nces.ed.gov/pubs2005/2005302.pdf>

38.

OECD PISA. [online] [cited 2013. 9. 2.] <http://www.oecd.org/pisa/>

39.

OECD PISA. [online] [cited 2013. 9. 2.]<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44455820.pdf>

40.

Lee In-Hoi and Kim Min-Hee. 2013.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Reading Literacy in PISA 2009. 교육종합연구 , 11(1): 1-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