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고품질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for High Quality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List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1, pp.75-9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1.075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에 개발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용어 품질을 검토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국내외 국가도서관의 주제명표목표 사례 조사,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주제명 및 관계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제명 기술의 비일관성, 불분명하고 불필요한 관계 설정, 계층 관계 적용의 비일관성, 최신성 부족, 분류기호의 부정확한 기입, 신규 주제명의 중복 신청, 비우선어 및 미등록어 부여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주제명표목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주제명 정비, 서지 데이터 정비, 주제명표목 검토위원회 운영, 주제명 지침 보완을 고품질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주제명표목, 국립중앙도서관, 통제어, 주제 접근, 용어 품질, Subject Heading, National Library of Korea, Controlled Vocabulary, Subject Access, Terminology Qual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improvements for high qualit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NLK) Subject Headings List which was developed as a subject access tool in 2002.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for subject headings lists of national libraries, and data analysis of headings and relationships were performed. Several problems were found as follows: inconsistency of subject headings descriptions, unclear and unnecessary relationships among headings, inconsistency of hierarchical relationships, lack of currency, incorrectness of classification numbers, duplication of newly requested terms, and assignment of non-preferred and unregistered terms in bibliographic records. Focusing on these problems, modifications of subject headings and bibliographic records,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n review committee on subject headings, and supplementation of a manual were suggested to improve NLK Subject Headings List.

keywords
주제명표목, 국립중앙도서관, 통제어, 주제 접근, 용어 품질, Subject Heading, National Library of Korea, Controlled Vocabulary, Subject Access, Terminology Quality

참고문헌

1.

国立国会図書館. 2013. 国立国会図書館件名作業指針 . [online] <http://www.ndl.go.jp/jp/library/data/kenmeimanual.pdf>

2.

국립중앙도서관 편. 2002.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개발 최종보고서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09. 주제명표목표 매뉴얼 . [미간행자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3.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개방을 위한 고품질화 연구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김정현, 문지현. 2009. LCSH 한국관련 주제명표목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0(3): 49-68.

6.

김정현. 2010.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한 중 일 관련 주제명표목의 변천과정 비교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1(2): 147-169.

7.

김정현. 2011. 주요 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에 나타난 한국관련 주제명 비교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 28(3): 141-162.

8.

김정현. 2013. 주요 국가의 주제명표목표에 나타난 한국의 국경관련 주제명 비교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4(2): 217-239.

9.

김주성, 김태수. 1995. LC주제명표목표와 시소러스의 색인어 구조 비교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 111-114.

10.

김태수. 1997. 주제명표목의 구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14(1): 77-105.

11.

남태우, 전말숙, 정연순, 장로사. 2008. 자료조직 측면에서 독도표기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4): 291-310.

12.

박지영. 2011. 서지레코드의 주제전거를 위한 FRSAD 모형 연구. 정보관리연구 , 42(1): 113-135.

13.

유영준. 2009. 신학학술지의 색인어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0(3): 137-156.

14.

윤정옥. 2001.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LCSH)의 한국과 일본 관련 주제표목의 비교 연구. 도서관 , 56(1): 30-55.

15.

윤혜영. 2003. LC Subject Headings 색인어 구조 분석. 인문사회과학논문집(중부대학교) , 7(2):133-149.

16.

전창호. 2004. DDC에서의 한국, 조선 및 동해의 표기 문제. 도서관문화 , 45(9): 68-73.

17.

정연경. 2010. 정보의 접근점으로서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 표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4(2): 51-72.

18.

최달현, 이창수. 2010. 정보자료의 분류와 주제명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9.

한상완, 김태수, 최석두, 이은철, 남태우. 1995. 주제명 검색요어집 개발에 관한 연구. 도서관 , 50(1): 3-23.

20.

황면, 이재선, 한정원, 한인선, 류희경, 송지혜, 김승정. 2002. 시소러스를 도입한 주제명표목표에관한 연구. 도서관연구회논문집 , 2002: 123-138.

21.

Anderson, James and Hofmann, Melissa. 2006. “A fully faceted syntax for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3(1): 7-38.

22.

Carlyle, A. 1989. “Matching LCSH and user vocabulary in the library catalog.” Cataloging &Classification Quarterly, 10: 37-63.

23.

Chan, Lois Mai and O’Neill, Edward T. 2010. FAST, Faceted Application of Subject Terminology:principles and applications. Santa Barbara, Calif: Libraries Unlimited, 2010.

24.

Chan, Lois Mai and Hodges, Thedora. 2000. “Entering the millennium: a new century for LCSH.”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9(1): 225-234.

25.

Dean, Rebecca J. 2004. “FAST: development of simplified headings for metadat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9:1-2, 331-352.

26.

Fernandez, Cheryl Wise. 1991.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itle phrases and LCSH.”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3(1): 51-77.

27.

Fischer, Karen. 2005. “Critical view of LCSH, 1990-2001: the third bibliographic essay.”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1(1): 63-109.

28.

Frost, Carolyn O. 1985. Student and faculty subject searching in a university online public catalog. [online] <http://www.eric.ed.gov/ERICWebPortal/contentdelivery/servlet/ERICSe rvlet?accno=ED264872>

29.

Jin, Qiang. 2008. “Is FAST the right direction for a new system of subject cataloging and metadat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3): 91-10.

30.

Library of Congress. 2012. Introduction to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online]<http://www.loc.gov/aba/publications/FreeLCSH/lcshintro.pdf>

31.

Mann, Thomas. 2000. “Teaching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9(1): 117-126.

32.

Taylor, Arlene G. and Jourdrey, Daniel N. 2009.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33.

Vizine-Goetz, Diane and Drabenstott, Karen Markey. 1991. “Computer and manual analysis of subject terms entered by online catalog users.” Proceedings of the ASIS Annual Meeting, 28: 156-161.

34.

Walsh, John. 2011. “The use of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in digital collections.”Library Review, 60(4): 328-343.

35.

Wool, Gregory. 2000. “Filing and precoordination: how subject headings are displayed in online catalogs and why it matter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9(1-2): 91-106.

36.

Yi, Kwan and Chan, Lois Mai. 2010. “Revisiting the syntactical and structural analysis of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for the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1(4): 677-687.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