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건강정보서비스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ntion of Accepting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2, pp.221-24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221
남재우 (중앙대학교)
박태연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해외의 공공도서관 기반 건강정보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5개의 웹사이트를 조사하였고, 총 15개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건강정보서비스 도입을 위해 각 콘텐츠의 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콘텐츠가 보통 이상으로 유용하게 조사되었으며, 이 중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콘텐츠는 ‘질병, 투약, 건강관리 정보’, ‘건강강좌, 무료검진 정보’, ‘암 관련 정보’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 소비자건강정보, 콘텐츠 분석, 콘텐츠 구성, Publ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alysis, Contents Composi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tents of websites which provide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reviewed 5 websites and selected 15 sample contents among them. Based on the case model that extracted the contents from the websites, this research analyzed the usefulness of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usefulness of all the contents are rated above the average. Among the contents, The active core contents include ‘information for librarians’, ‘information bout cancer’, ‘health related database’, and ‘multi-lingual health information’.

keywords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 소비자건강정보, 콘텐츠 분석, 콘텐츠 구성, Publ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alysis, Contents Composition

참고문헌

1.

김경선, 유이은영, 권나현. 2013. Bridging Gaps in College Students’ Source Perception and Use. 정보관리학회지 , 30(3): 7-21.

2.

남재우, 김성희. 2013. 건강정보 제시유형이 정보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4(4): 217-238.

3.

노기영, 최정화, 권명순. 2013.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한국방송학보 , 27(5): 49-85.

4.

노영희. 2011a.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5(2): 415-437.

5.

노영희, 오상희, 2011b.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한 공공도서관 소비자건강정보(CHI) 서비스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2(1): 7-77.

6.

노영희, 오상희. 2011c. 공공도서관에서 소비자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사서의 인식 조사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2(3): 25-55.

7.

노영희. 2013a. CHI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2): 265-291.

8.

노영희. 2013b.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4(2): 345-376.

9.

류시원, 하유정. 2004.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 97: 71-87.

10.

박용익. 2006. 의료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개론서의 필요성과 내용 및 연구방법론. 의료커뮤니케이션 , 1(1): 7-17.

11.

안지현, 임인석. 2011. 국가건강정보포털의 의미와 역할. 대한의사협회지 , 54(9): 957-960.

12.

장혜순, 김미라. 2001. 전북 일부지역 중년의 건강 자가인식도와 식생활 및 질병 관련인자가 건강식품 섭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6(5): 744-754.

13.

장혜정, 심재선, 김윤. 2004. 소비자 특성별 건강정보 접근 방법. 대한의료정보학회지 , 10(4):137-149.

14.

정영철, 박현애. 2001. 인터넷 상의 건강정보 평가체계 개발. WebHealth Research , 4: 1-14.

15.

정의철. 2008. 헬스커뮤니케이션과 건강증진: 헬스커뮤니케이션의 발전, 이론, 사례, 전망. 의료커뮤니케이션 , 3(1): 1-15.

16.

홍기선. 2005.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6(2):263-281.

17.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online] [cited 2014. 4. 8.]<http://isis.kisa.or.kr>

18.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39.

19.

Dalton, L.A. and Gartenfeld, E. 1981. “Evaluating printed health information for consumers.”Bulleti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69(3): 322-324.

20.

Deering, M. J. and Harris, J. 1996. “Consumer health information demand and delivery:implications for libraries.”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84(2): 209-216.

21.

Duncan, K. A. 1995. “Evolving community health information networks.” Frontiers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12(1): 5-41.

22.

Goodchild, E. Y. et al. 1978. “The CHIPS project: a health information network to serve the consumer.”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66(4): 432-436.

23.

Hinohara, S. 2002. “On the lifestyle of the aged from the view point of holistic medicine.”Seishin Shinkeigaku Zasshi, 104(12): 1160-1166.

24.

Kassirer, J. P. 1995. “The next transformation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2(1): 52-54.

25.

National Network of Libraries of Medicine. 2014. What is “consumer health information"? [online] [cited 2014. 5. 2.] <http://nnlm.gov/outreach/community/community.html>

26.

Pew Research Center. 2013. Health Online 2013. [online] [cited 2014. 4. 10.]<http://www.pewinternet.org>

27.

Pifalo, V. et al. 1996. “The impact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provided by libraries:the Delaware experience.”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85(1): 16-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