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Yang Kiduk(경북대학교) pp.5-23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step in the Classification-based Search and Knowledge Discovery (CSKD) project, which aims to combine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retrieval approaches for building digital library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generation and application of a faceted vocabulary as a potential mechanism to enhance knowledge discovery. The faceted vocabulary construction process revealed some heuristics that can be refined in follow-up studies to further automate the creation of faceted classification structure, while our concept search application demonstrated the utility and potential of integrating classification-based approach with retrieval-based approach. Integration of text- and classification-based methods as outlined in this paper combines the strengths of two vastly different approaches to information discovery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a flexible information organization scheme from an existing classification structure.

이용재(부산대학교) ; 김경덕(부산대학교) pp.25-5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경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도서관경영의 세부영역별 동향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한국연구재단 등재 4대 학회지에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게재된 총 359편의 학술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도서관경영의 세부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경영일반’ 분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측정과 평가’, ‘인사관리’, ‘건축과 시설관리’, ‘정책과 제도’ 순으로 나타났다. ‘마케팅’, ‘조직관리’, ‘예산관리’ 분야는 상대적으로 적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ademic research trends of the library management in Kore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 trend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 categories of librar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359 pape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rom 2004 to 2013 at the four academic journal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ub field which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was ‘general management’ and following sub fields were ‘measurement and evalu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building and facility’, ‘policy and system.’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ess performance in the sub fields like ‘marketing’, ‘organization management’, ‘budget management.’

한만성(전북대학교) pp.51-7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51
초록보기
초록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보활용능력과 수사학의 융합을 통해 정보활용능력 교육이 대학에서 필수적인 교양과목의 요건을 갖출 수 있는지를 논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의 성격을 1) 발견법을 이용한 상황적 활용능력, 2) 탐구를 중시하는 과정 중심 활용능력, 3) 편재성에 적합한 활용능력으로 정리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이 학제성을 띠는 민주시민의 핵심 교양이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정보활용능력의 교육에는 기술 이용 중심의 방법도 있는 등 다양성이 존재하는 만큼 이 부분과의 비교가 필요하다.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실제 프로그램으로는 ‘문제 발견을 위한 상황적 질문하기’, ‘학습론 책 선별해서 읽고 서평 쓰기’, ‘실제 도서관 탐방 보고서 쓰기’, ‘민주시민을 위한 정보윤리 교육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major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merging of Information Literacy and rhetoric will be able to have essential elements for being a general education subject in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 of rhetorical information literacy (RIL) is organized as follows. Situated literacy using heuristic method, process oriented literacy attaching importance to research, and literacy relevant to ubiquitous environment. So, it is argued that rhetorical information literate citizenry is essential for a modern democratic society. As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an be various, for example, technology oriented instruction is needed to be compared. For the practical execution of the RILI program, ‘asking situated questions to discover problem’, ‘selecting and writing review of meta study books’, and ‘writing visiting report of library’, and ‘instruction of information ethics for democratic citizens’ have been proposed.

변회균(대림대학교) ; 조현양(경기대학교) pp.71-9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사서가 자신의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 SNS를 어떻게 이용하고, 과업의 특성과 1인 운영체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SNS를 활용하는 것이 자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서의 과업, SNS이용 및 성과에 대한 상관관계를 객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과업-기술적합도(Task-Technology Fit)의 결합을 통하여 사서과업-SNS기술적합도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229건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교도서관 사서의 업무적인 SNS활용이 자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사서가 SNS를 활용하는 것이 단순히 개인적 취향이나 업무를 방해하는 요소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과업의 특성이나 1인 운영체제와 같은 조직의 특성으로 인해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ways which a school librarian uses SNS when performing tasks and the use of SNS with the features of the task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 run by one person affect task performance. In this study, for objective explanation of the interrelation among a librarian’s tasks and the use of SNS and performance, the model of a Librarian’s Task-SNS Technology Fit was sugges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Task-Technology Fi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their utilization of SNS is not just limited to personal taste nor interferes with their work. Rather, it enhances task performance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or the organization such as the organizational system run by one person.

이승민(숙명여자대학교) pp.91-113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91
초록보기
초록

소셜 메타데이터는 이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정보자원에 대한 풍부한 기술사항을 생성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조직화 된 구조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특성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한계 또한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유형 가운데 태그를 중심으로 LibraryThing에서 활용되고 있는 태그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술의 대상이 되는 정보자원의 서지적 카테고리를 제공함으로써 태그의 의미적 조직화를 위한 대안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서지적 카테고리를 구조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태그 부여단계에서 태그의 의미적 조직화를 유도하기 위해 소셜 인포메이션 아키텍쳐를 적용하여 태그의 조직화를 위한 소셜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이는 소셜 메타데이터의 조직화를 위한 개념적인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태그를 자동화 된 방식으로 조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의미적 기반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lthough social metadata has strengths in creating amount of user-contributed resource descriptions, its function is limited because of its non-systematic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proposed an alternative approach to semantic organization of social metadata. It analyzed the semantics of tags created in LibraryThing in order to provide bibliographic categories for describing information resources. Social information Architecture is adopted in generating the bibliographic categories so that social metadata framework can be constructed. This framework can provide the conceptual foundations for semantically organizing social metadata an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existing approaches to automatically organize social metadata.

윤정옥(청주대학교) pp.115-133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1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및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The Big Read(TBR)’에서 Harper Lee의 『앵무새 죽이기』가 보여주는 ‘한 권의 책(One Book)’으로서의 가치, 이 책을 선정한 지역사회들의 지향점과 다양성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책은 2001년-2014년 사이 86개 ‘한 책, 한 도시’ 프로그램 및 2007년-2015년 사이 138개 TBR 지역사회에서 선정되었다. 많은 지역사회가 용기, 관용, 정의 등 주제로 표현된 인간 존엄성에 대한 공감을 시도하였고, 독서토론, 다양한 프로그램 및 행사로 이 가치를 표현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the book, To Kill a Mockingbird by Harper Lee as the most favored ‘One Book’ and the goals of the ‘One Book, One City’ programs which selected this particular book. A total of 86 ‘One Book’ programs from 2001 through 2014 and 138 The Big Read programs from 2007 through 2015 selected To Kill a Mockingbird as ‘One Book’ to read. With this book, many communities discussed the sympathy toward the dignity of human being with such subjects as courage, justice, and integrity, and presented its value through book discussions, various programs and events.

노영희(건국대학교) ; 박양하(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pp.135-171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RM분류체계분석, 문헌분석, 정책정보제공사이트 분류체계분석, 분류전문가논의과정, 정책정보수요자대상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정책정보자료의 실제적 구축을 통한 경험적 검증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BRM 분류체계를 수정․보완하여, 정책정보관련 정보자원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전문가 논의 과정을 거쳐 정책정보서비스에 적절한 BRM 분류 단계를 3단계로 확정하였다. 국내외 정책정보제공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의 분류체계와 서비스 조사를 통해 BRM 분류체계가 정책정보자료 제공을 위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무자 면담 조사를 통해 BRM의 적절성 확인과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BRM 분류체계 사용의 적절성과 BRM 주제분야별 보완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험적 검증을 통해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BRM 분류 체제의 주제 내용을 확정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lassification system adapted to provide policy information servi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leted the following processes; BRM taxonomy analysis, document analysis, analysis of classification systems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consulting classification experts, surveys and interviews with policy information consumers, and an empirical validation process through the actual construction of policy information materials. Finally, this study complemented and modified the BRM taxonomy system and proposed a classification system appropriate to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Through the procedures of experts discussion, the steps of BRM analysis appropriate to provide policy information services is determined as three steps. The domestic institute websites for policy information services has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RM taxonomy system through the analysis system and service research to provide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Also through the specialist interview, the confirmation of BRM and the improvement has been drawn. Through the questionaires, the study analyzes the appropriateness of available BRM taxonomy system and the requirements by subjects. And through the empirical verificaion, it determines the subject of BRM taxonomy system for policy information services.

장덕현(부산대학교) pp.173-192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173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프로그램들의 현황과 한계점을 분석한 후,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현장에서 인식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아울러 현재 해외의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사서들과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들이 지역문화계와의 네트워킹, 무한창조공간, 건강정보서비스와 이용자개별화 등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Abstract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re on the rise in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 area. This paper also suggests future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uch programs and to cope with changes of user demands and future trends. Data were collected from 29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 area. Supplementary data were also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s and brain-storming discussions with public librarians who are in charge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Cases from other countries were also analyzed in terms that they might be adopted for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정경희(한성대학교) pp.193-2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1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 소장된 고아저작물이 좀 더 활발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저작권법 개정 방향을 논의하였다. 특히 저작권법 제31조와 제50조를 중심으로 도서관의 고아저작물 디지털화 및 그 이용에 있어서의 한계점을 논하고 EU의 고아저작물 지침과 미국의 고아저작물 법안, 영국의 개정된 고아저작물 관련법을 고찰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국내 도서관에서 고아저작물의 대량 디지털화를 지원할 수 있는 저작권법의 개정 방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첫째는 도서관에서 디지털화된 고아저작물은 관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 둘째, 비영리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도서관의 고아저작물 디지털 복제 및 전송에 대해서는 보상금을 사전에 공탁하지 않도록 하고 수수료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 셋째, 도서관은 디지털화하여 사용하던 고아저작물의 저작권자가 나타났을 경우 그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 저작물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이용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e study focuses on the direction to the revisions of copyright law in Korea, so that orphan works in libraries can be used more widely on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provisions 31 and 50 in the copyright law related to the mass digitations of orphan works in libraries. This study also reviews the Directive 2012/28/EU, 3 orphan works bills in USA, and provisions related to the orphan works in The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ERR) Act 2013 in UK.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3 directions to support mass digitations of orphan works in libraries. First, digitized orphan works in libraries are to be made a transmission to the public on the Internet; Second, compensation and approval fees are not required or minimized; and third, libraries have to stop the use of the orphan works if copyright owners require. If not, libraries have to negotiate with the copyright owners about the fees necessary.

송경진(사단법인 포럼 문화와도서관) ; 차미경(이화여자대학교) pp.215-24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21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문헌정보학계와 실제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의 리터러시 개념의 사용 양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리터러시 개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 계량서지적 분석, 사례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정 주제나 상황을 이해하고, 해당 주제와 상황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체나 정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능력’을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그리고 이러한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리터러시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더불어 실제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리터러시 서비스를 조기 리터러시 서비스, 성인 리터러시 서비스, 디지털 리터러시 서비스, 정보 리터러시 서비스의 4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or redefining the concept of literac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field and in public library services. For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 bibliometric analysis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literacy as “a comprehensive ability to use a medium,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solving the problems people faces in order to understand particular subjects or situations they are in” and the concept of literacy service as “the services or program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develop their patrons’ literacie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four new literacy service concept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early literacy service, adult literacy service, digital literacy service,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차성종(숭의여자대학교) pp.241-266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과제의 추진성과 분석과 정책 평가를 통해 해당 정책과제의 중요도, 타당성 등을 고찰하고, 일원화 추진방안의 쟁점사항에 대한 검토를 통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에 대한 추진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의 성과 분석에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실적이 전무한 거의 선언적인 정책과제로 밝혀졌고, 도서관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정책 평가에서는 실현가능성이나 구체성이 떨어지는 정책과제로 평가되었다.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정책 평가, 현장 실무자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 결과 지자체로 일원화하는 일원화 주체에 대한 정책방향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원화 방식, 조직구성, 인력 이관 및 직급 조정, 재산 이관 등에서 상당한 쟁점이 있음이 분석되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를 위해서는 거시환경 차원의 구호성 정책이 아니라 과업환경 차원의 실현가능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실천 전략이 필요함이 판단되어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validity of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through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outcomes and plans about the policy on the first and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the strategies for the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unification by reviewing the issue details of the unification strategies. The first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was found to be just proclamatory without concrete and practical results through its performance analysis. The policy tasks were evaluated to lack in feasibility and specificity in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which was performed on a group of library professionals. Policy decision to determine who would be responsible for the unification into the local government was found to be valid by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policy evaluation by experts and in-depth interview survey for field practitioners. Substantial and detailed action-oriented strategy rather than bluffing and macro policy is necessary for the unification of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t is because we have found there exist significant issues in terms of unified approach,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personnel transfer and grade adjustment, property transfer, etc. through the analysis.

한상우(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pp.267-29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2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셜 러닝 커뮤니티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요인, 지식소싱 행태, 지식활용 성과 간의 영향 관계 및 소셜 러닝과 구성원간 관계 요인이 갖는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일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 인터뷰를 실시하여 소셜 러닝 및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심층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1학기에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사회과학분야 학부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은 소셜 러닝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목표지향성은 그룹 지식소싱, 소셜 러닝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의 이용경험은 그룹 지식소싱, 소셜 러닝 활동참여와 소셜 러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활용의 측면에서 문서 지식소싱은 지식재이용, 지식응용,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 지식소싱은 지식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며, 그룹 지식소싱은 지식응용,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러닝 활동참여는 목표지향성이 그룹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소셜 미디어의 이용경험이 그룹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모두 완전매개 효과를 갖고, 상호호혜성은 문서 지식소싱이 지식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문서 지식소싱이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층 면접 인터뷰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습득하는 정보가 신뢰할만하고 정보 습득에 용이하며,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고, 그룹 활동을 통해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psychological factors, knowledge sourcing behavior and knowledge utilization outcomes and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learning and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Another purpose is to understand learners’ attitude on social learning and knowledge sourcing behavi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ression results on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psychological factors, knowledge sourcing behavior, knowledge utilization outcomes show that learners’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goal orien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group knowledge sourcing and social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Users’ experiences of social media has a positive effect on group knowledge sourcing, social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learning interaction. From a knowledge utilization perspective, published knowledge sourcing positively affects knowledge reuse, knowledge application and knowledge innovation. Dyadic knowledge sourcing has positive influence on knowledge reuse. Group knowledge sourcing affects positively knowledge application and knowledge innovation. Second, social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factor has ful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goal orientation and group knowledge sourc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experiences of social media and group knowledge sourcing. A relationship among members factor has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shed knowledge sourcing and knowledge reuse, and relationship between published knowledge sourcing and knowledge innovation. Third,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show that learners trust and easily collect knowledge from social network services in general. Also, they get a variety of idea for solving information problem from interaction among members in social learning community.

고영만(성균관대학교) ; 김비연(성균관대학교) ; 민혜령(성균관대학교) pp.297-322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2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CI의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 분야 저자키워드를 대상으로 의미적, 형태적 분석을 통해 기존에 연구된 개념범주 텍사노미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실용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실체, 추상, 일반/공통, 개체’의 네 개 최상위수준의 개념범주를 보다 구체적이고 핵심 개념이 반영된 일곱 개의 범주 ‘개체, 활동/기능, 특성, 이론/방법, 형식/틀, 일반/공통, 인스턴스’로 변경하였다. 중위범주와 하위범주의 경우 신설, 세분화, 통합, 삭제, 이동 등의 방법으로 개념범주의 계층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범주 간 용어분포의 불균형을 개선하였다. 구조적학술용어사전(STNet)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수정된 개념범주 텍사노미를 적용한 결과 용어의 분포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용어의 속성 표현이 상세화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eaning and lexical morpheme of author keywor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 and sport in the Korea Ciation Index (KCI) and to propose a conceptual taxonomy of the author keywords. Four top-level concept categories such as ‘Substance, Abstraction, General/Common, and Object’ are replaced by seven more concrete categories such as ‘object, action/function, property, theory/method, format/framework, general/common, and Instance’. In the middle and lower-level concept categori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unbalance of term distribution is reduced by creating, subdivision, integration, elimination, and movement of the categories. The result of the test based on the STNet shows that the replaced taxonomy of concept categories has the effects of making the term allocation more balanced and properties of terms more detailed.

김수정(전북대학교) ; 윤은하(전북대학교) pp.323-34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323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에서 추진한 식생활교육 디지털도서관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식생활교육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고 검색시스템을 구현한 사례를 기술한다. 메타데이터 요소들은 MODS를 근간으로 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식생활 관련 교육 자료를 발견․식별할 수 있도록 개별 자료에 대한 적절한 기술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식생활교육 자료를 포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구현된 검색시스템은 소장자료 검색, 내부검색, 외부검색 및 키워드 검색과 디렉토리 검색 등 다양한 검색방법을 제공하여 이용자들 수준에 맞게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a metadata schema and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the Food Education Digital Library project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Korea Food Education Network. The metadata schema developed using MODS describes various types of food &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and helps users discover and identify appropriate materials. The implement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supports various search options such as keyword and directory search as well as search for holdings of the library and linked materials.

민숙희(상명대학교) pp.345-376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3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도서관서비스 접점에서 발생하는 사서의 감정노동이 직무와 관련된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218개 4년제 대학도서관 중에서 국공립 13개, 사립 28개의 총 41개 기관의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응답지 529부(회수율 99.2%)를 SPSS 버전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판별타당성분석, 상관관계분석, 변량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산업 분야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사서의 감정노동은 오히려 조직의 직무와 관련된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및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 서비스산업 분야의 감정노동자들과는 달리 대학도서관 사서는 상대적으로 감정노동을 스트레스로 적게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 만족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직업적 마인드가 크기 때문에 감정노동에 있어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도서관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사서의 감성 지능을 강화하는 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1) what effect emotional labor has on an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2) the relationship among a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extent of 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library service on job performance. The survey period took place from 14 Oct. to 4 Nov. 2013. 533 librarians at 13 public and 28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were included in the survey. Of the 533 surveys distributed, 529 were return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 Win 21.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differential analysis. The survey also shows that a librarian’s emotional labor affects emotional intelligence of supervisor, social support and library service level positively. This finding is not the case for the employees in the general service industry. Because the librarian is professional and manages stress better than general employees. This research suggest the following practical measures. Educational programs for librarian’s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be planned in order to improve library service.

이석형(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류범종(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377-399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3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는 과학기술분야의 국내학술논문 및 회의자료, 해외학술논문의 한국인 저자가 기여한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 기관, 학술지의 유일한 개체를 식별하여 고유 식별자를 부여한 식별 연계 데이터의 집합으로 2011년부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출판된 문헌정보학 분야 5개 대표학회지의 1997년도부터 2013년도까지의 발표 논문을 대상으로 공저 패턴, 저자 및 기관별 논문 생산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authority data which has been constructed by KISTI. The authority data is a set of data given a unique identifier to identify a unique object for the authors, affiliations and journal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paper that published in Korea or written by Korean authors. We examined collaborating patterns, authors and institutional productivity through analyzing the 5 domestic LIS journals published from 1997 to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