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정책 분석 연구-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the First and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4, pp.241-266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241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과제의 추진성과 분석과 정책 평가를 통해 해당 정책과제의 중요도, 타당성 등을 고찰하고, 일원화 추진방안의 쟁점사항에 대한 검토를 통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에 대한 추진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의 성과 분석에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실적이 전무한 거의 선언적인 정책과제로 밝혀졌고, 도서관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상의 정책 평가에서는 실현가능성이나 구체성이 떨어지는 정책과제로 평가되었다.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정책 평가, 현장 실무자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 결과 지자체로 일원화하는 일원화 주체에 대한 정책방향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원화 방식, 조직구성, 인력 이관 및 직급 조정, 재산 이관 등에서 상당한 쟁점이 있음이 분석되어,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를 위해서는 거시환경 차원의 구호성 정책이 아니라 과업환경 차원의 실현가능한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실천 전략이 필요함이 판단되어졌다.

keywords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Unified the Administrative System, Public Library, Library Policy,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도서관 행정체계, 행정체계 일원화, 공공도서관, 도서관정책, 도서관발전종합계획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validity of the unified policy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public library through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outcomes and plans about the policy on the first and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In addition, this study seeks to the strategies for the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unification by reviewing the issue details of the unification strategies. The first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was found to be just proclamatory without concrete and practical results through its performance analysis. The policy tasks were evaluated to lack in feasibility and specificity in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which was performed on a group of library professionals. Policy decision to determine who would be responsible for the unification into the local government was found to be valid by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policy evaluation by experts and in-depth interview survey for field practitioners. Substantial and detailed action-oriented strategy rather than bluffing and macro policy is necessary for the unification of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t is because we have found there exist significant issues in terms of unified approach,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personnel transfer and grade adjustment, property transfer, etc. through the analysis.

keywords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Unified the Administrative System, Public Library, Library Policy,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도서관 행정체계, 행정체계 일원화, 공공도서관, 도서관정책,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참고문헌

1.

구본권. 2008.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조사 분석과 개선 방안: 경상북도 소재 공립공공도서관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

노동조. 2007. 문화관광부의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에 대한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165-179.

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9.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09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0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1.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1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7.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2.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2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8.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3.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2013년도 시행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9.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세종: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0.

문화관광부. 2007.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방안 연구. 서울: 문화관광부.

11.

문화체육관광부. 2014.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online] [cited 2014. 3. 26.]<http://www.libsta.go.kr>

12.

법제처. 2014.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4. 3. 28.] <http://www.law.go.kr>

13.

윤희윤. 2009.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개편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5-29.

14.

윤희윤, 구본권. 2008.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개선을 위한 조사 연구. 도서관, 63(1): 17-41.

15.

육경애. 2001.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16.

이용남. 1992. 도서관 행정체계 문제. 도서관 문화, 33(5): 14-22.

17.

조현양, 이재원. 2005. 도서관정책 추진을 위한 행정체계 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115-132.

18.

차성종.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에 대한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

차성종. 2014. 우리나라 지자체의 도서관정책 현주소 고찰. 국회도서관, 51(6): 4-15.

20.

최병길. 2009.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도서관 정책 추진체계 개선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2.

Matthews, Joseph R. 2004. Measuring for results: the dimensions of public library effectiveness.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