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ading Movement and Newspaper in Education Activ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5, v.49 no.3, pp.209-231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209
임성관 (휴독서치료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의 신문 읽기 및 NIE 활동이 체계화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독서 운동과 NIE 활동 간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 등이 실시되었으며, 참고 자료를 통해서는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개념, 문제점, 그리고 향후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습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자료 및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통한 지속적인 논의와 관심을 가지고 독서 운동과 연계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운영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NIE 활동이 활성화 될 것이다.

keywords
Reading Movement, Newspaper, Newspaper in Education, Newspaper in Education Activity, Connection Between, 독서 운동, 신문, 신문 활용 교육, NIE 활동, 연계 방안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means of connecting reading movement and Newspaper In Education (NIE) activities utilizing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local school districts and autonomous government entities. This is necessary to revitalize or systematize the environmental social life of reading newspapers and NIE activity. Literary or inquiry research will be initi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quantify the current or actual conditions of this connection, delineating the basic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determin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continuing this study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of reading movement and NIE activity. Anticipated study activities or major tasks are as follows. First, develop a variety of intended programs and learning materials necessary for each. Secondly, develop and establish corresponding online data and educational programs. Thirdly, a “cooperation”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training programs implemented reinforcing these ideas. And, lastly (and to gain wider acceptance), starting a public relations campaign to show or illustrate the benefits of this study and these intended research activities. In conclusion, if a connection between reading movement and NIE activity are fully established and periodically adjusted by means of continuing discussions on the merits or concer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full potential of the reading movement connection with NIE activity will be realized and achieved to its truest meaning and/or highest order.

keywords
Reading Movement, Newspaper, Newspaper in Education, Newspaper in Education Activity, Connection Between, 독서 운동, 신문, 신문 활용 교육, NIE 활동, 연계 방안

참고문헌

1.

강석우 외. 2004. NIE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커뮤케이션북스.

2.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3.

권주연. 2011. 신문 텍스트를 활용한 거시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4.

김상욱. 2012. 독서운동의 현황과 방향. 독서연구, 27, 42-63.

5.

김선남. 2008. 뉴미디어 시대 한국 독서문화의 특성. 한국출판학연구, 55, 45-70.

6.

김수경. 2013. NIE를 활용한 독서교육 방안.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7.

김훈순. 1994. 신문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청소년과 인쇄매체 연구, 25.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8.

Naver Blog. 2011. World NIE. [online] [cited 2015. 7. 25]<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fumshop&logNo=120127690029>

9.

도정일 외. 2008. 책, 세상을 탐하다. 서울: 평단문화사.

10.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3년 제15회 국민독서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1.

박영민. 2004. 신문 서평의 비판적 검토와 사회적 독서 교육의 방향. 독서연구, 12, 53-87.

12.

박몽구. 2014. 해방 후 한국 독서운동의 성과와 반성. 한국출판학연구, 40(1), 95-116.

13.

법동초 2015학년도 e-NIE 선도학교 운영. 2015. 아시아뉴스통신. 4월 20일.

14.

서창호. 2008. 1993년 이후 한국 독서운동의 전개양상 분석.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15.

성태모. 2011. 효율적인 교육 매체 활용 방안. 국어교과교육연구, 19, 39-82.

16.

윤관석. 2013. 국정 감사 보도자료.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17.

윤금선. 2007.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196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271-294.

18.

이성영. 2014. 독서정책의 목표와 수단. 독서연구, 32, 213-243.

19.

이창희. 2014. 독서 진흥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에 대한 전문가들의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

채예송. 2014. 1960-1970년대의 독서 운동에 관한 연구: 신문 자료에 나타난 독서 목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최상희. 2004. NIE의 이해와 활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2.

허재영. 2006. 국어과 교육의 이해와 탐색. 서울: 박이정.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