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연구 -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Perception of Subject - Special Librarian and Subject - Special Services: Focusing on Survey Targeting Students Who Take ‘Medical Terms and MeSH’ and ‘Health & Medical Information Sourc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1, pp.437-456
https://doi.org/10.4275/KSLIS.2016.50.1.437
오의경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교육이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진로결정 의사능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을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대표적인 주제전문사서양성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상명대학교의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 진로 결정능력 향상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대부분이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지하고(88.7%), 의학사서의 역할을 이해하며(92.5%), 의학정보서비스의 유형과 기능에 대하여 더욱 잘 알게 되었으며(100%), 전문직으로써 의학사서에 대한 자부심을 더욱 더 자각하게 되었다(83%). 둘째, 의학도서관으로의 취업의사를 갖거나(45.3%) 의학정보서비스 업무 담당 의사를 보인(26.4%) 응답자는 앞의 다른 질문의 응답자 수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목 수강 여부, 수강 과목의 수, 학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의학사서와 의학정보서비스에 대한 이해도 면에서는 수강자가 비수강자보다 높았고, 의학사서 취업 의사에 있어서는 비수강자가 수강자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넷째,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안에서의 교육은 지식습득에는 효과적이지만 취업 의사나 진로결정의 부분에서는 오히려 조심스러운 입장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학주제에 대한 어려움과 낯설음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주제전문사서, 주제전문서비스, 의학사서, 의학정보서비스, 주제전문사서양성, Subject-special Librarian, Subject-special Services, Medical Librarian,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Subject-special Librarian Cultivation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the need for department of LIS education program that targets training of subject-special librarian, focuses on proving that such education can improve perception of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strengthen career decision-making.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case studies about subject-special librarian cultivation. Second, this study includes a survey about subject-special librarian, improving understanding about subject-special librarian, and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which was carried out targeting students who take ‘Medical Terms and MeSH’, and ‘Health & Medical Information Sources’ cours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felt the need for medical librarian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88.7%), understood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 (92.5%), got to know more about the types and functions of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100%), and came to be more aware of the self-esteem a medical librarian feels as a professional. Second, relatively,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demonstrated the willingness to work at a medical library (45.3%) or work in the field of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26.4%) was noticeably low. Thir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whether the students took related courses or not, number of courses they took and difference in their school year, and in regard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medical librarian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those who took courses demonstrated higher understanding than did those who did not take those courses. Also, those who took the courses showed stronger willingness to work as a medical librarian. Fourthly, the curriculum carried out by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medical librarian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but makes students more cautious about deciding whether or not to start their career at a medical library. Lastly, it was recommended that there is a need to have the curriculum updated in order to help students overcome the difficulty and unfamiliarity they feel about medical subject.

keywords
주제전문사서, 주제전문서비스, 의학사서, 의학정보서비스, 주제전문사서양성, Subject-special Librarian, Subject-special Services, Medical Librarian,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Subject-special Librarian Cultivation

참고문헌

1.

강미혜. 2002.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주제서지과목 과제방안 연구 - 법률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49-68.

2.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 홈페이지.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http://edu.nl.go.kr/>

3.

김휘출. 2003.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69-186.

4.

남영준, 허운순. 2005.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39-64.

5.

남영준. 2011.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의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343-362.

6.

노영희 외. 2008.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97-123.

7.

변제연. 2012.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8.

한국도서관협회. 사서자격 교육기관 리스트.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online]<http://www.kla.kr/license/sub03_01_01.do>

9.

상명대학교. 2016학년도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 서울: 상명대학교. [online]<http://smsg.smuc.ac.kr:9100/haksa/homepage/view_subject_list.jsp?SHYR=1&SUST=121B>

10.

안인자 외. 2008.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533-549.

11.

안인자 외. 2009.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333-361.

12.

윤영대. 2003.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131-146.

13.

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전국대학법학도서관협의회 홈페이지. 서울: 고려대학교. [online]<http://www.klla.org/>

14.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 광주: 전남대학교. [online]<http://list.jnu.ac.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5633&siteId=list&menuUIType=top>

15.

정재영. 2007.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도서관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91-409.

16.

정재영. 2009.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119-136.

17.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 청주: 청주대학교. [online]<http://cjlis.net/?c=about/about6>

18.

최흥식. 2012.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용자 인식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303-319.

19.

홍명자. 2006.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345-373.

20.

한국의학도서관협회. 한국의학도서관협회 홈페이지. 서울: 한국의학도서관협회. [online]<http://www.kmla.or.kr/>

21.

황재영. 2011.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한국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137-158.

22.

Noh, Dong-Jo et al. 2009. The Current State of and Needs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2), 43-63.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