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Design of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1, pp.457-491
https://doi.org/10.4275/KSLIS.2016.50.1.457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현장실습교육 구성요인으로서 적합한 NCS 능력단위를 도출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연계된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고 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추진 현황 특히 문헌정보학 전공분야 NCS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실습기관인 도서관 현장에서의 NCS와 연계된 현장실습 구성요인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셋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조사결과 등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실제 도서관 현장의 업무와 적절하게 부합되는 방향으로 NCS와 연계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였고, 넷째, NCS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여 현장실습 실습생에게 요구되는 현장실습 교육지침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문헌정보학, 현장실습교육, 교육과정 설계, 실습지도,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Training, Curriculum Design, Practice Guidance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ign a field training curriculum model linked to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by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and by drawing NCS capacity units suitable as field training configuration factors. It was also conducted to give shape to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of NCS-based field training curriculum. For this study, first, we analyze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particularl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 Second, we derived influencing factors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through the field training satisfaction survey from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hird, we have designed a training curriculum model associated with NCS seeking proper matches with actual work of the library site through research methods including focus group interviews. Fourth, education guidelines of the field training required to interns were proposed in detail.

keywords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문헌정보학, 현장실습교육, 교육과정 설계, 실습지도,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Training, Curriculum Design, Practice Guidance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외. 2014.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세종: 고용노동부.

2.

교육부. 2015.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개발, 운영 및 평가, 질 관리. 세종: 교육부.

3.

권선영, 백지원,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141-169.

4.

김기용 외.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사례조사. 울산: 직무능력표준원.

5.

김성준. 2011. 사서교사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183-203.

6.

나승일 외. 2007. 국가직업능력표준 실용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191-215.

7.

노동조. 2009.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451-468.

8.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55-82.

9.

노영희. 2005.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59-80.

10.

백정희, 김규섭, 이재근. 2012.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조경분야 자격종목 재설계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0(5), 129-139.

11.

서채원. 2004. 비서학과 현장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인턴십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비서학과.

12.

송인숙, 이은희. 2006. 소비자상담사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필수이수교과목의 교과내용과현장실습교육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4(3), 9-20.

13.

양옥경. 2005.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1), 97-127.

14.

양혜련, 유지선.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기법을 활용한 S여대 비서과의 교육과정 개발. 한국여성교양학회지, 22, 62-95.

15.

유사라. 2012. 전문가양성을 위한 직무관찰식 인턴쉽 시행연구: 문헌정보학 전공사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113-129.

16.

유사라. 2014. 인턴기관(도서관) 실무자의 인턴쉽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진단 사례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89-205.

17.

유호신 외. 2007. 전문간호사를 위한 임상 전문실습교육프로그램 요구. 간호행정학회지, 13(4):553-561.

18.

이수영, 김유승. 2012.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S공공도서관 사례를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147-168.

19.

이재원, 윤석천. 2011. 반도체 산업의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훈련수요 분석. 한국산업기술학회논문지, 12(11), 5178-5187.

20.

장봉기, 양해술. 2011.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학회논문지, 12(12), 5420-5429.

21.

정종기. 2011. 예비사서의 도서관실습을 위한 저널피드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77-297.

22.

주인중, 조정윤, 임경범. 201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방안. The HRD Review, 13(3), 17-39.

23.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55-379.

24.

최영오 외.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응하는 전문대학 건축과의 산업체 맞춤형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5(3), 1-8.

25.

한국산업인력공단 NCS센터. 2015.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매뉴얼.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26.

홍순혜 외. 2013. 학교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21, 161-191.

27.

Merriam, S. B. 1994.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 연구법. 허미화 옮김. 서울: 양서원.

28.

Grogan, D. J. 2007. Education for Librarianship: Some Persistent Issues. Education for Information, 25(1), 5-26.

29.

Lynch, B. A. 2008. Library Education: Its Past, Its Present, Its Future. Library Trends, 56(4), 931-953.

30.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2009. Guidelines for Professional Library /Information Educational Programs. Den Haag: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online] [cited 2014. 9. 22.]<http://archive.ifla.org/VII/s23/bulletin/guidelines.htm>

31.

Damasco, I. T., and McGurr, M. J. 2008. A Survey of Cataloger Perspectives on Practicum Experienc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4), 43-64.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