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대학출판부의 학술단행본 출판에 대한 양적 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f Scholarly Monograph Publishing by University Presses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3, pp.309-327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309
심원식 (성균관대학교)
도슬기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선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학술단행본은 지식의 표현과 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학술연구의 중요한 성과물이다. 대학출판부는 상업성이 낮은 학술단행본을 발간하는 최후의 보루로 여겨진다. 하지만 국내 대학출판부를 통한 학술단행본의 규모와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온라인 목록을 기반으로 1950년대부터 2015년까지의 대학출판부 출판 통계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총 21,015건의 서지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간된 자료에 대해서는 학술단행본 여부에 대한 추정을 시도하였다. 국내 대학출판부를 통한 단행본 출판은 1970-80년대의 완만한 상승기를 거쳐 1990년대에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나 2005년을 정점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학술단행본보다 어학교재, 강의교재 및 교양 관련 서적 발간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출판부 간의 출판 규모 및 학술단행본 발간 비중에서도 큰 격차가 있다. 저자 유형에 있어서는 1인 저서의 비중이 가장 높고 번역서의 경우 일정한 비율을 보이고 있지만 편집 저서의 경우 상당한 감소 추세를 보인다. 주제분야별 출판 분석에서는 사회과학 도서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분야별로 학술단행본의 비중은 큰 차이를 보인다.

keywords
University Press, Scholarly Monograph, Scholarly Communication, Quantitative Analysis, 대학출판부, 학술단행본, 학술커뮤니케이션, 양적분석

Abstract

Scholarly monographs have been a main vehicle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transfer as well as an important research outcome. University presses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the last bastion for scholarly monographs that have low commercial prospect.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a systematic data analysis regarding scholarly monograph production by university presses in Korea. In this paper, we collected bibliographic records of university presses’ monograph publications between 1950 and 2015 using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 online catalog system. A total of 21,015 records were used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for monograph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5, we categorized them into scholarly monographs and non-scholarly monographs. University presses’ publishing showed sharp increase during the 1990’s but is in decline after its peak in 2005. University presses seem to have engaged in publishing more non-scholarly monographs than scholarly monographs by a ratio of 6:4. Large university presses in size seem to produce higher proportions of scholarly monographs than smaller presses. In terms of authoring types, single authorship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and on the increase. However, edited books are losing ground as translated books seem to hold steady. Monographs in social sciences have been published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subject areas as there seem to be significant discrepancies among subject areas in terms of the scholarly monograph proportion.

keywords
University Press, Scholarly Monograph, Scholarly Communication, Quantitative Analysis, 대학출판부, 학술단행본, 학술커뮤니케이션, 양적분석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cited 2016. 4. 1.]<http://www.nl.go.kr>

2.

권영자. 2012. 한․일 대학출판부 출판 활동의 실증적 비교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38(1), 5-31.

3.

출판전문가 중심으로 재편… 한국대학출판협회 역할 확대해야. 2015. 교수신문. 10월 6일. [online] [cited 2016. 5. 18.]<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1545>

4.

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국내 9개 대학출판부의 출판 활동. 출판저널, 240, 10-11.

5.

박명희. 2006. 한국 대학 출판부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6.

박용두, 홍이현. 2005. 대학출판부, 그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출판저널, 352, 36-38.

7.

송정숙. 1998. 학술정보전달시스템으로서 대학출판부의 활성화 방안: 부산대학교 출판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8, 137-170.

8.

이영자. 1981. 학술정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서의 대학출판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8:155-184.

9.

인문학 연구성과 저술 중심으로 평가하자. 2014. 교수신문. 5월 12일. [online] [cited 2016. 5. 18.]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8887>

10.

정연경, 최윤경. 2011. 인문․사회과학 분야 교수의 연구업적물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2(3), 211-233.

11.

한국대학출판부협회. 2011. 2010 대학출판부 연감 / 신간도서목록. 서울: 한국대학출판부협회.

12.

한국연구재단. 2014. 인문학분야 학술성과 평가의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대전: 한국연구재단, 정책연구-2013-013-인문학.

13.

Borgman, C. L. 2007. Scholarship in the Digital Age. Cambridge, MA: MIT Press.

14.

Brown, L. et al. 2007. University Publishing in a Digital Age. Journal of Electronic Publishing, 10(3), 1-69.

15.

Campbell, R., Pentz, E., and Borthwick, I. 2012. Academic and Professional Publishing. Burlington:Elsevier.

16.

Duke University. 2015. Duke University Books & Journals: Fall & Winter 2015. [online][cited 2016. 6. 5.]<https://issuu.com/dukeuniversitypress/docs/fall_15_catalog_final?e=9530093/12818148>

17.

Griffiths, R. J., and Rascoff, M. 2005. The Evolving Environment for Scholarly Electronic Monographs. New York: Ithaka S+R. [online] [cited 2016. 6. 19.]<http://www.sr.ithaka.org/wp-content/uploads/2015/08/4.3.1.pdf>

18.

Gould, C. C. 1988. Information Needs in the Humanities: An Assessment. CA: Research Libraries Group.

19.

Kivistö, S., and Kihlström, S. 2015. The Monograph. Helsingfors: University of Helsinki. [online] [cited 2016. 4. 5.]<http://www.helsinki.fi/collegium/events/monografia/monografia.pdf>

20.

Schonfeld, R. C., Housewright, R., and Wulfson, K. 2012. Ithaka S+R US Faculty Survey 2012. New York: Ithaka S+R. [online] [cited 2016. 6. 5.] <http://j.mp/14477fF>

21.

Schonfeld, R. C. 2013. Stop the Presses: Is the Monograph Headed toward an E-Only Future. New York: Ithaka S+R. [online] [cited 2016. 5. 18.]<http://www.sr.ithaka.org/wp-content/mig/files/SR_BriefingPaper_Presses_120913.pdf>

22.

Steele, C. 2008. Scholarly Monograph Publishing in the 21st Century: The Future More than Ever Should Be an Open Book. Journal of Electronic Publishing, 11(2). [online] [cited 2016. 4. 5.] doi: http://dx.doi.org/10.3998/3336451.0011.201.

23.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8. Information Behaviour of the Researcher of the Future. [online] [cited 2016. 4. 18.] <http://www.publishing.ucl.ac.uk/behaviour.html>

24.

Withey, L. et al. 2011. Sustaining Scholarly Publishing: New Business Models for University Presses: A Report of the AAUP Task Force on Economic Models for Scholarly Publishing.Journal of Scholarly Publishing, 42(4), 397-441.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