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교육기록물관리기관 기록전시 방안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rds Exhibition Ways of Educational Archives: Focused on Gyeongsangnam-do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4, pp.185-208
https://doi.org/10.4275/KSLIS.2016.50.4.185
우지원 (경상남도김해교육지원청 기록연구사)
이용재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전시프로그램은 기록관에 생소한 이용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 중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기록관 전시프로그램은 기록물의 내용을 단순히 보여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렇기 때문에 관람객의 관심도가 극히 저조하거나 전시 행사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기록관은 내용 중심의 기록을 열거하는 기존의 전시 방식에서 벗어나서, 전시된 기록물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록전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기록전시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국내외 기록 전시 사례를 분석하고, 교육기록물관리기관 전시를 위한 고려사항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교육기록물관리기관의 기록전시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Educational Archives, Records Exhibition, Exhibition Program, Archive Public Relations, Gyeongsangnam-do, 교육기록관, 기록전시, 전시프로그램, 기록관 홍보, 경상남도

Abstract

The program of exhibition is us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interact with users who are unfamiliar to archives. But, so far most exhibition programs in archives have been done in a way that shows simply the contents of records. So, in many cases, visitors of archives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exhibition, and they have hardly caught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event. Archives need to get out of existing exhibition style which list contents-oriented records, and to develop a new exhibition way which can enhance users’ interests and understanding about exhibition recor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s and composition elements of record exhibition, analyzed the cases of archive exhibition in and out of Korea. And this study examined some considerations for the exhibitions of educational archives. As a result of this study, record exhibition ways for educational archives are provided.

keywords
Educational Archives, Records Exhibition, Exhibition Program, Archive Public Relations, Gyeongsangnam-do, 교육기록관, 기록전시, 전시프로그램, 기록관 홍보, 경상남도

참고문헌

1.

김상덕. 2008. 교사사료 전시를 통한 박물관 활성화 방안. 2008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학술대회, 2008년 4월 16일-18일, 강릉: 강릉대학교 해양생물연구교육센터: 20-34.

2.

김시은. 2008. 기업박물관의 전시연출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산업디자인학과.

3.

김연주. 2009. 아카이브와 박물관의 전시 비교와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03-131.

4.

김주연. 2001. 현대 뮤지엄의 전시계획 및 평가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5.

국가기록원. 2015. 공공기록물 서비스 표준(v1.0). 대전: 국가기록원.

6.

국가기록원. 2013. 국가기록박물관 전시기획 및 콘텐츠 개발 연구용역. 대전: 국가기록원.

7.

데이비드 딘. 1998. 미술관 전시, 이론에서 실천까지. 전승보 역. 서울: 학고재.

8.

박걸순. 2012. 독립기념관 전시의 교체․보완 추이와 향후 과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2, 447-487.

9.

이연미, 최상헌. 2009. 과학박물관 실내공간의 전시매체 유형에 따른 시지각 이론 및 요소 적용에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9년 5월 29일, 서울: 한성대학교: 89-94.

10.

우지원, 설문원. 2015. 통합형 지방교육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방안: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153-180.

11.

오일환, 이승수. 2010. 서양고지도를 활용한 ‘동해’ 전시 콘텐츠구성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7), 208-219.

12.

이용재, 조혜영. 2014. 대학기록관의 홍보 전략 연구: 일본 대학기록관의 전시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틀도서관, 75, 3-20.

13.

이용재, 진세연. 2006. 지역주민의 친구,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일본 공문서관 이야기. 디지틀도서관, 44, 14-31.

14.

이은서. 2013. 아카이브의 전시방법론 연구: 해외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물관학과.

15.

이재나, 유현경, 김건. 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대통령기록관 전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3), 87-114.

16.

이종원. 2007. 국내 교육박물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실내디자인학과.

17.

이정수. 2014. 아카이브 전시서비스의 실태와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기록관리학 전공.

18.

조민지. 2014.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기록학연구, 39, 73-100.

19.

최석현 외. 2013. 아카이브의 디지털 전시 활용효과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7-33.

20.

서울교육박물관. 2009. 서울교육박물관 홈페이지. 서울: 서울교육박물관. [online] [cited 2016. 3. 2. - 9. 10.] <http://edumuseum.sen.go.kr>

21.

해금강테마박물관. 2005. 해금강테마박물관 홈페이지. 거제: 해금강테마박물관. [online] [cited 2016. 4. 5. - 10. 10.] <http://www.hggmuseum.com>

22.

The National Archives. 2016. The National Archives Homepage. Richmond: The National Archives. [online] [cited 2016. 5. 1. - 9. 20.] <www.nationalarchives.gov.uk>

23.

国立公文書館. 2007. 国立公文書館 ホームページ. 東京: 国立公文書館. [online] [cited 2016. 3. 1. - 10. 12.] <http://www.archives.go.jp>

24.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6.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Homepage. Washington, DC: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online] [cited 2016. 7. 1. - 9. 30.] <https://www.ushmm.org>

25.

Ontario Museum Association. 2015. Ontario Museum Association Homepage. Toronto: Ontario Museum Association.

26.

Garnet, D. 2012. Unknown and Hidden: The Toronto District School Board Education Archive. The Canadian Review of Art Education: Research & Issues, 39(1), 48-63.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