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인식 연구

A Study of Practical Instructors’ Recognition on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7, v.51 no.2, pp.133-15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133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실습지도자의 인식을 진단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 실습지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도 측정을 실시하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습지도자의 일반적 특성, 도서관 관련 업무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등 요인 중에서 현장실습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현장실습 운영 책무성’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실습 인식도를 구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별로 실습지도자의 전반적 현장실습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실습환경’, ‘실습 지도방법’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현장실습, 실습지도자, 실습 인식도, 문헌정보학 교육, 도서관 인턴십, Field Practice Program, Practitioner of the Field Practice, Recognition in Field Practice,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Internship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diagnosing the practical instructor’s perception of the overall field practice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a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a measurement in perception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through a survey of practical instructors at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s. We, then,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field practice, ‘operational accountability for the field practice program’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mong other factors such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instructors,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related work and the field practice status of the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s. And factors of ‘practice environment’ and ‘practice instruction method’ have been identifi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six factors constituting the perception of field practice effect on the overall perception of field practice of the practical instructors.

keywords
현장실습, 실습지도자, 실습 인식도, 문헌정보학 교육, 도서관 인턴십, Field Practice Program, Practitioner of the Field Practice, Recognition in Field Practice,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Internship

참고문헌

1.

김성준. 2011.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93-213.

2.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

유사라. 2012. 전문가양성을 위한 직무관찰식 인턴쉽 시행연구: 문헌정보학 전공사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113-129.

4.

유사라. 2014. 인턴기관(도서관) 실무자의 인턴쉽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진단 사례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89-205.

5.

이수영, 김유승. 2012.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S공공도서관 사례를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147-168.

6.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55-379.

7.

차성종. 2016.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457-491.

8.

Bird, N. J., Chu, C. M., and Oguz, F. 2015. Internship in LIS Educa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Experiential Learning. IFLA Journal, 41(4), 298-307.

9.

Dahl, C. 2011. Supervising Academic Library Internships for Non-LIS Undergraduates.Library Management, 32(6/7), 408-418.

10.

Damasco, I. T., and McGurr, M. J. 2008. A Survey of Cataloger Perspectives on Practicum Experienc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4), 43-64.

11.

Grogan, D. J. 2007. Education for Librarianship: Some Persistent Issues. Education for Information, 25(1), 5-26.

12.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2000. Guidelines for Professional Library / Information Educational Programs. [online] [cited 2017. 2. 16.]<http://archive.ifla.org/VII/s23/bulletin/guidelines.htm>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