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노정임(서울 대림중학교) ; 송기호(공주대학교) ; 유종열(공주대학교) pp.5-22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교수․학습전략을 정보 활용 과정별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도덕 교과서의 탐구 과제는 언어 지능과 논리 수학 지능 및 공간 지능을 중심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활용 과정별로는 분석 이해 단계는 언어지능과 공간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합 적용 단계는 논리 수학 지능이 표현 전달 단계는 언어 지능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탐구 활동의 부족한 다중지능을 길러주기 위하여 사서교사는 공간과 교구를 개선하고, 탐구 과제의 교과 연계성을 분석하여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학습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cluded in the inquiry tasks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with multiple intelligences (M.I), and to propos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of teacher librarians. It was found that the tasks were mainly designed by the linguistic intelligence, logical & 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In term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linguistic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are mainly applied to the analysis-understanding stage. Logical & mathematical intelligence is applied to the stage of comprehensive-application and linguistic intelligence is applied to expression-delivery step. In order to cultivate the insufficient M.I in inquiry activities, teacher librarians should improve room and teaching materials of their school library and provide workbooks using the graphic organizer after analyzing the linkage of the inquiry tasks between the subjects.

민경록(청주기적의도서관) pp.23-48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023
초록보기
초록

그림책은 글과 그림으로 구성되어 언어 텍스트와 시각 텍스트 그리고 상호간의 보완작용을 통하여 의미가 전달되는 독특한 장르이다. 글 작가는 문체를 중심으로 하는 글의 내용으로 작가의 의도를 전개하고 전달하며, 그림 작가는 사물․대상․형상 등에 감정을 이입시킨 그림으로 작가의 의도를 전달한다. 그림은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구조와 작가의 철학, 사상 등을 이미지화하여 변용한 심층적 구조에 관한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에 행동주의 심리학자 Arnheim의 시각적 사고이론을 기반으로 그림책의 독서지원서비스를 위하여 사서들이 갖추어야 할 시각적 문식성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사서들의 그림책 서평과 같은 이차자료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Picture books, as a genre, are characterized by conveyance of ideas through linguistic texts, visual texts, and the complementary interactions between them. The writer of a picture book develops and delivers his or her ideas with textual contents written in a unique style, while the artist conveys the writer’s ideas through pictures where things, objects, and figures are imbued with various emotions. Understanding a picture in a picture book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structure shown on the surface and the underlying structure that adapts and visualizes the philosophy and ideas of the writer. In light of the discussion abov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help librarian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visual literacy for picture books, as visual literacy is required for the provision of readers’ advisory services regarding picture books. This method, which is based on behavioral psychologist Rudolf Arnheim’s theory of visual thinking, is expected to help librarians write picture book reviews or other secondary materials.

윤소영(한국고전번역원) ; 박지영(한성대학교) ;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pp.49-71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049
초록보기
초록

IFLA에서는 2016년 초에 기존의 FR Family에 속한 개별 모형인 FRBR, FRAD, FRSAD의 통합 모형인 FRBR 도서관 참조모형을 발표하였다. 20여년에 걸쳐 발표된 FR Family 모형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모형을 아우를 수 있는 상위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통합 모형은 FRBR 모형의 제1집단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국내의 FRBR 관련 논의를 확장하고, FR 개별 모형을 포괄적으로 국내 문헌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BR LRM 초안을 분석하고, 고전자료의 서지정보를 대상으로 이 모형을 시범 적용하였다. 고전자료는 하나의 저작에 풍부한 관련 저작과 표현형, 구현형을 지니고 있고, 저작 간의 관계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FRBR 모형 적용에 적합하다. 또한 FRBR LRM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합저작과 개별저작의 관계나 대표 표현형의 사례를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BR LRM을 기반으로 한 고전자료 조직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protégé을 사용하여 고전자료 온톨로지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서지 데이터 관리 환경에서 FRBR LRM의 국내 문헌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FRBR Library Reference Model is a consolidated model of FR Family Model-FRBR, FRAD, FRSAD developed by IFLA in early 2016. This means the creation of upper model for the consistency of FR individual models. It can be used for the expanding of the discussions on FRBR model in Korea that have been mainly discussed only for the first group of FRBR model. In addition, it can be an opportunity to apply the whole FR Family model to domestic literature in a comprehensive manne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raft of FRBR LRM and apply the model to the Korean classic materials. There are various work, expression, and manifestation related to a work of korean classic material, so it is good to represent the structure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FR Family model. We built on our experiment using Protégé to design korean classic materials’ ontology modeling, which propose a new orientation of korean classic materials’ organizing based on FRBR LRM. As a result, we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the FRBR LRM model on upcoming bibliographical data control environment.

최만호(건국대학교) ; 김태경(국립중앙도서관) ; 김보일(곰달래 도서관 관장) pp.73-93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073
초록보기
초록

국립중앙도서관은 이용자의 효율적인 이용과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각종 사인(sign)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기존 사인에 대한 현황 분석과 이용자 및 직원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용자의 효율적 도서관 이용 안내와 국립중앙도서관 사인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운영방안으로 시각적 연속성의 개선, 설치 위치의 변경, 과다한 사인물의 축소, 임시 부착 사인물의 제한, 알아보기 쉬운 내용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stalls and operates various sign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use of visitor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is study, the present status of the existing signatur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as surveyed and the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atron and staff.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visual continuity (connectivity), chang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reduction of excess sign, limitations of temporary attachment signatures, and easy to understand contents as user’s guide to efficient library use and improvement of National Central Library sign system.

김현정(서울여자대학교) pp.95-11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0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적용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평가 과목의 수강생 26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설문과 사후설문을 실시하여 그 변화를 측정하였고,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은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하위요인들인 리더의 양상, 의견 교환, 의견 평가, 그리고 의견 통합에 대하여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과, 학습의 실제성 중 자원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LIS education affects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a positive direction and if the authenticity of the project has any relationship with their self-efficacy for group work. 26 student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y took the “Evaluating Digital Library Systems” course with the same set of questions asking about their perceptions on the individuals’ capabilities to successfully perform group tasks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project’s authenticity. The paired sample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in terms of their capabilities as a leader as well as exchanging, evaluating, and integrating ideas when performing group activities. In addition, the authenticity of the project’s task shows som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이다니엘(어댑티브 인터액션즈) pp.117-132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117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다양한 저자특성이 ‘정보과학’ 분야 국제 학술대회 논문의 인용 수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논문 인용수의 변화와 관련이 깊은 요소들을 조사, 분석하는 계량서지학 연구는 학술지 논문에 편향되어 있으며 국제 학술대회 논문을 표본으로 삼는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더욱이 저자특성과 학술대회 논문의 인용 수를 연관하여 조사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저자 특성이 인용지수에 끼치는 영향력은 학문 분야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저자의 다양한 특성이 ‘정보과학’ 분야 학회 논문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별도로 조사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는 1,957편의 ‘정보과학’ 관련 학술대회 논문과 여덟 가지의 저자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논문 출간 당시의 여러 저자 특성이 앞으로 해당 학회 논문이 얻게 될 인용 수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저자의 논문출간 경험치를 나타내는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주저자의 논문 출간 연력과 직책, 공저자의 논문 수에 따라 인용수가 변화하였다. 하지만 저자 간의 협력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은 영향력이 없었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mpacts of various authorship-related factors on future citations of conference articles in ‘Information Science’ discipline. A large body of bibliometric studies has suggested that the impacts of various authorship-related factors on the future citations vary by the discipline and there is no well-grounded factor that is unanimously significant across all academic fields. That is,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assess the impact of authorship-related factors on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Moreover, while a number of bibliometric studies have focused on journal articles, the exploration of conference articles has been significantly fewer. Therefore,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1,957 conference articles in ‘Information Science’ field, examined several factors about authors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factors to the future citation. The sources of citation rates of conference articles were Google Scholar and Scopus. As the results, among eight factors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first authors’ publishing tenure and job title and the average number of publications of other author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changes of citations. However, the number of authors, the number of affiliated institues, the number of the first authors’ publications and the average publishing tenure of the other authors made little contributions on citations.

차성종(숭의여자대학교) pp.133-15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실습지도자의 인식을 진단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 실습지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도 측정을 실시하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습지도자의 일반적 특성, 도서관 관련 업무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등 요인 중에서 현장실습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현장실습 운영 책무성’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실습 인식도를 구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별로 실습지도자의 전반적 현장실습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실습환경’, ‘실습 지도방법’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diagnosing the practical instructor’s perception of the overall field practice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a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a measurement in perception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through a survey of practical instructors at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s. We, then,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field practice, ‘operational accountability for the field practice program’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mong other factors such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instructors,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related work and the field practice status of the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s. And factors of ‘practice environment’ and ‘practice instruction method’ have been identifi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six factors constituting the perception of field practice effect on the overall perception of field practice of the practical instructors.

곽철완(강남대학교) pp.157-178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다양한 생활태도와 특성이 대학도서관에서 학술정보 탐색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 요인분석, 회기분석, 군집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이 학술정보 탐색행동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공계열과 도서관 이용 빈도가 탐색행동에 대한 태도, 인지된 행동 통제, 탐색행동 의사 변인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학생 유형은 보수형, 독립형, 사교형, 유행형으로 구분되었는데, 이 중 사교형 학생 유형이 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6개 군집으로 구분한 결과 사교형 및 독립형의 학생 유형과 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이 많이 포함된 집단에서 학술정보 탐색행동에 적극적인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 search behavior in an academic librar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applied for identifying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n search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in an university. For data analysis, ANOVA,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show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be used for finding search intention in an academic library. Student major and library use frequency are different statistically in attitud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havioral intention. Student characteristic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conservative, independent, friendship, fashion. Friendship type of students influences search behavior. From cluster analysis, the cluster included friendship and independent types of students and students who have high frequency of library use has more active intention for search in academic library.

엄소영(전북대학교) ; 김혜영(전북대학교) ; 명현(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pp.179-205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179
초록보기
초록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역 문화가 깃든 공동체가 온전히 보존되기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적 특색이 강한 로컬리티 기록물을 활용하여 공동체 활성화 방안으로 기록물 수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 약전골목을 대상으로 하여 골목의 역사와 현황 및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약전골목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물 유형 및 약전골목을 이루고 있는 공동체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였다. 수집 방안으로는 시흥 바라지 아카이브 사례와 정릉 마을 기록 사례, 오텐센지구 아카이브를 참고하여 단계별 수집정책을 개발하였다.

Abstract

With industrialization in urban area communities containing local cultures are becoming hard to be preserv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cquisition policy of record as an way to activate the community by using the locality records containing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istrict in Daegu Yakjeon alley and extracted the types of records and the components of communities. As an acquisition plan, this study developed step-by-step acquisition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archives of Shiheung Varagi Archives case, the records of Chongneung Village Records case and Stadtteilarchiv Ottensen.

이종창(파주 가람도서관 관장) ; 권나현(명지대학교) pp.207-235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2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직 역량기준을 조사하는 한편, NCS 및 사서직 역량요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직 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핵심역량에 대비하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체계(NCS-CPD)”는 각종 도서관에 근무하는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전문 및 기초 핵심역량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 체계는 향후 사서직 계속교육 연구 및 현장에서의 균형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model us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Library & Information Management.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various competency standards for librarians developed in and out of the countr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to obtain professional librarians’ needs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NCS for library professions. It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NCS elements and mapped with elements in the five other competency standard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s. It also scrutinized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formed the areas to enhance the current NCS by identifying underdeveloped competencies and identified the course contents that should be developed with priorities. The study also developed a modifi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NCS-CPD).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can utilize this scheme as a useful guideline to develop balance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s for the practitioners working in variou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s.

임희종(서울시립대학교) ; 이상복(한성대학교) ; 박성재(한성대학교) pp.237-253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237
초록보기
초록

상호대차 서비스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서 시스템적 접근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가운데 상호대차 대출 요청의 이용자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운영관리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지역 내 상호대차 대출의 이용자 대기 시간은 2~3일로 안내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대기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도서 배송 차량의 이동경로 및 도서 배송량 결정에 비효율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혼합정수계획모형이라는 수리적 모형을 통해 도서 배송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차량 경로이동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도서관의 상호대차 요구량 자료를 이용하여 하루 가용한 시간 별, 최적의 도서 이동 및 차량 경로 해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re are many systematic approaches to manage Interlibrary loan (ILL)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erating method reducing user-waiting in ILL. Users are usually informed to wait around two to three days in a regional ILL service. The reason of the waiting is that there is inefficiency in running material-delivery vehicles. A mixed integer programming is employed to resolve this issue. It provides an optimal vehicle-route maximizing material-deliveries subject to time availability. We used an actual data of a regional ILL system to provide optimal vehicle routes under different time settings.

김양우(한성대학교) pp.255-279 https://doi.org/10.4275/KSLIS.2017.51.2.2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NAVER 전문정보의 학술자료 검색 기능에 대한 이용자 만족과 관련된 인식을 조사한 질적 연구이다. 다양한 전공영역의 학부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영역과 관련된 학술목적의 정보요구를 기반으로 스스로 선정한 탐색주제를 가지고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술정보 전문포털에 대한 만족이나 불만족 등의 인식과 그 이유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결과는 인터페이스, 검색메커니즘 및 검색결과 등 세 가지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평가 항목 별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제언점은 1) 이용자들의 기본적인 관련 용어에 대한 제한한 지식 등을 토대로 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개선 및 도움말 기능의 확대, 2) 상이한 맥락에서 사용된 검색어를 토대로 한 검색결과가 이용자 불만족으로 연결됨에 따른 검색 메커니즘의 개선 필요성, 그리고 3) 이용자들의 기본 용어 이해 부족과 더불어 검색 메커니즘 및 탐색기능에 대한 미흡한 식견을 기반으로 한 이용자교육의 제공 필요성으로 요약된다.

Abstract

In a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d users’ perceptions associated with their satisfactions in the process of using the scholarly resource search functions of the academic version of the NAVER search engine.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group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nducted academic information searches in the field of own major disciplinary areas, using the Web portal. Based on the data, students’ satisfactions and dissatisfactions along with the reasons of their percep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presented users’ perceptions in various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three major domains: system interfaces, retrieval mechanisms and 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suggestions: 1) the enhancements of the system interfaces and HELP guidances based the limited user knowledge on basic system terminologies 2) the improvements of the retrieval mechanisms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the contexts of the search terms presented by users 3) the necessity of the user education due to the insufficient user knowledge of the retrieval mechanisms and the search function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