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최영임(공주대학교) pp.5-21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서활동상황’ 기록에 대한 만족도, 독서활동 기록의 필요성, 독서활동 기록 방법 등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독서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기록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독서를 통해 성장한 내용을 도서명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독후활동 기록, 교과교사와의 상호작용 활동 등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독서 평가 방법의 변화와 학교 현장의 바람직한 독서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s and to make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reading activities records. Data for 120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negative response result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the ‘reading activity situation’ record, the necessity of the reading activity record,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reading activity. It is, however,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recording method to invigorate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Since it is not easy to identify students’ development in reading by the titles which they provides for the reading activity records, a variety of reading activities need to be recorded for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 process and interaction activities with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in this study will be significant data to improve evaluation methods of reading activities for college admission and to cultivate proper reading culture in high schools.

이승길(경신고등학교) ; 송기호(공주대학교) pp.23-44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학교도서관에서 장서관리정책을 수립할 때 근거 및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지침서에 포함할 구체적인 항목과 내용 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 장서관리 관련 문서를 국제 수준 및 국가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 장서관리지침서에서는 장서의 양적 기준 이외에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성과 자원 공유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의 제기 자료에 대한 처리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지침서가 포함해야 할 항목을 크게 장서관리의 일반 원칙과 장서관리지침으로 구분하고 각 항목별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국가 수준의 장서관리지침서가 학교 현장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tailed items and elements to be included in a national guideline for school library collection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and standard for establishing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in individual school libraries. For this purpose, materials related to the collection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were analyzed with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materials emphasizes accessibility and resource sharing of digital materials besides quantitative standards of the library collection and deal with the process for the objection collection. In this study, items to be included in the national guidelines are divided into general principles of collection management and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and elements of the each item are suggested. And proposed systematic bases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national guidelines to school libraries.

윤정옥(청주대학교) pp.45-64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04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98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선호도, 분류기호, 주제표목, 발행연도, 장르 등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지향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2017년 4월 LC(Library of Congress) 도서센터 웹사이트에 등록된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주별 및 작가별 리스트를 기반으로 전체 선정 책 1,102권 및 단 한 개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책 812권의 LC OPAC 서지레코드 735건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To Kill a Mockingbird 등 선호된 책들의 계속적 영향력과 ‘The Big Read’를 통한 ‘한 책’의 수명 연장, 발행 1-2년 된 신간에 대한 선호, LC 분류체계의 P(문학 및 어학) 주제 집중(530권, 72.1%)과 PS(미국문학)의 압도적 중요성(307권, 57.9%), 가정소설, 역사소설, 심리소설 장르의 높은 비중과 43개 장르의 분산, 고유한 주제표목 535개 중 “City and town life”와 “World War, 1939-1945”(8권) 표목의 중요성 및 개별 주제표목들의 다양성, 96개 주제표목 그룹에서 “African American...”(20권)과 “Woman...”(16권)으로 시작하는 그룹의 중요성 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선정 책들의 주제가 통합, 이해, 관용 등에서 인권, 환경, 평화 등으로 변화하고 다양화하는 현황과 추이를 기술하였으나, 책 선정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및 독서운동이 가져온 실제적 변화 등은 다루지 못한 제한점을 가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community reading campaign in the U.S.A. known as ‘One Book, One City’ reflected in the books selected for this campaign for the past 20 years in terms of their classification numbers, subject headings, publication dates, and genres. Analyzed are the author and state list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Promotions Projects available from the website of the LC(Library of Congress) Center for the Books, and bibliographic records of 735 books selected in only one ‘One Book’ program, accessed from LC OPAC. Major findings include continuing influences of the all-time favorite ‘One Book’ selections, including To Kill a Mockingbird and the extension of their span of life through The Big Read, preference for the recent publications, importance of P(Literatures and Languages) Class(530 titles, 72.1%) and PS(American Literatures) subclass(307 titles, 57.9%) in the LC Classification Scheme, distribution of books in 43 genres, including domestic fiction, historical fiction, and psychological fiction, etc., the use of 535 unique LC subject headings and much interests in “City and town life”(10 titles) and “World War, 1939-1945”(8 titles), and prominence of subject groups which begin with “African American...” and “Woman...” out of 96 groups of subject headings. It is found that the subjects and focus of the selected books expand from integration, understanding, integrity to human rights, environment, peace, etc.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the influence of the selected books and the changes in communities are not properly analyed.

임성관(경기대학교) pp.65-81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065
초록보기
초록

심리치료는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활동 분야이다. 따라서 심리치료사들은 치료 장면에서 만나는 내담자 및 참여자들을 적절히 돕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쌓고 수련을 통해 실습 경험도 채워 나간다. 더불어 적정 치료 모형을 만들어 방법과 효과에 대해 알리고 활용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독서치료 분야는 이미 20년 가까운 역사를 갖고 있음에도 여러 대상과 목표에 맞는 치료 모형이 개발 및 제안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중심상담 이론을 바탕으로 독서치료의 주체가 되는 내담자-참여자들을 중심에 둔 독서치료 모형을 개발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여러 대상과 목표에 맞는 독서치료 모형 개발의 기초 및 참고가 될 것이다.

Abstract

Psychotherapy is an area of psychology that helps/treats people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by non-medical means. Psychotherapists build up theoretical backgrounds, profiles, and/or techniques to adequately assist clients and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of these disorders. Despite the fact that South Korea has a history of nearly 20 years in the field of bibliotherapy, there has not been a developed or proposed psychotherapy treatment model that suits many objectives and goals utilizing bibliotherapy. In this study, based on the person-centered counseling theory, we intend to develop a model and approach focusing on the clients-participants who are subject to bibliotherapy.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and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bibliotherapy model(s) suitable for various psychological objectives and goals in the future as an alternative or in addition to other psychotherapy methods and techniques.

민경록(청주기적의도서관) pp.83-108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083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은 독자에게 독서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는 대표적 기관이며, 사서는 독자에게 도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낌없는 상담과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독자들의 그림책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서관과 사서는 훌륭한 그림책은 어떤 것인지? 유사한 종류의 다양한 도서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 등의 도서 선택과 독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림책 서평을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작성․제공하여 독자들의 독서정보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과 예술의 복합장르인 그림책 서평을 작성하기 위하여서는 내용소개는 물론 시각 텍스트에 관한 문학적 상징성 등의 해설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서는 작가의 사상과 철학을 이미지로 형상화한 심층적인 의미를 읽을 수 있는 시각적 문식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옛 이야기 「빨간모자」를 다룬 두 작가의 그림책을 비교․분석하여 그림책 서평 작성 시 참고하여야 할 시각적 텍스트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Abstract

As a public institution, it is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a library to provide readers with information about books. To provide such information to readers, a librarian should have the ability to provide satisfactory consultation and advice. As interest in picture books grow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libraries and librarians to produce and release picture book reviews on a regular basis to inform readers of what makes a good picture book, and which among similar books should they choose. Other than summarizing the content of a picture book, a good picture book review should als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will help readers understand the reviewed book such as the literary symbolism of a book’s visual texts. To this end, a librarian is required to develop visual literacy, which would enable him/her to read into the deeper meaning of the images imbued with the writer’s ideas and philosophy. In light of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wo picture book versions of the story Little Red Riding Hood, with the purpose of helping librarians understand the visual texts that they need to refer to when writing picture book reviews.

이명희(상명대학교) pp.109-132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가 중년여성들의 자존감 향상에 초래하는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인 Giorgi 연구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중년 후기 여성 6명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친 독서치료를 실시하고, 녹음파일 속의 참여자의 진술을 221개의 의미단위, 16개의 하위상황/주제, 6개 상황/주제, 3개의 그룹으로 분석․통합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가족 관계의 어려움으로 신경증적 증상을 경험하였으나 독서치료 경험 후 자존감, 가족, 인생관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다. 참여자간의 상호작용과 독서치료의 매개체인 그림책은 참여자들의 경험을 표현하는데 긍정적인 정서적,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종교생활 참여는 마음의 상처 치유에 큰 역할을 했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through group bibliotherapy. During this study, 12 sessions were conducted for six middle-aged women, and the participants’ statements in the recorded files were analyzed and integrated into 221 semantic units, 16 sub-situations/topics, 6 situations/topics, and 3 groups. During the research, the participants suffered from neurosis symptoms due to family difficulties. Nevertheless, bibliotherapy showed favorable results; the use of picture books and thu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led to positiv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Furthermore, from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religious lif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aling the participants’ wounds.

곽승진(충남대학교) ; 장덕현(부산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강은영(신라대학교) ; 김정택(배재대학교) pp.133-161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건립되는 울산의 대표도서관인 울산도서관의 운영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대상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용자들의 협력형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를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울산 공공도서관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방안에 있어서, 직원의 경우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 등 미디어 매체 활용을 가장 높게 선호하고 있는 반면, 이용자는 이러한 매체 활용에 대해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고 오히려 견학프로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서활동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뿐 아니라 예술․문화 등 다양한 문화 활동 체험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부분에서는 이용자와 직원 사이에 어느 정도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formulat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for Ulsan Library,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develop directions for the future library services by performing surveys on the users and library staffs. Consequently, first, the users have demonstrated such a high demand for collaborative services, such as make possible variable library services using a single membership ID across the nation.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among the two groups in regards to the awareness of promotional methods for the facilitation of the use of public library in Ulsan. That is, while the staffs highly preferred the use of media such as newspaper, magazines, and radios, users demonstrated the converse and, instead, preferred field trip programs. Third, there seemed to be a certain level of agreement by and among the users and staffs in respect of the library’s roles such as that of providing diverse education and programs on reading activities, and that of enabling diverse cultural activities such as arts and culture.

김태영(전북대학교) ; 강주연(전북대학교) ; 김혜영(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pp.163-188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제공을 위해 LOD기반의 재난안전정보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 및 오프라인 인터뷰를 수행하여 재난안전정보 제공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재난안전정보를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재난안전정보 영역과 함께 도출된 재난안전정보 LOD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 LOD의 구축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LOD 구축 과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발간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를 적용하였다. 특히, 재난안전정보 6가지 영역을 토대로 표준용어집 및 모델링 도구를 활용하여 온톨로지 개념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model based on LOD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information.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current state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online search and face-to-face interviews, and then the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6 type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specific process of building disaster safety information LOD service with considerations reflecting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The process for building LOD was based on Guidelines for Building Linked Data written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Especially, ontology concept model was defined by using standard lexical resources and modeling tools based on 6 types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nd classes and properties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more useful for common people.

정진수(덕성여자대학교) pp.189-213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이용환경 모형을 적용하여 교육열 높은 지역 고등학생들의 특성과 전형적인 정보문제들을 확인하고 그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원, 그리고 이용환경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K구 소재 중산층과 사교육기관이 밀집한 지역 3개 고교 220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188부의 유효응답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SPSS24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증, 카이제곱 교차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람들, 정보문제, 문제해결, 이용환경의 네 요소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이 지역 고등학생들은 학교교육, 대학진학, 변화와 혁신에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고 있으며 여러 정보원 중에 인터넷커뮤니티와 포털을 가장 선호하였다. 학생들의 전형적인 정보문제는 7개 자아범주의 21개 문제임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감정적 자아와 인지적 자아 범주의 문제들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 두 자아범주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부모, 형제, 자매가 주요정보원이었는데 이 결과는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정보원이 인터넷 커뮤니티와 포털이라는 조사 결과와는 달라 흥미롭다. 학생들의 주중 일상적 이용환경은 집과 학교이며 그 외 스마트기기, 사교육학원, PC 또는 노트북 등의 순이었고 학생들의 주말 일상적 이용 환경은 집 외에 사교육학원, 음식점, PC 또는 노트북 등의 순이었다. 또한 이용환경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위해 연구 결과로부터 파생된 여러 연구 질문을 남겼으며 다양한 맥락에 적용가능한 정보이용환경 모형을 교육열이 높은 지역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Conduc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nformation Use Environ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high schools, identified the typical problems of the students and their information source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analyzed the settings the students use dail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20 students in 3 different high schools located in the affluent community area of K-Ku in Seoul particularly known for high academic interests. 18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4.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tudents’s attitudes toward education, going to college, and changes and innovations were positive. that they chose the internet as their most favorite information sources for problems, and that 21 problems in 7 self-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the students’ typical problems, and that the problems within emotional and cognitive self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t was interesting that the students use parents and siblings as information sources to resolve the problems within emotional and cognitive self, although they chose the internet as their favorite information sources in general. The settings that students use daily during weekdays were homes, schools, smart devices. academic tutoring centers, PC or laptop in order. The students’ daily settings for weekends were homes, academic tutoring centers, restaurants, PC or laptop in order. These setting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o suggest the further research questions and to show the application of the IUEs for under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in a specific sett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high school students in different contexts.

오선경(대구대학교) pp.215-24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215
초록보기
초록

시각장애인에게 대체자료는 정보접근 및 이용, 지식정보 격차해소, 사회참여 및 통합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자료는 최근까지도 점자도서관 등의 자발적 노력과 자치단체의 재정지원 하에 개인의 요청이나 담당자의 판단으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그 범위가 문학자료와 교양․취미도서로 한정되고 중복제작 될 뿐만 아니라 대체포맷 또한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도서관 및 관련 단체의 대체자료 제작사례를 분석하고 시각장애인도서관과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대체자료 제작현황과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체자료 제작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visually disabled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accessing and using information, dissolving the knowledge information gap,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Nevertheless, since alternative materials have been produced, until recently, even under the voluntary efforts of the braille library and the financial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the scope of the materials is restricted to literary materials and hobby books, duplicated in title, and limited in forma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y and related organizations’ alternative material production and the current state and percep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by applying the survey method to special libraries for the visually disabled and the visually disabled. Based on these results, we adde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for alternative material production and utilization.

장덕현(부산대학교) ; 이연옥(부산대학교) pp.247-263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247
초록보기
초록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비롯한 다문화인구는 최근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중요한 고객이 되고 있다. 한국사회의 급속한 다민족․다문화사회화에 따라 최근 전국의 많은 공공도서관이 다양한 다문화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측면의 확대와는 별도로 실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검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다문화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실제 다문화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의 인식을 통하여 다문화서비스의 실질적 문제점이 무엇이며, 다문화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조사해 보았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polpulation in Busan metro area. Emphasis was put on the perceived problems and strategies of librarians who are in charge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three public libraries in Busan. Specifically, this study surveys major issues, problems, and solutions related to serving multicultural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For thi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qualitative interviews with informants and analyzed cont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multicultural agencies with primary data to restructure the service programs for immigrants in Korean public libraries.

홍보현(연세대학교) ; 김기영(연세대학교) pp.265-292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2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지역(A시 B구)의 지역 문화재단 설립 관련 정책 사례에서 공공도서관 포함 여부를 둘러싼 정책 행위자들의 행태를 파악하여, 도서관이 문화재단에 위임 운영되는 정책결정이 어떻게 산출되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책과정 기간 중 공개된 행위자들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책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지역에서 도서관 위탁반대연합이 내세웠던 핵심신념인 공공성과 사서의 전문성 중 공공성만이 위탁옹호연합에 수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례와 유사사례의 비교를 통해, 핵심 신념으로서 사서의 전문성은 상대연합의 신념을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서비스를 지역의 다른 공공서비스와 차별화, 전문화하는 것이 공공 도서관의 직영을 유지하는 데에 요구되며, 이는 도서관의 일상적 서비스가 지역의 도서관 관련 정책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ovements of policy actors in the policy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ultural foundation in B-gu(district), A-si(city), then to explore the way to contract out of th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to the cultural foundation in the policy proces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from newspapers and assembly minutes to blogs and SNS messages of the policy actors, then analysed based o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The results showed that ‘agreement of contract-out’ coalition only accepted public interest of the public libraries between the public interest and specialty of librarianship which were insisted by ‘disagreement of contract-out’ coalition’s policy beliefs. The comparison between this case and a similar policy case showed that the specialty of librarianship as a core belief is effective in changing the beliefs of other coalition. Eventually, it is required to differentiate and to specialize library services among public services in a local area in order to keep the direct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is means that everyday library services influence the decision making of library policies in the local area.

연지은(연세대학교) ; 김기영(연세대학교) pp.293-322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2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국회도서관장 전문가 임명 정책의 의제화 과정을 대상으로,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하여, 이 정책이 의제화된 과정과 함께, 정책을 지속적으로 지지한 정책선도자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은 비합리적 의사결정모형으로, 문제흐름, 정치흐름, 정책흐름이 상호독립적으로 존재하다가 특정 시점에서 결합하여 정책의 창이 열림으로써 정책이 의제화된다는 모형이다. 분석 결과 국회도서관 전문가 임명을 둘러싼 세 흐름 중 정책 의제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정치흐름으로 나타났으며, 야당 소속의 국회의원을 정책선도자로 확인하고, 그 동기 및 자원, 전략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 정책의 의제화 과정에서 도서관계의 가시적인 활동이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 의제화가 성공했다는 점을 바탕으로 도서관정보정책에서의 도서관계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background of the agenda-setting to appoint library professional as the director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entrepreneur of this agenda. To this purpose an agenda-setting process in 2014 is analyzed with the Kingdon’s multiple streams model. Kingdon’s multiple streams model explains that an agenda is set when a window of opportunity is opened by coupling of problem stream, political stream, and policy stream. They have existed independently before setting the agenda.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litical stream was the major stream to open the window of opportunity. The lawmaker in the opposition party is identified as the leader for the agenda and the motivations, resources, and strategies of the policy entrepreneur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e agenda for library professional as the director was set without visible participation of library professional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library professionals’ roles for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making proces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