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시각장애인도서관의 대체자료 제작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the Production State of Alternative Materials of Special Libraries for the Visually Disabled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7, v.51 no.3, pp.215-24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215
오선경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시각장애인에게 대체자료는 정보접근 및 이용, 지식정보 격차해소, 사회참여 및 통합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자료는 최근까지도 점자도서관 등의 자발적 노력과 자치단체의 재정지원 하에 개인의 요청이나 담당자의 판단으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그 범위가 문학자료와 교양․취미도서로 한정되고 중복제작 될 뿐만 아니라 대체포맷 또한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도서관 및 관련 단체의 대체자료 제작사례를 분석하고 시각장애인도서관과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대체자료 제작현황과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체자료 제작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Visually Disabled, Special Libraries for the Visually Disabled, Alternative Materials(Formats), Produc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시각장애인, 시각장애인도서관, 대체자료, 대체자료 제작,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Abstract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visually disabled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accessing and using information, dissolving the knowledge information gap,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Nevertheless, since alternative materials have been produced, until recently, even under the voluntary efforts of the braille library and the financial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the scope of the materials is restricted to literary materials and hobby books, duplicated in title, and limited in forma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y and related organizations’ alternative material production and the current state and percep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by applying the survey method to special libraries for the visually disabled and the visually disabled. Based on these results, we adde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for alternative material production and utilization.

keywords
Visually Disabled, Special Libraries for the Visually Disabled, Alternative Materials(Formats), Produc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시각장애인, 시각장애인도서관, 대체자료, 대체자료 제작,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참고문헌

1.

국립장애인도서관. 2015. 2013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

국립중앙도서관. 2016. 장애인 독서활동 실태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

3.

김정호. 2010. 시각장애인용 디지털 대체자료 제작비용 산정 기준 연구. 시각장애연구, 26(2), 117-133.

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대체자료 제작 표준지침 개발 및 제작 단가산정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국립장애인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

6.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 서울: 대통령소속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7.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4-2018. 세종: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8.

박연주, 하경희. 2014. 시각장애인의 대체자료 이용 만족도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재활복지, 18(4), 75-93.

9.

배수운. 2011.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0.

백록담. 2016.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대체자료 개선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문헌정보학과.

11.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독서장애인 독서활동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서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12.

오영옥. 2013. 국내 점자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대체자료 활용 실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13.

윤희윤. 2010. 주요 국가의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정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29-49.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