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고등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rception and Improvement in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Student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7, v.51 no.3, pp.5-21
https://doi.org/10.4275/KSLIS.2017.51.3.005
최영임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서활동상황’ 기록에 대한 만족도, 독서활동 기록의 필요성, 독서활동 기록 방법 등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독서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기록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독서를 통해 성장한 내용을 도서명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독후활동 기록, 교과교사와의 상호작용 활동 등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독서 평가 방법의 변화와 학교 현장의 바람직한 독서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Reading Attitude, Reading Record, Reading, 독서 태도, 독서 기록, 독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s and to make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reading activities records. Data for 120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negative response result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the ‘reading activity situation’ record, the necessity of the reading activity record,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reading activity. It is, however,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recording method to invigorate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ctivities. Since it is not easy to identify students’ development in reading by the titles which they provides for the reading activity records, a variety of reading activities need to be recorded for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 process and interaction activities with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in this study will be significant data to improve evaluation methods of reading activities for college admission and to cultivate proper reading culture in high schools.

keywords
Reading Attitude, Reading Record, Reading, 독서 태도, 독서 기록, 독서

참고문헌

1.

교육부.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개선 방안」 발표. 2016. 정책브리핑. 11월 24일. [online] [cited 2017. 5. 12.]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6168869>

2.

김순남 외. 2013.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학생평가 정책 연구: 국제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OR 2013-09.

3.

김홍원 외. 2005. 2008 대학입시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및 활용 개선방안 연구정책브리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류은상. 2000. 초․중등학교 생활기록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5.

박균열 외. 2014. 학교생활기록부 기재방식 및 교육적 활용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OR 2014-1.

6.

박동진. 2010. 국어교육: 독서 감상문 쓰기의 실태- 구성 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84, 109-125.

7.

송수자. 2014. 독서 기록의 실행 양상과 인식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국어교육학과.

8.

충청남도교육청. 2015.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중등용). 충남: 충청남도교육청.

9.

충청남도교육청. 2016.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중등용). 충남: 충청남도교육청.

10.

충청남도교육청. 2017.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중등용). 충남: 충청남도교육청.

11.

학생부 관리 = 대입 … 학종시대 컨설팅업체 기승. 2017. 서울신문. 5월 2일. [online] [cited 2017. 5. 12.]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503008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