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타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문헌정보학 전공 커리큘럼 진단연구

A Diagnostic Analysis of LIS Curriculum from the Meta-literacy Perspectiv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2, pp.191-220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191
유사라 (서울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정보 리터러시와 관련된 인지과정 중심 교육모형(Bloom’s taxonomy), 사서 직무교육 내용, 디지털 큐레이션 등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리터러시 역량을 도출한다. 웹3.0 정보환경의 상황적 요소를 분석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정보 신기술의 적응 능력을 중요한 역량으로 확장시킨 메타리터러시 개념을 기준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 커리큘럼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미래지향적 예비 사서의 전문성 배양 측면에서 강조되어야 할 전공 교과목을 진단하고 커리큘럼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keywords
메타리터러시, 정보리터러시, 인지교육, 비판적 사고능력, 디지털큐레이션, 사서 직무역량, 정보전문가, 문헌정보학 커리큘럼, 웹3.0, Meta-literacy Competencies, Information Literacy, Cognitive Process, Critical Thinking Ability, Digital-curation, Library Practice, LIS Curriculum, Web3.0

Abstract

Using Bloom’s taxonomy model of thinking ability for learning (RBTT) and new ACRL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2016), this study demonstrates the meta-literacy competencies for library specialists and analyses current LIS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Some guidelines for reformation of LIS curriculum, emphasizing meta-literacy competencies which are required from Web3.0 information environment, are provided.

keywords
메타리터러시, 정보리터러시, 인지교육, 비판적 사고능력, 디지털큐레이션, 사서 직무역량, 정보전문가, 문헌정보학 커리큘럼, 웹3.0, Meta-literacy Competencies, Information Literacy, Cognitive Process, Critical Thinking Ability, Digital-curation, Library Practice, LIS Curriculum, Web3.0

참고문헌

1.

강지혜. 2016.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개발 실태와 방향성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343-363.

2.

국립중앙도서관. 2017. 『2016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cited 2017. 4. 24.] <http://www.nl.go.kr>

4.

권나현. 2017. SNS와 도서관. 월드라이브러리, 317.

5.

권선영, 차성종. 2016.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3), 129-149.

6.

김성은, 이명희. 2006.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77-200.

7.

김연례, 강혜영. 2007. 대학도서관의 웹 기반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용요인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117-144.

8.

김지은. 2011. Kuhlthau의 ISP모델에 기반한 대학의 정보활용능력 교육과정 모델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101-122.

9.

김지현. 2015.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225-253.

10.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95.

11.

노동조. 2009.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451-468.

12.

노영희. 2017. 도서관의 교육적 가치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4), 5-34.

13.

노영희. 2015.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특징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79-107.

14.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29-53.

15.

박옥남 외. 2017. 국립중앙도서관 서비스의 미래 방향성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269-299.

16.

박태연 외.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사서 인식조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203-229.

17.

배경재. 2014. 대학생의 과제해결과정 중 정보적합성 판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189-206.

18.

배경재, 박희진. 2013.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241-265.

19.

송경진, 차미경. 2014. 문헌정보학과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있어서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15-240.

20.

신정아, 남영준. 2014. 공공도서관 사서의 정보활용능력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37-242.

21.

안영희, 박옥화. 2009.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11-326.

22.

안영희, 박옥화. 2010. 디지털 큐레이션 정책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167-186.

23.

오의경. 2013.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385-406.

24.

윤희윤, 정현태. 2015. 국내 사서교육프로그램 인식도 분석 및 개편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49-69.

25.

이명희. 2017. 전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현황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사서의 인식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157-179.

26.

이병기. 2013.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81-200.

27.

이병기, 김기오. 2013. 정보활용능력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미국의 대학평가인증기준 비교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3), 135-156.

28.

이수연, 윤지혜. 2016. 데이터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년 8월 25일, 서울: 연세대학교: 71-76.

29.

이신호, 양해술. 2011. 사서직공무원 교육훈련 시스템 발전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91-113.

30.

이정미. 2012. 상황인식 컴퓨팅의 개념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179-194.

31.

이재윤. 2015. 데이터 사이언스와 데이터 리터러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 회 논문집, 11-15.

32.

이지수. 2013. 그룹 연구 과제에서의 협동적 정보행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97-117.

33.

이현실. 2004.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303-322.

34.

이혜영. 2011. 대학도서관에서의 과제 작성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369-395.

35.

이혜영, 남태우. 2008. 대학생이 정보활용능력 척도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503-532.

36.

이혜원. 2016. 역사콘텐츠 활용을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 제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235-256.

37.

이혜원. 2008. TPCK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간의 교수-학습 협력에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449-467.

38.

장덕현, 최고운. 2008.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37-60.

39.

장윤금 외. 2016. ICT 리터러시 교육 활용 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3),273-294.

40.

장윤금. 2016.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89-306.

4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소셜네트워크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2.

정재영. 2008. 대학도서관의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95-217.

43.

정재영. 2015.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3),1-20.

44.

조용완.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보 빈곤 해소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325-356.

45.

조용완, 이수상. 2010.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리터러시 현황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75-99.

46.

차성종. 2016.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457-491.

47.

최재황. 2015. 영국 SCONUL의 정보리터러시 기준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5-26.

48.

최재황. 2016. AASL(2007)과 ACRL(2015) 정보리터러시 기준에 내재된 정의적 성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115-137.

49.

한만성. 2014. 교양교육으로서 정보 활용능력 교육 위상 강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51-70.

50.

한상우, 김완종. 2016. 대학생의 의사소통역량이 정보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377-394.

51.

홍소람, 장우권. 2017. 공문서 리터러시와 기록정보 리터러시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4(3), 125-150.

52.

ACRL. 2016.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Chicago, IL: Association of College & Research Libraries. [online] [cited 2018. 4. 8.]<http://www.ala.org/acrl/standars/ilfamework>

53.

Avalos, B. 2011.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over Ten Yea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1), 10-20.

54.

Becker, B. W. 2018. Information Literacy in the Digital Age: Myths and Principles of Digital Literacy. School of Information Student Research Journal, 7(3), 1-8.

55.

Blank, I., Rokach, L., and Shani, G. 2016. Leveraging Metadata to Recommend Keywords for Academic Paper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7(12), 3073-3091.

56.

Carter, D. & Dan Sholler. 2016. Data science on the ground: Hype, criticism, and everyday work.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7(10), 2309-2319.

57.

Chappell, D. 2017. Metaliteracies, Creative Practitioners and Arts Librarie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rt Libraries Journal. [online] [cited 2018. 2.] <https://doi.org/10.1017/alj.2017.5>

58.

Choudury, S. 2010. Data Curation An Ecological Perspectiv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71(4), 194-196.

59.

CLIR, Data Curation. [online] [cited 2017. 5. 10.] <http://www.clir.org/initiatives-partnerships/data-curation>

60.

Collins, J. & Richard Blot. 2003. Literacy and Literacies: Texts, Power, and Identity,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Fernandez, P. 2016. Through the Looking Glass: Envisioning New Library Technologies:How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Impact Libraries. Library Hi Tech News, 33(5), 5-8.

62.

Finneman, N. O. 2014. “Digitization: New trajectories of mediatization?” in Knut Lundby (ed.) Mediatization of Communication. Berlin: De Gruyter Mouton.

63.

Heidorn, B. 2011. The Emerging Role of Libraries in Data Curation and E-Scienc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1(7-8), 662-672.

64.

Hurd, J. M. 2000. The transformation of scientific communication: A model for 2020.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1(14), 1279-1283.

65.

Ovadia, S. 2013. Digital content Curation and why it matters to librarians. Behavioral &Social Sciences Librarian, 32(1), 58-62.

66.

Finnemann, N. O. 2017. Hypertext Configurations: Genres in Networked Digital Media.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8(4), 845-854.

67.

Forehand, M. 2010. “Bloom’s Taxonomy: Emerging Perspectives on Learning, Teaching and Technology.” [online] [cited 2018. 1. 10.]<https://www.d41.org/cms/lib/IL01904672/Centricity/Domain/422/BloomsTaxonomy.pdf>

68.

Fulkerson, D. M., Ariew, S. A., and Jacobson, T. E. 2017. Revisiting Metacognition and Metaliteracy in the ACRL Framework. Communications in Information Literacy, 11(1),21-41.

69.

Gianmaria S. 2018. Theory and Practice of Data Cit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9(1), 6-20.

70.

Gillian H, Amberyn T and Bill B. 2018. Creating a Connected Future Through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y: Strategic Directions at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Library. Journal of the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67(1), 42-54.

71.

Gummer, E., and Mandinach, E. 2015. Build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Data Literacy.Teachers College Record, 117(4), 1-22.

72.

Haendel, M. A. et al. 2012. Dealing with Data: A Case Study on Information and Data Management Literacy. PLoS Biol, 10(5), 1-8.

73.

Jacobson, T. E., and Mackey, T. P. 2013. Proposing Metaliteracy Model to Redefine Information Literacy. Communications in Information Literacy, 7(2), 84-91.

74.

Jullian, H. et al. 2018. Survey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Practices in U.S. Academic Librarie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9(2), 170-199.

75.

Julie M. Hurd 2000. The transformation of scientific communication: A model for 2020.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1(14), 1279-1283.

76.

Khiste1, G.P. et al. 2018. Big Data Output in J-gate during 2013 to 2017: A Bibliometrics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in Computer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3(1), 2456-3307.

77.

Kippers, W. B. et al. 2018. Data literacy: What do educators learn and struggle with during a data use intervention?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56(3), 21-31.

78.

Liao, H. et al. 2018. A Bibliometric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Medical Big Data Research.Sustainability, 10(166), 1-18.

79.

Mackey, T. P., and Jacobson, T. E. 2011. Reframing Information Literacy as a Metaliteracy.College& Research Libraries, 72(1), 62-78.

80.

Mackey, T. P. and Jacobson, T. E. 2014. Metaliteracy: Reinventing information literacy to empower learners.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81.

Park, M. K., and Kim, H. 2011.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2), 53-63.

82.

Park, M. K., and Lee J. 2011.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133-144.

83.

Podgornik, B. B. et al. 2016. Development, testing, and validation of an information literacy test (ILT) for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7(10), 2420-2436.

84.

Rosman, T. et al. 2016. Concep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influence learning of academic skills: epistemic beliefs and the efficacy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aylor & Francis, 43(1), 96-113.

85.

Rubab, S. 2018. Statistical Literacy and Data Literacy.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and Pedagogical Sciences, 12(1), 34-46.

86.

Saltz, J., Shamshurin, I., and Connors, C. 2017. Predicting Data Science Socio-technical Execution Challenges by Categorizing Data Science Project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8(12), 2720-2728.

87.

Saunders, L. 2018. Information Literacy in Practice: Content and Delivery of Library Instruction Tutorial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44(2), 269-278.

88.

Fullard, A. 2017. Using the ACRL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to foster teaching and learning partnerships. South African Journal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 82(2), 46-56.

89.

Shield, M. 2004. Information Literacy, Statistical Literacy and Data literacy. IASSIST Quarterly, Summmer/Fall: 6-11.

90.

Tewell, E. C. 2018. The Practice and Promise of Critical Information Literacy: Academic Librarians’ Involvement in Critical Library Instruction.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9(1),2-10.

91.

Wang, Q. 2018. A Bibliometric Model for Identifying Emerging Research Topic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9(2), 290-304.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