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S Students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2, pp.5-25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005
노영희 (건국대학교)
오의경 (상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인식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 연구이다. 전국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 수준, 필요성 인식 수준, 주제전문사서의 역량과 현재 학생들의 역량, 주제전문사서의 자격제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수준, 주제전문사서로 일하고자 하는 의사, 주제전문사서 역량을 구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의 역량은 학사제도와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구비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도 높았다.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화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고, 주제전문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주제전문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전문성 부분이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의 현재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유능한 주제전문사서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방안 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keywords
Subject Special Services, Subject Special Librarian, LIS Students, Librarian Competencies, Public Library, 주제전문서비스, 주제전문사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주제전문사서 역량, 공공도서관

Abstract

This study is a broad examination researchon LIS students’ perception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respondents, it examined the recognition level of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cognition level of necessity, competencies of subject special librarians and students and opinions on special status system of subject psecial librarians. Main factors shown in the results include the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students’ willingness to work as a subject special librarian, the willingness to put additional effort into equip themselves with competencies as subject special librarians. There were respondents who have equipped competencies as subject special librarians through courses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school curriculum but have not done anything further.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special status system of subject special librarian and that subject specialty is important in implementing subject special services but that there is a lack of subject special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put more emphasis on developing curriculum that can help overcoming difficulties faced by students majoring in Information Sciecne and help them become competent subject special librarians.

keywords
Subject Special Services, Subject Special Librarian, LIS Students, Librarian Competencies, Public Library, 주제전문서비스, 주제전문사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주제전문사서 역량, 공공도서관

참고문헌

1.

강미혜. 2002.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주제서지과목 과제 방안 연구: 법률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49-68.

2.

남영준, 허운순. 2005.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39-64.

3.

노영희. 2005.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59-80.

4.

박수희, 정동열. 2012. 대학도서관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311-339.

5.

심원식. 2009. 주제전담사서 양성을 위한 사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541-560.

6.

안인자 외. 2009.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333-361.

7.

오의경. 2016.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연구: ‘의학용어와 MeSH’, ‘보건의학정보원’ 수강생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437-456.

8.

윤영대. 2003.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131-146.

9.

정동열. 2002. 지식기반시대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 역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5-23.

10.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1.

홍명자. 2001. 법률전문사서의 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3), 249-274.

12.

홍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6개 지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3.

Michael Levine-Clark and Toni, M. C. 2014.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