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도서관 구축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Strategies toward the Future Libr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2, pp.73-102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073
한희정 (전북대학교)
박태연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서진원 (전북대학교)
양동민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이 인류 지식의 보고이자 중심축으로서 역할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고, 미래 지속가능한 발전을 해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및 추진사례, 국내외 도서관계 동향 및 정보서비스 사례 등을 토대로 PEST 분석을 시도하였다. PEST 분석을 토대로 도서관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현황과 변화추세를 파악하여 미래 도서관의 방향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새롭게 정립한 후 미래도서관 구축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 선도적 대응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keywor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EST, Future Library, 4차 산업혁명, 거시환경분석, 미래 도서관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to create the foundations that a library can maintain solid roles as repository of human knowledge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we performed PEST analysis about domestic and foreign trends & cases about policies, libraries, librarians, and information servic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PEST analysis, we considered the changing trends about th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library, and derived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directions of the future library. For the leading system of library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re-established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future library and proposed the establishment strategies toward the future library.

keywor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EST, Future Library, 4차 산업혁명, 거시환경분석, 미래 도서관

참고문헌

1.

4차산업혁명위원회. 2017.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 [online] [cited 2018. 3. 23.]<https://www.4th-ir.go.kr/>

2.

강주연 외.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1), 125-152.

3.

국립중앙도서관. 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도서관의 미래전략 및 서비스 모형 구축 연구』. 서울:국립중앙도서관.

4.

김보영, 곽승진. 2017.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 도입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3), 259-279.

5.

관계부처합동. 2016.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과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online] [cited 2018. 3. 30.]<http://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11211&artId=1364884>

6.

관계부처 합동. 2017a. 『새정부 경제정책방향』. 세종: 기획재정부. [online] [cited 2018. 3. 30.]<http://www.mos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8350bqwAD2ifEWedsFq +4i6c.node30?searchBbsId1=&searchNttId1=MOSF_000000000010028&menuNo=4010100>

7.

관계부처 합동. 2017b.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서울: 4차산업혁명위원회. [online] [cited 2018. 3. 30.] <https://www.4th-ir.go.kr/#this>

8.

권용수. 2017. [일본] ‘디지털 아카이브 재팬 추진위원회’ 설치. 저작권 동향, 21, 1-3.

9.

김민식, 손가녕.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 정보통신방송정책, 29(3),26-32.

10.

김시정, 손주연, 김주영. 2017. 『디지털 거버넌스 구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서울디지털재단. [online] [cited 2018. 3. 30.]<http://sdf.seoul.kr/data/reference_view.php?seq=13&rownum=6&pageNo=1&pagesize =10&searchType=&keywords>

11.

김진영. 2017. 디지털 변혁에 성공하려면? - “디지털 변혁 적응 조직”을 구축하라. 『Vertical Platform』[online] [cited 2018. 4. 9.] <http://verticalplatform.kr/archives/9081>

12.

김태영 외. 2017. 도서관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황분석 및 서비스 적용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4), 203-226.

13.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14.

미래창조과학부.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요약본)』. 과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online] [cited 2018. 3. 30.]<http://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40a&artId=1358568>

15.

박옥남.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 변화와 사서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285-311.

16.

박철홍, 최명호. 2017. 사이버 물리 시스템 활용 서비스 동향. 『디지에코, Issue&Trend』, [online][cited 2018. 4. 9.]<http://www.digieco.co.kr/KTFront/board/board_view.action?board_id=issue_trend&sort _order=&kind=&list_page=&list_gubun=&list_gubun2=&searchtext=&board_seq=11784&etc1=385&etc2=#>

17.

박태연 외.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사서 인식조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203-229.

18.

안형진. 2015. 비용절감을 위한 데이터 관리 전략 “정보 거버넌스.” 『IDG Summary』, [online][cited 2018. 4. 9.] <http://www.itworld.co.kr/techlibrary/96153>

19.

양영철.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행정환경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관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7년 6월 23일, 전주: 전북대학교: 2929-2951.

20.

유택열. 2016. 프로슈머가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Korea IT Times』, [online] [cited 2018. 4. 9.] <http://www.korea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8480>

21.

은용순 외. 2013. 사이버물리시스템 연구 동향. 정보과학회지, 31(12), 8-15.

22.

이동연. 2017. 서드라이프, 테크놀로지, 예술의 미래. 문화과학, 92, 148-173.

23.

이명호. 2017. 4차 산업혁명의 미래사회 시나리오. See Futures SUMMER, 15, 6-11.

24.

이원태. 2017.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규범 재정립. KISDI Premium Report, 10, 1-36.

25.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핵심 기술동향. KESSIA ISSUE REPORT, 3, 1-160.

26.

전자기록관리체계, 지능형으로의 진화 모색. 2017. 행정자치부보도자료, 5월 19일.

27.

정민경, 권선영. 2014. 도서관의 시맨틱 기반 사물인터넷(IoT)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235-260.

28.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 4차 산업혁명과 ICT 기술. 주간기술동향, 1801, 25-30.

29.

조길수. 2017. 4차 산업혁명 주도기술 기반 국내 스타트업의 현황 및 육성 방안. ISSUE WEEKLY, 4, 1-25.

30.

조완섭. 2017.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의 역할과 지원. 부동산 포커스, 107, 12-21.

31.

주한독일문화원. 2014. 『학문을 위한 서비스 2.0』. [online]. [cited 2018. 1. 23.] <https://www.goethe.de/ins/kr/ko/kul/mag/20440896.html>

32.

최계영.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제 작동 메커니즘. KISDI Premium Report, 11, 1-36.

3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a. 인간, 콘텐츠 그리고 4차 산업혁명: 변화와 대응. 코카포커스, 3, 1-26.

3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b. 콘텐츠 극화시대, 문화콘텐츠 창작과 향유. 코카포커스, 5, 1-16.

35.

British Library. 2017a. British Library Data Strategy 2017.

36.

British Library. 2017b. British Library to Investigate Possibility of a ‘Single Digital Presence’for UK Public Libraries. August 30. [online] [cited 2018. 1. 23.]<https://www.bl.uk/press-releases/2017/august/single-digital-presence-announcement>

37.

KCERN.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플랫폼 기능 활성화』. 서울: KCERN.

38.

KIET. 2016. 『미국의 시빅테크(Civic Tech) 동향과 과제』. [online] [cited 2018. 1. 23.]<http://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926194.do?categorys=4&subcate=65&cateCode=0&menuNo=200375>

39.

Kraft, A. et al. 2016. The RADAR Project—A Service for Research Data Archival and Publication. ISPRS Int. J. Geo-Inf, 5(3), 28-37.

40.

New Media Consortium. 2017. 『The NMC Horizon Report: 2017 도서관 에디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역),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