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Re-approach to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Application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1, pp.159-179
https://doi.org/10.4275/KSLIS.2019.53.1.159
이정미 (서울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에 대한 재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로 개념에 대한 정리와 함께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이유와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데이터 리터러시는 다른 리터러시 개념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래사회 인류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데이터기반 문제해결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정의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적용할 때 교육 서비스와 연구지원 서비스 측면 모두에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구체적 서비스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규정하고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가 왜 현대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인가를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제안으로 마무리했다.

keywords
데이터리터러시, 디지털리터러시, 도서관정보서비스, 정보활용교육, 정보이용교육, Data Literacy, Digital Literacy,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Use Education, Information Use Instur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pproach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to describe the differences with other literacies along with the redefined concept of data literacy. Also, it is tried to find out why and how to use data literac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Research has shown that data literacy plays a central role in interacting with other literacy concep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data-driven problem-solving ability that is essential for the future human society. Based on these concept definitions,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data literacy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 in terms of education service and research support service. In this study, data literac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utilize data needed by users in a data - based society, is to explain why data literacy is the ability to utilize data for users in modern society by distinguishing differences from other literacy. This concludes with a discussion and proposal on what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can be implemented.

keywords
데이터리터러시, 디지털리터러시, 도서관정보서비스, 정보활용교육, 정보이용교육, Data Literacy, Digital Literacy,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Use Education, Information Use Insturction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지식 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지수 개발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06-13.

2.

권성호, 김성미. 2011.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Jenkins의 ‘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교육』, 1(1): 65-82.

3.

김지현. 2018.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5(4):7-36.

4.

심원식. 2016. 미국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지원 서비스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4):311-332.

5.

이재윤. 2015. 데이터 사이언스와 데이터 리터러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15.

6.

이정미. 2013. 빅데이터의 이해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53-73.

7.

정영미. 2018.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359-380.

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역. 2017. 『NMC Horizon Report(한국어판): 2017 도서관 에디션』.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

한상우. 2017.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발표논집』, 45-71.

10.

한상우. 2018.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5(4): 223-236.

11.

Abbott, D. 2008. “DCC Briefing Papers: What is Digital Curation?" [online] [cited 2018. 11. 24.] <http://www.dcc.ac.uk/resources/briefing-papers/introduction-curation>

12.

ALA. 2013. Digital Literacy, Libraries, and Public Policy: Report of the Office for Information Technololgy Policy's Digital Literacy Task Force. [online] [cited 2018. 10. 29.]<https://districtdispatch.org/wp-content/uploads/2013/01/2012_OITP_digilitreport_1_22_13.pdf>

13.

Data-Pop Alliance. 2015. Beyond Data Literacy: Reinventing Community Engagement and Empowerment in the Age of Data. [online] [cited 2018. 11. 21.]<http://datapopalliance.org/wp-content/uploads/2015/11/Beyond-Data-Literacy-2015.pdf>

14.

Erwin Jr, R. W. 2015. “Data Literacy: Real-world Learning through Problem-solving with Data Sets.”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43(2): 18.

15.

Fontichiaro, K. and Oehrli, J. A. 2016. “Why Data Literacy Matters.” Knowledge Quest, 44(5): 21-27.

16.

Giaretta, D. and Rankin, S. 2004. “DCC Approach to Digital Curation” [online] [cited 2018. 11. 27.] <http://www.dcc.ac.uk/resources/publications/2004>

17.

Heidorn, B. 2011. “The Emerging Role of Libraries in Data Curation and e-scienc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1(7-8): 662-672.

18.

Koltay, T. 2015. “Data Literacy: in search of a Name and Identity.” Journal of Documentation, 71(2): 401-415.

19.

Mandinach, E. B. et al. 2015. “Ethical and appropriate data use requires data literacy.” Phi Delta Kappan, 96(5): 25-28.

20.

Martin, R., E. 2014. “What is Data Literacy?” Journal of eScience Librarianship, 3(1): e1069

21.

Maybee, C. and Zilinski, L. 2015. Data Informed Learning: A Next Phase Data Literacy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online] [cited 2018. 11. 24.]<https://onlinelibrary.wiley.com/doi/pdf/10.1002/pra2.2015.1450520100108>

22.

Prado, J. C. and Marzal, M. Á. 2013. “Incorporating Data Literacy into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Core Competencies and Contents.” Libri, 63(2): 123-134.

23.

Select Committee on Digital Skills of Authority of House of Lords. 2015. [online] [cited 2018. 11. 29.]<http://www.publications.parliament.uk/pa/ld201415/ldselect/lddigital/111/111.pdf>

24.

Tuladhar, A. 2014. Data Literacy Training: Climate Change and Budget Data of Nepal. [online][cited 2018. 11. 24.]<https://www.slideshare.net/anjesh/data-literacy-training-using-climate-change-and-bud get-data-of-nepal>

25.

Ventimiglia, P. and Pullman, G. 2016. From Written To Digital: The New Literacy. [online] [cited 2018. 11. 24.] <https://er.educause.edu/~/media/files/articles/2016/3/erm1623.pdf>

26.

Wolff, A., Gooch D. and Kortuem. G. 2016. Data Literacy to Support Human-centred Machine Learning. [online] [cited 2018. 11. 24.]<http://www.doc.gold.ac.uk/~mas02mg/HCML2016/HCML2016_paper_1.pdf>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