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기설계전공기반 도서관공간기획전공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Based on the Self-Designed Major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1, pp.5-31
https://doi.org/10.4275/KSLIS.2019.53.1.005
노영희 (건국대학교)
신영지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공간구성에 대한 기획, 디자인 및 건축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자기설계전공 기반의 도서관공간기획전공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육목표, 인재상, 전공역량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그리고 수요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공간기획전공에 요구되는 인재상은 공간기획인재, 디자인적사고인재, 창의적실무인재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재상별 전공역량은 도서관환경 분석 능력, 공간콘셉트도출 능력, 이용자 요구 분석능력, 이해관계 조정 능력, 공간구성능력, 공간디자인 이해 능력, 실무 적용 능력으로 총 7개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공간기획전공의 교육목표, 인재상, 인재상에 부합한 전공역량을 실현할 수 있는 교과목이 개발되어야 하며, 도서관공간기획전공이 자기설계기반의 전공으로 학생들이 실패하지 않고 적응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운영 방안이 설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Library Space Planning, Self-Designed Major, Student-Designed Major, Talent Model, Major Competences, 도서관공간기획전공, 자기설계전공, 학생설계전공, 인재상, 전공역량

Abstract

In this study, in order to foster human resources equipped with expertise in libraries and spatial organiz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ibraries,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elf-designed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was developed and the education goal, human resources award, and major capabilities were presented. To this end, the relevant literature analysis, expert opinion collection, and consumer survey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in-person awards required for library space planning were identified as space planning personnel, design thinking personnel, and creative working people. Second, the person-specific majors were derived with the ability to analyze the library environment, ability to express spatial concepts, ability to analyze user needs, ability to coordinate interests, ability to understand spatial design, ability to understand spatial design, and ability to apply practical applications. Based on the plan,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that can fulfill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future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human resources award, and human resources status, and operation plans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can adapt students without fail due to its own design-based major.

keywords
Library Space Planning, Self-Designed Major, Student-Designed Major, Talent Model, Major Competences, 도서관공간기획전공, 자기설계전공, 학생설계전공, 인재상, 전공역량

참고문헌

1.

고재민, 임호균. 2012.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경향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36: 43-56.

2.

고재민, 조현양, 고흥권. 2015. 도서관 소요공간에 따른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349-379.

3.

고흥권. 2013. 『公共圖書館 스페이스프로그램의 模型 提案 硏究: 2000년 이후 국내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4.

곽승진, 노영희, 신재민. 2017.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7-25.

5.

곽철완. 2005.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49-167.

6.

국토부, 내년 ‘도시재생 뉴딜' 100곳 내외 선정. 2018. 『뉴데일리』. 12월 18일. [online] [cited 2018. 12. 20.]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18/12/18/2018121800109.html>

7.

군산시, 도시재생사업 문화, 편의시설 확충. 2018. 『시사매거진』. 11월 27일. [online] [cited 2018. 12. 20.]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728#09ne>

8.

김우영. 2002. 『변화에 따른 사회정보시설의 공간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9.

김정희. 2007. 『사회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실내건축전공.

10.

김지현. 2009. 『학생설계전공의 교육목적과 운영방향: ‘전공설계’ 교과목개발 연구보고서』. 서울: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11.

김회정, 이정수. 2009. 디지털 자료 활용실 수용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25(8): 91-98.

12.

도서관공간기획사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8. 12. 20.]<https://librarydesign.re.kr/libraryspaceplanner/>

13.

“도시재생사업의 출발점은 지역공동체.” 2018. 『시사저널』. 11월 14일. [online] [cited 2018. 12. 20.]<http://www.sisajournal.com/journal/article/178617>

14.

문체부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8년도 시행계획’ 공공도서관 68개 신설․장서 798만권 확대. 2018. 『울산매일』. 2월 7일. [online] [cited 2018. 12. 20.]<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6411>

15.

박수정, 송명현, Chen-Peng. 2017. 대학의 ‘학생설계전공’으로서 교육컨설팅 전공 개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6): 57-83.

16.

신의항. 2009. 자유전공제도에 대한 미국 대학교육체제의 시사점: 국내외 현장학습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3(1): 61-87.

17.

신정철 외. 2011. 우리나라 대학 전공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징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1):69-91.

18.

안동현. 2015. 미국의 자기설계전공. 『한국문화융합학회 전국학술대회』, 121-128.

19.

안동현. 2016. 자기설계전공의 가능성. 『문화와융합』, 38(3): 275-300.

20.

이성호. 1984. 대학 전공교육의 전문화와 교육과정 편성. 『교육과정연구』, 4: 107-149.

21.

이지헌 외. 2006. 『대학의 최신교수학습방법』. 서울: 학지사.

22.

장우석, 손광호. 2011. 복합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경향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 199-207.

23.

조우리. 2017. 『도서관 기능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24.

체육센터·도서관 등 생활 SOC에 8조7000억 투입한다. 2018. 『한국일보』. 8월 27일. [online][cited 2018. 12. 20.]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8271590049875>

25.

흥해읍 특별재생사업 통해 행복도시로 거듭 난다. 2018. 『대경일보』. 11월 14일. [online] [cited 2018. 12. 20.] <http://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2755>

26.

2018년도 문화체육광광부 업무계획. 2018. 『정책브리핑』. 1월 31일. [online] [cited 2018. 12. 20.]<http://www.korea.kr/policyplus/cardnewsView.do?newsId=148847590&call_from=naver _news>

27.

3D프린팅 하러 나는 도서관에 간다. 2018. 『헤럴드경제』. 10월 29일. [online] [cited 2018. 12. 20.]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029000086>

28.

Ahn, In-Ja. 2012. “The Specification of Science Education Programs in the Local Public Library.”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2(1):17-35.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