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가 수준의 도서관 계획을 기반한 학교도서관의 교육공동체 협력 방안

A Plan to Cooperate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School Library Based on the National Level Library Pla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2, pp.139-157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139
이승길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과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주요 연계점으로 학교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기본계획과 종합계획 사이에서 18개의 연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계점에서는 관종별 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해야 하며, 학교도서관이 통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의 교육공동체 협력 방안으로 관종별 도서관 전문성 강화, 학교도서관 교육과정 설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학교도서관, 교육공동체, 도서관 협력,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 도서관발전종합계획, School Library, Education Community, Library Cooperation,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Library Advancement Pl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nk betwee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the Library Advancement Plan. And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ommunity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found 18 connections betwee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the Library Advancement Plan. In particular, all types of libraries should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Cooperation. And emphasized that the school library should act as a gatewa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of education community, the library specialization of each kind of library and the establishment of curriculum of school library were suggested.

keywords
학교도서관, 교육공동체, 도서관 협력,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 도서관발전종합계획, School Library, Education Community, Library Cooperation,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Library Advancement Plan

참고문헌

1.

교육부. 2015. 『창의적체험활동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교육부.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해설』. 세종: 교육부.

3.

교육부. 2019.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2019-2023)』. 세종: 교육부.

4.

김동석, 노영희. 2018.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동향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2): 85-108.

5.

김성준, 서진원. 2009.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163-192.

6.

남영준, 정경애. 2010.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99-131.

7.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9.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 (발간등록번호 12-1371748-000011-01).

8.

박주현, 이명규. 2014.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299-328.

9.

변우열, 송기호. 2015.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에 대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인식에 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275-290.

10.

송기호 외. 2011.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1.

원덕재. 2015. 학습자 중심의 기초자치단체 교육협력 지원 비교분석 및 교육효과 증대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491-520.

12.

이병기 외. 2019. 『학교도서관 진흥 및 초․중등 독서․인문교육 내실화에 관한 연구』. 세종: 교육부.

13.

이승길. 2006.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대상 정보활용교육 실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63-83.

14.

이용남. 2007.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협력 체제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53-372.

15.

이재경. 2017. 『학교도서관정책 연구 동향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16.

이제환. 2016. 한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21-46.

17.

정동열, 김성진. 2002.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5-28.

18.

정영수. 2004. 미래지향적 교육공동체 형성의 방향과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2(1): 111-134.

19.

차성종.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에 대한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303-331.

20.

차성종. 2014. 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정책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41-266.

21.

Agosto, D. E. 2016. 도서관은 아주 멋진 곳이야 미국 공공도서관 청소년 서비스 동향. 『제10회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2.

IASL. 1993. “IASL Policy Statement of School Libraries.” [online] [cited 2019. 5. 27.]<http://www.iasl-online.org/about/organization/sl_policy.html>

23.

IFLA.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revised edition: 재인용: 월드라이브러리, 『IFLA 학교도서관 지침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4.

IFLA. 2010. IFLA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 Berlin/Munich: De Gruyter Saur.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