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DCAT을 활용한 디지털도서관 데이터셋 관리와 서비스 설계

Designing Dataset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for Digital Libraries Using DCAT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2, pp.247-266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247
박진호 ((주) 리스트)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정보자원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데이터셋을 관리․서비스하기 위해 W3C 표준인 DCAT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DCAT을 구성하는 8개의 클래스 중 핵심 클래스 4가지를 중심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도서관에서 DCAT을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셋을 관리․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원천데이터, 데이터셋 관리, 링크드 데이터 연결, 이용자 서비스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특히 데이터셋관리에서는 DCAT 매핑 기능을 제시하여 다양한 데이터셋 서비스와 상호운용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keywords
DCAT, 데이터셋 검색, 데이터셋 관리, 데이터셋 목록, DCAT, Dataset Retrieval, Dataset Management, Dataset Catalo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W3C standard, DCAT, to manage and service dataset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new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To do this, we first analyzed the class and properties of the four core classes of DCAT. In addition, I modeled and presented a system that can manage and service various data sets based on DCAT in digital library. The system is divided into source data, data set management, linked data connection, and user service. Especially, the DCAT mapping function is suggested in dataset management. This feature can ensure interoperability of various datasets.

keywords
DCAT, 데이터셋 검색, 데이터셋 관리, 데이터셋 목록, DCAT, Dataset Retrieval, Dataset Management, Dataset Catalog

참고문헌

1.

고영만, 배경재. 2011. 상이한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베이스간 통합 운영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69-85.

2.

김지현. 2012. 대학 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433-455.

3.

김지현. 2015.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대한 대학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413-436.

4.

노영희. 2012. dCollection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247-271.

5.

박옥남. 2012. PREMIS 기반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83-113.

6.

심원식, 안혜연, 변제연. 2015.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의 수집 및 활용성 증진을 위한 전략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155-183.

7.

유사라. 2010. 메타데이터 주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405-426.

8.

이명희. 2019.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정보 자료원의 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1): 33-55.

9.

이병기. 2004. 학습객체 개념을 이용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DLS)의 메타데이터 요소 확장에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85-104.

10.

이성숙, 송인석. 2005. NewsML을 고려한 기술동향정보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183-205.

11.

이승민. 2015.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패키지 구축. 『정보관리학회지』, 32(3):21-47

12.

한국데이터진흥원. 2017. 『CKAN을 활용한 민간데이터 연계 활성화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데이터진흥원, Kdata 17-002.

13.

Alexander, K., Cyganiak, R., Hausenblas, M. and Zhao, J. 2011. Describing linked datasets with the void vocabulary. [online] [cited 2019. 5. 10.]<http://eprints.lancs.ac.uk/id/eprint/70518>

14.

DCAT Application Profile Working Group. 2013. DCAT application profile for data portals in Europe. [online] [cited 2019. 4. 1.]<https://joinup.ec.europa.eu/asset/dcatapplicationprofile/assetrelease/dcat-application-profil e-data-portals-europe-final>

15.

Ding, L., Peristeras, V. and Hausenblas, M. 2012. “Linked open government data [Guest editors' introduction].” IEEE Intelligent systems, 27(3): 11-15.

16.

Guptill, S. C. 1999. “Metadata and data catalogue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2:677-692.

17.

Hallo, M., Luján-Mora, S. and Trujillo Mondéjar, J. C. 2014. “Transforming library catalogs into linked data.” In Proceedings of ICERI 2014 Conference, 17-19 November 2014, Seville, Spain.

18.

Maali, F., Erickson, J. and Archer, P. 2014. Data catalog vocabulary (DCAT). W3c recommendation, 16. [online] [cited 2019. 4. 1.] <https://www.w3.org/TR/vocab-dcat/>

19.

Noy, N. 2018. Making it easier to discover datasets. Google blog, [online] [cited 2019. 4. 1.] <https://www.blog.google/products/search/making-it-easier-discoverdatasets/>

20.

ZHANG, Y., JIANG, D. and LIU, Q. 2009. “Metadata-based integration scheme for heterogeneous datasets.” Journal of Tsinghua University (Science and Technology), 7.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