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차세대 학술연구 데이터 공유 활성화를 위한 연구기록의 구조적 요건에 대한 연구

Reconsideration of Research Framework for RRM in the Perspective of Linked Open Dat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3, pp.101-120
https://doi.org/10.4275/KSLIS.2019.53.3.101
유사라 (서울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클라우드 형태의 학술연구데이터 인프라에서는 데이터 분석과 융합의 작업환경에 연구자가 직접 개입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연구기록 등의 학술연구데이터에 대한 명확한 연구자 인식은 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 분야 연구자들의 인식에 초점을 두고 학술연구데이터의 하나인 연구기록이 갖는 구조적 논리성을 차세대 연구정보 인프라 요건으로 강조한다. 최근 발행된 논문들의 연구프레임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구조적 요건에 대한 저자들의 인식을 진단하고 인식교정이 필요한 취약 부분들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keywords
Open Research Data, Research Record, Research record management (RRM), LO(R)D, Research Data Utility, Research framework, Structural metadata, 연구데이터, 연구기록, 연구기록 관리, 기록정보 활용, 연구프레임, 구조 메타데이터

Abstract

The cognition of Research Record Management (RRM) scholars about research framework is important as a pre-condition for future Linked Open Data (LOD). Researchers will be directly engaged to the research data-process with Cloud Computing Data-Infra, which is considered as a Nation-wide R&D Data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researcher’s cognition of research framework and to provide some guidance of finding a new meaning of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resarch record.

keywords
Open Research Data, Research Record, Research record management (RRM), LO(R)D, Research Data Utility, Research framework, Structural metadata, 연구데이터, 연구기록, 연구기록 관리, 기록정보 활용, 연구프레임, 구조 메타데이터

참고문헌

1.

구찬미, 김순희. 2017. 기록관리 관점에서 본 연구기록물의 가치와 특성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49-70.

2.

구찬미, 김순희. 2019.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DMP를 적용한 연구기록물 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1): 1-21.

3.

경태원, 김경훈. 2015. R&D 프로젝트 품질 관리를 위한 전자연구노트 모델 개발. 『디지털융복합연구』, 13(1): 289-295.

4.

김로사, 장우권. 2016. 연구관리기록물 관리 매뉴얼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79-207.

5.

김상준. 2008. 연구기록물 중 연구노트의 중요성과 관리 제도화. 『정보관리연구』, 39(2): 45-74.

6.

김선태, 한선화, 이태영, 김용. 2010. 과학데이터 보존 및 활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81-93.

7.

김지현. 2012. 대학 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433-455.

8.

김지현. 2015.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대한 대학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413-436.

9.

김희섭, 강보라. 201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논문의 연구 주제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4):183-204.

10.

박옥남. 2018.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1):101-127.

11.

손혜인, 남영준. 2016. 기록관리학 분야 국내 학술지의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1): 85-110.

12.

송인석. 2008. 연구⋅학술정보 효율적 검색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주제 색인어 구조화 방안연구. 『정보관리연구』, 39(4): 121-154.

13.

심원식. 2015. 국가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 제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355-378.

14.

유사라, 이혜원, 송인석. 2009. 연구자 중심 연구성과를 의미검색을 위한 인문사회 학술용어 온톨로지 적용 및 유지관리 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277-298.

15.

이소연. 2017. 국내 기록학 연구방법 동향분석 (1). 『기록학연구』, 51: 308-336.

16.

이혁성, 원유형, 이광렬. 2017. KIST의 데이터 기반 R&D 환경 구축 사업. 『한국기술혁신학회추계학술대회』, 893-906.

17.

정연경. 2011.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인용행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367-391.

18.

최명석, 이승복, 이상환. 2017.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과학데이터 관리 현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117-126.

19.

최이랑. 2015.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3: 147-177

20.

하승록, 안대진, 임진희. 2017. 기록정보 LOD 구축을 위한 의미 상호연결 자동화 실험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4): 177-200.

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2. 『국가 과학데이터 공유·활용체제 구축』.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2.

Babbie, Earl. 1989.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5th ed.). CA: WardsWorth Publishing Company.

23.

Carmines, Edward G. and Richard A. Zeller. 1979.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A Sage University Paper 28, CA: SAGE Publications.

24.

Kelly, D. and Cassidy R. S. 2013. “A Systematic Review of Interactive Information Retrieval Evaluation 1967-2006." Journal of Association for the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4(4): 745-770.

25.

Liu, X. and Jian Q. 2014. “An Interactive Metadata Model for SDR Representation of Scholarity Output.” Journal of Association for the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5): 964-983.

26.

Mann, Thomas. 1993. Library Research Models: A Guide to Classification, Cataloging, and Compute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

Williams, Frederick. 1979. Reasoning with Statistics (2nd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