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연구

A Study of Public Library Makerspace Operation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3, pp.161-183
https://doi.org/10.4275/KSLIS.2019.53.3.161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김세훈 (숙명여자대학교)
전경선 (숙명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의 효과성, 한계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와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해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 및 필요성, 프로그램 종류, 서비스 정책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현재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 중인 공공도서관 및 유사기관의 사서 및 직원,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사서, 직원, 이용자 모두 메이커스페이스의 필요성 및 효과성에 대해서는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수용인원 확대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담당자들과의 심층인터뷰 조사 결과 메이커스페이스의 당위성 확립과 공감대 형성, 지속가능한 재정지원, 메이커스페이스의 단계별 운영 가이드라인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keywords
Public Libraries, Makerspaces, Makerspace Operations, Surveys, Interviews,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설문조사, 인터뷰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strategies, impact, and limitations of public library makerspaces through active case studies. By examining related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analyzes principles, objectives, programs, services, and strategies of public library makerspaces. Survey results from library staff and makerspace program participants show that both groups perceived the value and the effects of makerspaces positively; however, they suggested the need for greater program variety and accessibility. Additionally, this study evaluates makerspace program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akerspace staff. Interview results raise diverse issues, including the need to further explore the justifications for and values of public library makerspaces, stable funding strategies, and phase-by-phase operating guidelines.

keywords
Public Libraries, Makerspaces, Makerspace Operations, Surveys, Interviews,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설문조사, 인터뷰

참고문헌

1.

강봉숙, 정영미. 2018.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3): 171-192.

2.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53-76.

3.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공공도서관 무한창조공간 프로그램과 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한 평가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71-111.

4.

문화체육관광부. 2017.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운영 현황 및 인식 조사서. [online][cited 2018. 3. 10.]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3171389/>

5.

안인자, 노영희. 2017.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과 운영 현황조사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415-436.

6.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개념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143-171.

7.

장윤금. 2017.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89-306.

8.

장윤금. 2018.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으로서의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425-446.

9.

Britton, Lauren. 2012. “A Fabulous Laboratory: The Makerspace at Fayetteville Free Library.”Public Library, 51(4): 30-33.

10.

Burke, J. J. 2014. Makerspaces: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11.

Burke, John. 2018. Makerspaces: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2nd ed. NY: Rowman & Littlefield.

12.

Children's Museum of Pittsburgh and the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2016. MAKING + LEARNING in Museums and Libraries. Pittsburgh, PA: Children's Museum.

13.

Fourie, I. and Meyer, A. 2015. “What to Make of Makerspaces: Tools and DIY Only or Is There an Interconnected Information Resources Space?” Library Hi Tech, 33(4): 519-525.

14.

Kelly, A. 2013. "Why do we need one those?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in creating and promoting makerspaces." [online] [cited 2019. 3. 19.]<https://alialibtech2013.files.wordpress.com/2013/05/kelly-final.pdf>

15.

Moorefield-Lang, H. M. 2015. “When makerspaces go mobile: Case studies of transportable maker locations.” Library Hi Tech, 33(4): 462-471.

16.

Robertson, D. A. 2005. Cultural Programming for Libraries: Linking Libraries, Communities, and Cultur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7.

Willingham, T. 2018. Library Makerspaces: The Complete Guide. NY: Rowman & Littlefield.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