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보불평등 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Poor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3, pp.63-82
https://doi.org/10.4275/KSLIS.2019.53.3.063
노영희 (건국대학교)
장로사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중핵기관으로서 최근 도서관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수행된 정보불평등 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방안 및 미래연구를 제안함으로써 정보불평등 계층 대상의 국내 도서관서비스를 강화하고, 해당 연구를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①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 지원 및 사업 확대, ② 학계 차원에서의 다양한 접근 및 연구환경 조성, ③ 도서관계 차원에서의 정보불평등 계층별 서비스의 강화 및 전문사서 배치, ④ 사서의 대학원 진학 및 연구 장려를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인, 다문화, 노인, 아동, 청소년, 농어촌, 저소득층, 난민(북한이탈주민) 정보불평등 계층별로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한 미래연구들을 제안하였다.

keywords
정보불평등, 지식정보 취약계층, 도서관서비스, 연구동향, Information Inequality, Information Poor, Library Service, Research Trends

Abstract

Libraries are recently emerging as the core institutions designed to resolve the information equality that is forecasted to further deepen with the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era.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trends of studies on the library services offered to people suffering information inequality in Korea, and proposed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 and future studies so as to strengthen the domestic library services targeting the people suffering information equality and to promote the research. As a result, proposed as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research were ① Policy support and project expansion at the national level, ② Various approaches and research environment creation at the academic level, ③ Strengthening of services for the various levels of people suffering information inequality and deployment of professional librarians at the level of libraries, and ④ Encouraging librarians to enroll with graduate schools and to conduct research. Further, proposed were the future studies that can be approached according to the various levels of people suffering information inequality, such as disabled people,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elderly people, children, youth,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s, low-income people, and refugees(North Korea defectors).

keywords
정보불평등, 지식정보 취약계층, 도서관서비스, 연구동향, Information Inequality, Information Poor, Library Service, Research Trends

참고문헌

1.

김소희, 서혜란. 2017. 학교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363-392.

2.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05.

3.

노상헌.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산업관계연구』, 27(2): 33-55.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9-2013』.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4-2018』. 세종: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9. 『2019-2023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7.

박미향. 2017. 통일 한국을 대비한 남북한 도서관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4(1):317-340.

8.

송승섭. 2018. 정보기술 교류를 통한 남북한 전자도서관의 협력 가능성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9(3): 131-160.

9.

안인자, 노영희, 장로사. 2018a. 정보불평등 대상별 도서관서비스 정책과 서비스 현황 진단.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3): 271-295.

10.

안인자, 노영희, 장로사. 2018b. 저소득계층의 정보불평등 해소를 위한 도서관서비스 관련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4): 113-137.

11.

이용재, 김경덕. 2014.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동향: 2004~2013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5-50.

12.

이지연, 김준섭. 2016. 국내 정보이용자연구 동향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3): 201-223.

13.

이지연 외. 2016. 국내 HCI 분야 문헌정보학 연구의 역할 분석과 방향성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33(2): 177-200.

14.

이혜영, 박현영. 2016.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연구동향. 『정보관리학회지』, 33(3): 219-238.

15.

이혜영. 2017. 국내에서의 공공도서관 연구동향: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27-43.

16.

한상완 외. 199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도서관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0(1): 89-12.

17.

Hanchinal, V. B. and Hanchinal, V. V. 2018. “Information Literacy in Indian Schools: Trends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8(4): 7-18.

18.

McGowan, S., Martinez. H. and Marcilla. M. 2018. “AnyAbility: Creating a Library Service Model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Reference Services Review, 46(3): 350-363.

19.

Racelis, A. 2018. “Library Services for the Poor: Theoretical Framework for Library Social Responsibility.” Pedagogical Research, 3(2): 1-9.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