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User Recognition of Library Complex Culture Space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4, pp.23-50
https://doi.org/10.4275/KSLIS.2019.53.4.023
노영희 (건국대학교)
김윤정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도서관들은 도서관의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도 지역주민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할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의 조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공이 역할확대방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함으로써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인식도, 복합문화공간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간 선호도에서 정보공간, 교육공간, 휴게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커뮤니티공간과 체험공간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복합문화공간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전시프로그램, 공연프로그램을 선호하지만 체험프로그램과 커뮤니티프로그램은 선호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정보․교육의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시 및 공연공간을 마련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은 정보․교육의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와 힐링, 체험, 소통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임을 홍보하고 이용자의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Public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Program, User Perception,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프로그램, 이용자 인식

Abstract

Libraries have recently sought to diversify their roles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local residents, while faithfully playing the library’s original roles. The crea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provision of services based on it are one of the ways to expand its role. In this study, a surveyed and analyzed the awarenes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of the library and the preference and awareness of the program operated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users of the library currently operating the complex cultural space.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information space, education space, and rest space in space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community space and experience space showed low preference. Second, they prefer educational programs, exhibition programs, and performance programs that utilize complex cultural spaces, but experience programs and community programs have low pre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gram by providing exhibitions and performance spaces while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spaces to users. The librarian should also promote the fact that library can be only the space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but also the space where culture, healing,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take place. In addition, libraries should strive to improve user awareness of library space.

keywords
Public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Program, User Perception,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프로그램, 이용자 인식

참고문헌

1.

강철희, 최범찬, 김연림. 2014. 창작지원공간으로서의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7-172.

2.

고영혁. 2017. 『전통지구와 혁신지구 상생․발전을 위한 복합문화공간 조성 및 운영 방안 연구』. 나주: 나주시.

3.

곽수정. 2007. 『유휴(遊休)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컨텐츠디자인 전공.

4.

곽승진, 노영희, 신재민. 2017.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7-25.

5.

김민수. 2006. 『여가생활 증대에 따른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6.

김보람, 오은진, 윤은경. 2015. 고령자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5-60.

7.

김석태, 송승언. 2011. 공공도서관의 복합화에 따른 공간의 구조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6): 311-320.

8.

김아영. 2013. 『슬로비즘의 체험을 도입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9.

김영석. 2014. 복합용도건축물 내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395-414.

10.

김윤정, 노영희. 2019. 특화주제와 도서관 공간구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0(2): 5-31.

11.

남덕우. 2003. 『문화적 맥락을 수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 전공.

12.

노영희. 2017. 도서관의 문화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3): 177-205.

13.

노영희, 노지윤. 2019. 폐교 시설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한 폐교 발생 지역 주민의 인식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2): 91-116.

14.

노영희, 신영지, 곽우정. 2019. 도서관 특화에 대한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비교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0(1): 77-99.

15.

류태현, 고재민, 임채진. 2013.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9(11): 141-149.

16.

문유석. 2013.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기관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17.

문화체육관광부. 2017. 『살아있는 도서관, 변화를 꾀하다. 전국 도서관 통계조사: 통계로 보는도서관, 이슈페이퍼 2호』.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18.

민형철. 2007. 『사회적 공헌으로서 기업의 복합문화공간 개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문화콘텐츠전공.

19.

민형철. 2011. 『문화소비공간 유형에 따른 소비자 체험, 장소애착 및 사회적 연결감에 대한 차이와구조적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20.

박상현, 김시화, 황상윤. 2014. 『커뮤니티 공간 안내서』. 서울: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제2013-01-015호.

21.

손광호, 장우석. 2011. 복합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경향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 199-207.

22.

심재춘, 윤대한. 2005. 사례를 통해본 복합문화시설의 프로그램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25(1): 11-14.

23.

안지민. 2018.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미술․디자인 특화도서관 계획에 관한 연구: 마포평생학습관을 활용한 미술․디자인 특화도서관 계획』.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실내건축학과.

24.

유태현. 2015. 『公共圖書館 복합화 計劃에 관한 제안 硏究: 2000년 이후 국내 공공도서관을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25.

이보라. 2012. 『뮤지엄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전시디자인전공.

26.

이상복 외. 2009. 공공도서관의 인포메이션커먼스(Information Commons) 적용기본구상.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91-108.

27.

이승우. 2003. 『都市餘暇空間으로서 大型商業施設의 役割과 利用特性 硏究』.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28.

이재민, 권기창. 2018.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1(11): 1333-1341.

29.

이지혜. 2007. 『하이브리드 개념을 적용한 도심지역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설계계획: 강남역에위치한 상업시설 리노베이션』.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30.

정용현, 윤은경. 2016. 관계마케팅을 적용한 복합문화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3-208.

31.

정재영. 2012.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333-352.

32.

정지영, 박영기. 1994. 복합문화공간의 디자인 및 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계획계』, 14(2): 209-417.

33.

조용석. 1995. 『로비공간 계획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설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계획 전공.

34.

조윤정. 2015.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구성 및 공공공간 프로그램 연구: 공연장 중심 아트센터형복합문화공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35.

조태권. 2015. 『창조적 문화융성을 위한 한국형 복합문화공간 설립 방안 연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36.

최문정, 서은경. 2016. 서울소재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인식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3): 77-101.

37.

최영실.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복합 기능을 구현한 라키비움의 공간 기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2(2): 53-80.

38.

충남도서관, ‘메이커 스페이스’로 변신. 2019. 『충청헤럴드』. 8월 14일. [online] [cited 2019. 11. 8.] <http://www.ccherald.kr/news/articleView.html?idxno=12398>

39.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9. 『지방문화시설 실태조사 및 균등비치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40.

황중호 외. 2013. 『오정도서관 및 복합문화시설 건립 타당성 조사·기본계획수립 용역』. 경기:부천시.

41.

Ahn, In-Ja and Noh, Younghee. 2018. “A Study and Survey of the Perception towards Makerspaces of the Public Library.”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8(2): 5-22.

42.

Noh, Younghee, Ahn, In-Ja and Park, Miyoung. 2011. “A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1(2): 29-42.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