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Role Recogni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4, pp.5-22
https://doi.org/10.4275/KSLIS.2019.53.4.005
송기호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역할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K 대학교 중등교원연수원 사서 교사 1급 자격연수에 참여한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기대 역할과 실행 역할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서 교사는 교수자로서 정보활용교육을 지도하고, 교수 파트너로서 도서관 활용수업과 협동수업을 운영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은 독서교육과 도서관이용교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그 원인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두는 전문 인력의 역할 모호성과 같은 제도적 한계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동료 교사의 사서 교사에 대한 인식과 파트너십 부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사서 교사의 변인 중에서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 교사가 본인을 교수 파트너로 여긴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 교사의 교수자, 교수 파트너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정보활용교육의 범교과 학습주제 포함, 직무 분석 실시, 장학 체계 확립, 동료장학 활성화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keywords
사서 교사, 역할 인식,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도서관활용수업, 협동수업, Teacher Librarians, Role Recognition, School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Collaborative Instru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inder the role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teacher librarians and suggest some improve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41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level qualification training for teachers librarians at K University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2019.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role and the execution role of the teacher librarians. In other words, teacher librarians recognize that they should teach information literacy as instructors and operate library-based instruction and cooperative classes as teaching partners. However, the most frequently played roles are reading education and library use education. They recognizes the cause as institutional limitations, such as the absence of a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the ambiguity of the role of specialists in school libraries. And it is perceived as a real problem such as the lack of partnership and recognition of their peers. Among the variables of teacher librarians,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level, the more they perceived their peers as teachers. Based on this, some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teacher librarians’ instructor and teaching partner were proposed in terms of including cross-curricular subjec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alyzing jobs and establishing scholarship system for school libraries.

keywords
사서 교사, 역할 인식,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도서관활용수업, 협동수업, Teacher Librarians, Role Recognition, School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Collaborative Instruction

참고문헌

1.

강봉숙, 송기호. 2019. 사서 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0(2): 149-168.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교원능력개발평가 표준 매뉴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4.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9. 8. 26.] <http://www.law.go.kr>

5.

권은경. 2007. 사서 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경상북도 학교도서관의운영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8(3): 247-276.

6.

김성준. 2009. 사서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49-270.

7.

김정소. 1993. 『학교도서관 매체센터론』.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8.

소병문, 송기호. 2018. 중등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경험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3): 55-75.

9.

송기호. 2006. 『학교도서관 교육의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0.

송기호. 2007.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써 통합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87-116.

11.

송기호. 2010. 사서 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317-337.

12.

송기호. 2011. 사서 교사의 맞춤형 심화 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163-184.

13.

송기호. 2017.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개정 5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4.

신승주. 2007. 『사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안인자 외. 2002. 『학교도서관 사서 교사(사서)직무 분석』. 군포: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16.

이용남. 2007.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협력 체제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53-372.

17.

정진수. 2008. 초등학교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281-306.

18.

佐藤學. 2011. 『教育の方法』. 박찬영 옮김. 서울: 살림터.

19.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AASL). 2010. SAMPLE JOB DESCRIPTION Title: SCHOOL LIBRARIAN. [online] [cited. 2019. 9. 2.]<http://www.ala.org/aasl/sites/ala.org.aasl/files/content/guidelinesandstandards/learning4l ife/resources/sample_job_description_L4L.pdf>

20.

Ash-Argyle, Ruth and Shoham, Snunith. 2014. “Professional self-efficacy and role percep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thei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an evidence-based study.” Journal of Information Literacy, 8(2): 118-140.

21.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ALIA) and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2009. Statement on Teacher Librarian Qualifications. [online] [cited 2019. 6. 16.]<http://www.asla.org.au/policy/teacher-librarians-australia.aspx>

22.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CILIP). 2011. School Library:A Right. [online] [cited 2015. 10. 16.] <http://www.cilip.org.uk>

23.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 [online] [cited 2019. 6. 4.]<http://www.ifla.org/files/assets/school-libraries-resource-centers/publications/ifla-schoollibrary-guidelines.pdf>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