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한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수록 매체 분석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Eco-friendly Green IT-based Librar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0, v.54 no.2, pp.5-27
https://doi.org/10.4275/KSLIS.2020.54.2.005
노영희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도서관에 디지털 자원 및 IT자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활용함으로써 지구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의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및 친환경활동 실천정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도서관 그린 IT에 대한 인식이나 친환경관련 용어에 대한 친숙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에 그린 IT를 적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높은 동의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친환경성 및 도서관의 녹색화에 가장 높은 기여도가 있다고 평가된 영역은 장비 및 제품 운영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서비스 영역, 네트워크 및 시스템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 그린 IT화가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지에 대해 사회적 기반시설로서 도서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증진할 수 있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서관의 그린 IT화는 도서관이 사회적 기반시설로서 사회적 책임을 지고 있는 기관으로 국민들이 인식되게 함으로써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그린 IT, 도서관의 친환경성, 녹색도서관, 지속가능성, 도서관의 사회적책임, Green IT, Library’s Eco-friendliness, Green Library, Sustainability, Library’s Social Responsibility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concrete way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planet by actively applying and using digital and IT resources in librar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ibrarians’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degree of eco-friendly activities were very high, but their awareness of library green IT and familiarity with eco-related terms were very low. Nevertheless, there was a high degree of agreement on the importance of applying green IT to libraries. Second, the areas evaluated as having the highest contribution to eco-friendliness and greening of the library were found in the equipment and product operation area, followed by the service area and the network and system area . Third, how do you think library green IT will have a social impact? The highest opinion was given that it could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library’s social responsibility as a social infrastructure.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library’s green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library perception by making the public perceived as an institution that has a social responsibility as a social infrastructure.

keywords
그린 IT, 도서관의 친환경성, 녹색도서관, 지속가능성, 도서관의 사회적책임, Green IT, Library’s Eco-friendliness, Green Library, Sustainability, Library’s Social Responsibil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