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A Study on Exploring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1, v.55 no.1, pp.135-159
https://doi.org/10.4275/KSLIS.2021.55.1.135
박주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RanasingheW.M.TharangaDilruk (University of Kelaniya, Sri Lanka)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keywords
Digital Reading Assessment, Library Servi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Librarians, 디지털 독서 평가, 도서관 서비스, 정보 리터러시, 정보활용역량교육, 사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eded to improve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for students and citizens through changes in the concept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nd its Assessment Framework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ning of PISA Reading Literacy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Second, concept and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the whole process of reading. Third, the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a number of factors similar to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model like Big6 Skills, bu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Fourth, the digital reading is reflected in the Assessment Framework. The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standards and methods required for librarians to develop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models and assessment frameworks to improve citizens’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to them.

keywords
Digital Reading Assessment, Library Servi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Librarians, 디지털 독서 평가, 도서관 서비스, 정보 리터러시, 정보활용역량교육, 사서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