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트위터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한 코로나19 기간 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 고찰

Exploring Opinions on University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Twitter Opinion Mining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1, v.55 no.4, pp.5-22
https://doi.org/10.4275/KSLIS.2021.55.4.005
김동훈 (성균관대학교)
강정 (성균관대학교)
주영준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학의 부분 또는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에 대해 소셜 미디어플랫폼 중 하나인 트위터에서 이를 어떻게 생각하고 논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트위터에서 비대면 수업 관련트윗을 수집한 후 감성분석 및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여론보다 부정적인 여론이 많았지만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부정적인 여론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월별 감성점수분포를 통해 학기 중이 방학기간보다 감성점수 분포의 폭이 넓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학기 중일 때가 방학 때보다 비대면 수업에 대해 더 다양한 감정과 의견을 교환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긍정트윗과 부정트윗을 구분하여 시계열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트윗에서는 수업환경 및 장비,긍정적인 감정 표현, 강의시청장소, 언어수업, 시험 및 과제와 같은 다섯 가지 주요한 주제가 나타났으며, 부정트윗에서는 시간(수업시간,쉬는시간), 시험 및 과제, 부정적인 감정 표현, 수업환경 및 장비와 같은 네 가지 주요한 주제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주제별 대표 키워드들의 비율을 통해 시간에 따른 주제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에 대한 여론의 트렌드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기존 비대면 수업 관련 연구들과는 달리 소셜 미디어 중 하나인 트위터를 활용하여 국내 대학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파악하고자하였으며, 감성분석과 시계열 주제 분석을 활용하여 비대면 수업에 대한 긍부정 여론을 나누어 식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트렌드의 변화를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함의를 지닌다. 또한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구성 및 개선방안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비대면 수업을 설계하는 대학 및 교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지닌다.

keywords
대학 비대면 수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오피니언 마이닝, 감성분석, 시계열 주제 분석,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 University online class, COVID-19, Opinion mining, Sentiment analysis, Time series topic analysis, Dynamic topicmodeling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people perceive the transition from offline to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achieve the goal, we collected tweets related to online classes on Twitter and performed sentimentand time series topic analysis. We hav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rough the sentiment analysis, we found that therewere more negative than positive opinions overall, but negative opinions had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Through exploringthe monthly distribution of sentiment scores of tweets, we found that sentiment scores during the semesters were morewidespread than the ones during the vacations. Therefore, more diverse emotions and opinions were showed during the semesters. Second, through time series topic analysis, we identified five main topics of positive tweets that include class environment and equipment, positive emotions, places of taking online classes, language class, and tests and assignments.The four main topics of negative tweets include time (class & break time), tests and assignments, negative emotions,and class environment and equipmen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trends of public opinions on online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topic composition over time through checking the proportions of representative keywords in each topic.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of understanding public opinions on online class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opinions from tweet data using sentiment and time series topi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in universities and help universities and instructors to design and offer better online classes.

keywords
대학 비대면 수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오피니언 마이닝, 감성분석, 시계열 주제 분석,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 University online class, COVID-19, Opinion mining, Sentiment analysis, Time series topic analysis, Dynamic topicmodeling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