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조수연(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조미아(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5-33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00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22개정 교육과정과 미래 교육의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공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모색하며 독서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복잡하고 다원적이며 급격한 정보통신 발전의 속도 속에서 정보를 읽고 선별하며 재구성하는 정보활용능력 뿐만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와 다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변혁적 역량이 중요함에 따라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문제해결의 방법 및 과정을 탐색하고 도출하기 위해 독서를 매개로 탐구하고 소통하는 경험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총론 및 각론, 국제 교육 프로젝트의 및 평가의 영약과 지표를 분석하고 학문적 이론과 연구를 정리하여 고등학교 독서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창의․융합 수업전략과 독서활동 내용을 구성하여 학교도서관 독서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독서수업모형은 독서교육 및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정한 모형은 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실연하고 적용평가를 통해 보완하여 최종 학교도서관 융합독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public education to develop competencies that are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paradigm of future education were sought, and a plan for reading education was prepared. A creative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method and process as not only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to read, select, and reconstruct information but also transformative competency to respond to uncertain future and diversified situations are important amid the complex, pluralistic and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was intended to give an experience of exploring and communicating through reading in order to explore and derive it. Analyze the general outline and syllabus of the curriculum, international education project definitions and indicators, and organize academic theories and research to set the direction and goal of high school reading education, and organize creative and convergence class strategies and reading activities A library reading class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ly, the class model was revised by applying the development research method, and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by supplementing it through field application evalu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end, a two-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10 reading education and curriculum experts. The model modified through the Delphi survey was developed in the final school library convergence reading class model by demonstrating the clas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supplementing it through application evaluation.

조재인(인천대학교) pp.35-55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035
초록보기
초록

연구의 다면적 영향력 평가 도구로 알트메트릭스가 등장하면서 피인용 기반의 연구 성과 평가 체계를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Scopus에 색인된 고피인용 논문(Sample A)과 연도를 제한하지 않은 고피인용 논문(Sample B)을 각 1,600건씩 샘플링해 알트메트릭스와 피인용이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보았다. 또한 논문의 OA(Open Access) 여부가 피인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수행하는지 분석하고 집단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Mendeley 북마크 독자수만이 피인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OA 여부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최근 논문 집단인 Sample A에서는 강화효과가, Sample B에서는 약화효과가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언론보도와 같은 사회적 언급은 OA 조건에 무관하게 대부분 피인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학계 밖 대중적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영향력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s altmetrics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s an muti-dimensional impact assessment tool,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it can supplement the citation-based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effects of each altmetrics sources on citation by sampling 1,600 high-cited paper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Sample A) and non-year-limited papers (Sample B) indexed in Scopu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 OA of the paper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numbers of cited-by,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ample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ly the number of Mendeley bookmark readers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numbers of cited-by, and OA statu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both groups. However, in sample A, OA showed a reinforcing effect on cited-by, whereas Sample B showed a weakening effect, showing a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social mention such as media report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ited-by regardless of OA conditions, but they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social impact of non-academic mass readers.

김초해(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지홍(연세대학교) pp.57-82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057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전문적 지식에 대한 시민 요구의 증가, 학계의 시민참여 연구 확대, 전문적 지식에 대한 정보서비스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전문적 일반인이 학술정보자원에 접근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학술정보자원에 대한 일반인의 정보요구와 정보행위를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학술정보자원의 탐색 및 이용행태, 학술정보자원 활용에 대한 지원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조사되었으며, 이를 통해 학술정보자원이 학술 커뮤니티를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정도와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이용자 범위를 확대하여, 이들을 위한 학술정보자원에의 접근과 이용 확대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 초기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Today, despite the increase in professional knowledge-related information needs of citizens, the expansion of citizen participatory research in academia,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professional knowledge,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access to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by laypeople. Focusing on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s laypeople’s scholarly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By examining the search and use behaviors of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to support the utilization of them,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and pattern of social sharing of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beyond the scholarly commun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range of users in traditional scholarly communication and emphasizes the need to support them to access and use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이윤정(경민대학교 도서관운영)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pp.83-107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083
초록보기
초록

경기도에서 시작된 바로대출제 서비스는 지역서점의 매출 상승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창의적인 신규 서비스로 호응을 받았다. 그러나 이용자의 희망도서 중복신청으로 인해 공공도서관 장서의 질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지역서점, 바로대출제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바로대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과 지역서점의 창의적 협력 방안인 바로대출제는 도서관 자료구입비 예산 확대 및 도서관, 지역서점, 이용자 간의 지속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운영위원회 구성과 설명회 개최, 도서구입비 대비 바로대출제 희망도서 구입비 연구를 통한 기획 수집, 바로대출제 관련 규정 제정, 독서문화서비스 확대, 건전한 이용자층 확대 및 다양한 지역서점 육성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local bookstore direct loan service for users’ requests in public libraries, which was launched in Gyeonggi Province, is a creative new service that has l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rise in sales of local bookstores and high user satisfaction. However, it is a service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coexist as negative opinions are presented on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public library books due to overlapping needs for desired books by users. Therefore, several ways of improving for local bookstore loan service in public libraries through a survey of public libraries, local bookstores, and user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local bookstore direct loan service for users’ requests, which is a creative cooperation pla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local bookstores, needs to constantly improve its services by increasing book purchase cost, organizing a steering committee for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llecting plans through research on the book purchase cost.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services by enacting regulations expanding reading culture services expanding the number of healthy users and fostering various local bookstores.

임성관(경기대학교) pp.109-132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 되었던 독서마라톤 대회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성과 향상을 위한 과제를 탐색하고, 더불어 향후 이 대회를 적용할 곳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2021년까지 독서마라톤 대회를 운영한 공공도서관 다섯 곳의 현황을 수집하여 그 내용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섯 곳의 공공도서관이 독서마라톤 대회를 운영한 평균 기간은 10년이었고, 한 해 동안 대회 기간은 평균 5.87개월이었다. 또한 완주 비율이 가장 높은 대상은 아동이었으며, 완주에 대한 보상으로는 증서를 발급하고 대출권수를 상향시켜 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대회 담당자들은 신청자 확보 및 증대, 도달한 거리 산정 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서마라톤 대회 성과 향상을 위한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asks for improving performance skill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marathon competitions operated in public librarie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institutions to operating of this competition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competition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in 2021 for five public libraries operating reading marathon competitions from before the COVID-19 pandemic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average period for five public libraries running a reading marathon was 10 years, and the average period for each year was 5.87 months. In addition, children had the highest rate of completion, and as compensation for completion, certificates were issued and the number of loans increased the most. However, the competition manage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securing and increasing applicants and calculating the distance reached, so based on the analysis, they developed task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eading marathon from several different solution suggestions.

최인자(가톨릭대학교) ; 윤성은(대림대학교 방송음향영상학부) ; 김수경(창원문성대학교) ; 황금숙(대림대학교) ; 이선애(김포대학교) pp.133-155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21년도 경기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서 양육자의 독서 육아의 효과를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분석한 뒤 향후 경기도 독서문화 진흥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사업은 소외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대상의 독서 복지를 위해, 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가정에 책꾸러미를 정기 배송하고, 유아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맞춤형으로 개별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양육자의 독서 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는 가정 문식성, 부모 효능감 이론에 대한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설정되었고, 이후 17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를 통해 델파이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경기도 7개 시군(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양주시)의 양육자 105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전/ 사후 효과성을 조사한 결과,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양육자는 독서 상호작용과 독서 육아 효능감 면에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사업 효과를 고려할 때, 이 정책은 특정 지역을 넘어서 보편적인 조기 유아 독서 복지 정책으로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형태로 지속적인 사업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dicatives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Gyeonggi-do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of supporter’ reading care and thereby, suggest some data useful to the establishment of a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in Gyeonggi-do. Preceding studies and case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ook-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of supporter’ reading care and thereby, develop some measurement indicatives, and thus, the indicatives were verified by professionals using the Delphi technique. Then, supporter of 3~5 year-old pre-schoolers were sampled from 7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Pocheon-si, Yangpyeong-gun, Yeoju-si, Dongducheon-si, Gapyeong-gun, Yeoncheon-gun and Yangju-si) to be divided into control and test groups and thereby, their reading care effect indicativ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theory of family literacy, emergent literacy and parenting efficacy. As a result of developing the indicatives for analysis of pre-schoolers of supporter’s reading care effects and comparing them for the sample pre-schoolers of supporter,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book-sharing project was found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care.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pre-schoolers’ earlier reading education involves acquisition of reading habit.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operate a regular book sharing project involving public organization and homes. As a result of developing the indicatives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book-sharing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ject would serve to improve pre-schoolers of support’s reading care and therefore, this study seems to provide some ground for the operation of a sustainable book-sharing project to narrow the education divide and promote a book reading culture in Gyeonggi-do.

심효정(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노영희(건국대학교) pp.157-177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법」 개정에 따라 2023년부터는 4월 12일을 도서관의 날로 정하고 그 날로부터 1주간을 도서관주간으로 하게 된 것과 관련해 1964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도서관주간의 의의와 역사, 국내외 도서관주간 사례 등을 분석하고 향후 도서관주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도서관주간의 효율성 있는 운영방식, 프로그램 구성의 변화, 홍보전략의 다각화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관주간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 명예 홍보대사 활용 등 다양한 행사 운영방법 제시, 이색적인 기념행사, 전국 동시 캠페인, 아카이빙, 상시 홍보 채널 및 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3년 시행될 도서관의 날 및 도서관주간을 추진하고 활성화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decision to designate April 12 as the Library Day and the week from that day as the Library Week starting in 2023 in accordance with the amendment of the Libraries Act, suggests ways how the Library Week could be activation pla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history of the Library Week which started in 1964 and cases of the use of library week at home and abroad. The uses of library week at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implications drawn,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Library Week, were made in terms of three aspects - efficient methods for using the Library Week, changes in programs, diversification of promotional strategies. This paper suggests in order to promote the Library Week, various ways of running events, online and offline platforms, honorary ambassadors, unique commemorative events, national campaigns, archiving and all-year-round promotional channels and system are needed.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promoting the Library Day and Library Week that will start in 2023.

차성종(신라대학교) pp.179-207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기반의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사전 및 사후점수 간 비교분석을 진행한 결과 사후조사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 결과 변화에 나타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월 평균 독서량’ 특성, ‘조사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학업성적’ 특성, ‘설득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성별’, ‘학업성적’,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는 독서 및 토론능력 구성 요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과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도서관에서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further activating the reading discussion program by conducting a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ibrary,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pre- and post-scor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avruta reading discuss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post-test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changes in the results of the pre-survey compared to the post-surve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est in reading’ for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factor, the characteristics of ‘average monthly reading capacity’ for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factor,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research ability’ fa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est in reading’ for the ‘persuasive ability’ facto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effects of the Havruta reading discussion program are affected by the constituent factors of reading and discuss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critical read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had an effect.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are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in the library.

김주섭(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양성준(전북대학교) ; 김선태(전북대학교) pp.209-229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20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포지터리 인증 체계를 분석하고 Coretrustseal 인증을 추진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인증 체계에는 Coretrustseal, RatSWD, CLARIN certificate B, DIN 31644, ISO 16363, TDR 그리고 nestor 등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Coretrustseal 인증은 타 인증의 기준 및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있는 핵심 인증 체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retrustseal 인증 추진 전략을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인증 추진 전략에는 국내 데이터 리포지터리를 운영 하는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데이터 정책 및 가이드라인 관련 목록과 인증 신청서 예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CTS 인증 추진 과정을 통해 각 기관에서는 연구데이터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CTS 인증을 획득하게 되면 해당 데이터 리포지터리에 대한 국제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ta repository certification scheme and to propose a strategy to promote Coretrustseal certification. The certification system to be analyzed includes Coretrustseal, RatSWD, CLARIN certificate B, DIN 31644, ISO 16363, TDR and nestor. Among them, Coretrustseal certification is a core certification system that meets the standards and requirements of other certific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retrustseal certification promotion strategy was proposed step by step. The proposed certification promotion strategy includes a list of research data policies and guidelines and examples of certification applications for use by institutions that operate domestic data repositories. Through this CTS certification process, each institution can secure research data policies and guidelines, and when CTS certification is obtained, it is judged that international reliability of the data repository can be secured.

백재은(덕성여자대학교) pp.231-254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231
초록보기
초록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기술적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미래 산업에 대한 기대와 함께 과거의 산업 환경, 산업유산․유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활동으로 인해 생산된 산업유산자원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기에 역사적․보존적 가치를 지니고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존재한다. 즉, 산업유산자원은 장래를 위한 중요한 기록물이자 증거로 이용적․관리적․보존적 관점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정보자원의 체계적인 이용, 관리, 보존을 도모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특히 역사적․문화적․보존적 가치가 있고 각양각색의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는 산업유산자원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스토리, 유형, 시대 등과 관계를 맺는 다양한 관점의 메타데이터 요소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형식의 산업유산자원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산업유산 관련 메타데이터들을 비교 분석하여, 산업유산자원의 이용․관리․보존이라고 하는 목적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5개의 유형(관리, 기술, 보존, 정보기술, 이용)으로 그룹화하여 총 25개의 상위요소와 86개의 하위요소,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하였다.

Abstract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produced by industrial activities have historical and conservative values and value as cultural properties as they serve as a medium connec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other words,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should be used, managed, and preserved simultaneously as important records and evidence for the future. Metadata is well known as a necessary and important factor for the us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In particular, in order to describe various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that have historical, cultural, and conservative values, metadata elements from various perspectives are needed to relate to the story, type etc. of dat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metadata elements that can comprehensively describe different types of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And we designed metadata that suited for the purpose of using, managing, and preserving industrial heritage resources, through mapping and combination between industrial heritage-related metadata. As a result, metadata was grouped into five types(administrative, descriptive, preservation, technical, use) and prepared into a total of 25 higher & 86 lower elements.

김영석(명지대학교) pp.255-276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2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이름을 분석하여 이름 사용의 문제점을 밝히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20년 말 기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1,172개관 중 교육청 소속 도서관 235개관을 제외한 937개관을 도서관 서비스 대상 및 운영 주체별로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도서관 이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자체 도서관 이름은 8가지 기본 유형과 31가지 세부 유형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5가지 기본 유형과 18가지 세부 유형으로 나타났다. 사립도서관의 경우 크게 다섯 가지 유형의 이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하나의 이름에 2~3개의 지명 사용, 불필요한 수식어 사용, 도서관의 설립주체 및 등급 표시 등 이름을 짓는 데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ame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to reveal the problems of naming and suggest alternatives of naming. As of the end of 2020, 937 out of 1,172 public libraries, excluding 235 libraries of the Provincial & Municipal Education Offic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library service target and operating organization, and each library name was analyzed. The study reveals that there were 8 basic types and 31 detailed types of local library names, and 5 basic types and 18 detailed types of children’s and youth libraries. In the case of private librarie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5 types of names. The study also reveals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naming, such as the use of two or three place names in one name, the use of unnecessary modifiers, and the indication of library founder and grade.

배경재(동덕여자대학교) pp.277-294 https://doi.org/10.4275/KSLIS.2022.56.2.2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도서관 장서검열 문제 사례를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도서관 장서검열 주제에 대한 도서관계의 현장 인식을 분석하여 갈등상황을 조정하기 위한 과제를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장서검열 문제 사례를 정치적 이슈, 법률적 이슈, 선정성 이슈, 성범죄 이슈의 4가지 범주로 유형화하였으며 이에 대한 도서관계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성범죄 관련 장서 열람 제한 조치가 장서검열이 아니라고 답하거나, 판단하기 어렵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총 44.5%로 해당 이슈를 장서검열로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한편 사서 대상 설문조사 결과, 도서관 현장에서 다양한 이유로 수서제한 또는 열람제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으며, 결국 일체의 검열에 반대한다는 도서관 윤리선언과의 괴리를 나타내어 향후 이와 같은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task to adjust the conflict situation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recent cases of library book censorship and analyzing the field perception on the subject of library book censorship. Therefore, recent cases of book censorship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political, legal, sexuality, and sex crime. As a result of the study, 44.5% of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 restriction on access to books related to sex crimes was not a library censorship or that it was difficult to judge. It showed the perception that this issue is not an issue that can be easily decided by book censorship. Meanwhile, as a result of a survey of librarians,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re was a need for restrictions on collecting or reading at the library site for various reasons, and eventually showed a gap from the code of ethics for librarians against all censorship, showing the need to make efforts to reconcile such conflicts in the future.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