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edia Literacy Educational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2, v.56 no.3, pp.335-362
https://doi.org/10.4275/KSLIS.2022.56.3.335
박주현 (전남대학교)
이명규 (전남대학교)
김지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봉숙 (청주대학교)
이지수 (전남대학교)
심효정 (성균관대학교)
JonathanM.Hollister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교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사서 대상 설문조사,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수와 공공도서관 사서, 강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개최하여 개발한 모형에 대해 의견을 얻었다.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 공공도서관과 사서는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있으며 공공도서관이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교육기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문헌분석 결과와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육 목적, 핵심역량, 교육 대상, 미디어의 종류, 교육 주체별 역할과 기능이 포함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keyword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ublic Librarians,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세계 시민 교육, 공공도서관 사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dia literacy education model that helps public librarians plan and operat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To develop the model, a mixed methods study consisting of a literature review, a survey of librarians, and interviews with professors, public librarians, and media literacy instructors was conducted, Additionally, an expert advisory committee was formed and consulted to obtain opinions on the developed model. As a result of survey and interviews,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are perceived to have a responsibility to improve citizens’ media literacy, and public libraries are recognized as the best educational institution to achieve that goal. By reflecting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e research team developed, and presents herein, a media literacy education model that includes educational objectives, core competencies, educational targets, media types, and roles and functions for each educational subject.

keyword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ublic Librarians,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세계 시민 교육, 공공도서관 사서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