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을 위한 장소이미지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lace Image Factors for Place Branding of Public Librar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2, v.56 no.4, pp.129-159
https://doi.org/10.4275/KSLIS.2022.56.4.129
강유정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지연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방문의 활성화를 위하여, 도서관의 홍보 및 마케팅 전략으로 장소브랜딩을 적용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한 장소브랜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먼저 공공도서관 장소브랜딩의 구성요인 그리고 그 요인들 간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그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장소브랜딩한 이후의 기대효과인 이용자 충성도와 장소브랜딩의 구성요인들과의 관계를 도출하여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세우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총 34개 연구가설 중 21개가 채택되었고 장소이미지요인인 도서관신뢰성, 도서관호혜성, 도서관안전성 모두 이용자충성도에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창출에 기반이 될 장소이미지요인과 새로운 장소가치로 사회공헌가치를 도출하고, 공공도서관이 자관의 핵심가치(장소가치)에 적합한 장소이미지요인의 선택을 제안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홍보 및 마케팅을 위하여 장소브랜딩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장소브랜딩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서 높은 인지도와 충성도로 형성된 브랜드파워를 가지며 리더십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Public Library Place Image Factor, Place Branding, Promotion, PR, Marketing Strategy, 공공도서관 장소이미지요인, 장소브랜딩, 홍보, 마케팅 전략

Abstract

This study generated primary data for supporting the place branding as a part of the library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to increase public library visits. The literature review enabled the use of the place branding concept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ituent parts, factors, expected outcomes, and loyalty, then to develop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hich were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re were 34 research hypotheses, of which 21 were adopted. The place image factors such as library reliability, library reciprocity, and library safe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derived social contribution value as new place value and place image factors as the potential brand image of public libraries. It helped select the place image factors that best fit the local library’s core values (i.e., place 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fundamental study to introduce place branding in public libraries as an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y. And it is expected that public libraries will grow into high-quality brands with high awareness, loyalty, and secure leadership in the local community.

keywords
Public Library Place Image Factor, Place Branding, Promotion, PR, Marketing Strategy, 공공도서관 장소이미지요인, 장소브랜딩, 홍보, 마케팅 전략

한국문헌정보학회지